Programming in Scala 4/e 또는 서술형·논술형 평가 문항 어떻게 만들어지나
로즈
2025-04-13 19:20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Programming in Scala 4/e

도서명 : Programming in Scala 4/e
저자/출판사 : 마틴 오더스키 , 렉스 스푼 , 빌 베너스, 에이콘출판
쪽수 : 924쪽
출판일 : 2021-01-15
ISBN : 9791161754871
정가 : 50000
1장. 확장 가능한 언어
1.1 여러분의 마음에서 점점 자라가는 언어
1.2 스칼라의 확장성이 가능한 이유
1.3 왜 스칼라인가?
1.4 스칼라의 뿌리
1.5 결론
2장. 스칼라 첫걸음
2.1 1단계: 스칼라 인터프리터 사용법을 익히자
2.2 2단계: 변수를 정의해보자
2.3 3단계: 함수를 정의해보자
2.4 4단계: 스칼라 스크립트를 작성해보자
2.5 5단계: while로 루프를 돌고, if로 결정해보자
2.6 6단계: foreach와 for를 사용해 이터레이션해보자
2.7 결론
3장. 스칼라 두 번째 걸음
3.1 7단계: 배열에 타입 파라미터를 지정해보자
3.2 8단계: 리스트를 사용해보자
3.3 9단계: 튜플을 사용해보자
3.4 10단계: 집합과 맵을 써보자
3.5 11단계: 함수형 스타일을 인식하는 법을 배우자
3.6 12단계: 파일의 내용을 줄 단위로 읽자
3.7 결론
4장. 클래스와 객체
4.1 클래스, 필드, 메서드
4.2 세미콜론 추론
4.3 싱글톤 객체
4.4 스칼라 애플리케이션
4.5 App 트레이트
4.6 결론
5장. 기본 타입과 연산
5.1 기본 타입
5.2 리터럴
5.3 문자열 인터폴레이션
5.4 연산자는 메서드다
5.5 산술 연산
5.6 관계 연산과 논리 연산
5.7 비트 연산
5.8 객체 동일성
5.9 연산자 우선순위와 결합 법칙
5.10 풍부한 래퍼
5.11 결론
6장. 함수형 객체
6.1 분수 클래스 명세
6.2 Rational 생성
6.3 toString 메서드 다시 구현하기
6.4 선결 조건 확인
6.5 필드 추가
6.6 자기 참조
6.7 보조 생성자
6.8 비공개 필드와 메서드
6.9 연산자 정의
6.10 스칼라의 식별자
6.11 메서드 오버로드
6.12 암시적 타입 변환
6.13 주의사항
6.14 결론
7장. 내장 제어 구문
7.1 if 표현식
7.2 while 루프
7.3 for 표현식
7.4 try 표현식으로 예외 다루기
7.5 match 표현식
7.6 break와 continue 문 없이 살기
7.7 변수 스코프
7.8 명령형 스타일 코드 리팩토링
7.9 결론
8장. 함수와 클로저
8.1 메서드
8.2 지역 함수
8.3 1급 계층 함수
8.4 간단한 형태의 함수 리터럴
8.5 위치 표시자 문법
8.6 부분 적용한 함수
8.7 클로저
8.8 특별한 형태의 함수 호출
8.9 꼬리 재귀
8.10 결론
9장. 흐름 제어 추상화
9.1 코드 중복 줄이기
9.2 클라이언트 코드 단순하게 만들기
9.3 커링
9.4 새로운 제어 구조 작성
9.5 이름에 의한 호출 파라미터
9.6 결론
10장. 상속과 구성
10.1 2차원 레이아웃 라이브러리
10.2 추상 클래스
10.3 파라미터 없는 메서드 정의
10.4 클래스 확장
10.5 메서드와 필드 오버라이드
10.6 파라미터 필드 정의
10.7 슈퍼클래스의 생성자 호출
10.8 override 수식자 사용
10.9 다형성과 동적 바인딩
10.10 final 멤버 선언
10.11 상속과 구성 사용
10.12 above, beside, toString 구현
10.13 팩토리 객체 정의
10.14 높이와 너비 조절
10.15 한데 모아 시험해보기
10.16 결론
11장. 스칼라의 계층구조
11.1 스칼라의 클래스 계층구조
11.2 여러 기본 클래스를 어떻게 구현했는가?
11.3 바닥에 있는 타입
11.4 자신만의 값 클래스 정의
11.5 결론
12장. 트레이트
12.1 트레이트의 동작 원리
12.2 간결한 인터페이스와 풍부한 인터페이스
12.3 예제: 직사각형 객체
12.4 Ordered 트레이트
12.5 트레이트를 이용해 변경 쌓아 올리기
12.6 왜 다중 상속은 안 되는가?
12.7 트레이트냐 아니냐, 이것이 문제로다
12.8 결론
13장. 패키지와 임포트
13.1 패키지 안에 코드 작성하기
13.2 관련 코드에 간결하게 접근하기
13.3 임포트
13.4 암시적 임포트
13.5 접근 수식자
13.6 패키지 객체
13.7 결론
14장. 단언문과 테스트
14.1 단언문
14.2 스칼라에서 테스트하기
14.3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실패 보고
14.4 명세로 테스트하기
14.5 프로퍼티 기반 테스트
14.6 테스트 조직과 실행
14.7 결론
15장. 케이스 클래스와 패턴 매치
15.1 간단한 예
15.2 패턴의 종류
15.3 패턴 가드
15.4 패턴 겹침
15.5 봉인된 클래스
15.6 Option 타입
15.7 패턴은 어디에나
15.8 복잡한 예제
15.9 결론
16장 리스트
16.1 리스트 리터럴
16.2 리스트 타입
16.3 리스트 생성
16.4 리스트 기본 연산
16.5 리스트 패턴
16.6 List 클래스의 1차 메서드
16.7 List 클래스의 고차 메서드
16.8 List 객체의 메서드
16.9 여러 리스트를 함께 처리하기
16.10 스칼라의 타입 추론 알고리즘 이해
16.11 결론
17장. 컬렉션
17.1 시퀀스
17.2 집합과 맵
17.3 변경 가능 컬렉션과 변경 불가능 컬렉션
17.4 컬렉션 초기화
17.5 튜플
17.6 결론
18장. 변경 가능한 객체
18.1 무엇이 객체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가?
18.2 재할당 가능한 변수와 프로퍼티
18.3 사례 연구: 이산 이벤트 시뮬레이션
18.4 디지털 회로를 위한 언어
18.5 시뮬레이션 API
18.6 회로 시뮬레이션
18.7 결론
19장. 타입 파라미터화
19.1 함수형 큐
19.2 정보 은닉
19.3 변성 표기
19.4 변성 표기 검사
19.5 하위 바운드
19.6 반공변성
19.7 객체의 비공개 데이터
19.8 상위 바운드
19.9 결론
20장. 추상 멤버
20.1 추상 멤버 간략하게 돌아보기
20.2 타입 멤버
20.3 추상 val
20.4 추상 var
20.5 추상 val 초기화
20.6 추상 타입
20.7 경로에 의존하는 타입
20.8 세분화한 타입
20.9 열거형
20.10 사례 연구: 통화 변환
20.11 결론
21장. 암시적 변환과 암시적 파라미터
21.1 암시적 변환
21.2 암시 규칙
21.3 예상 타입으로의 암시적 변환
21.4 호출 대상 객체 변환
21.5 암시적 파라미터
21.6 맥락 바운드
21.7 여러 변환을 사용하는 경우
21.8 암시 디버깅
21.9 결론
22장. 리스트 구현
22.1 List 클래스 개괄
22.2 ListBuffer 클래스
22.3 실제 List 클래스
22.4 외부에서 볼 때는 함수형
22.5 결론
23장. for 표현식 다시 보기
23.1 for 표현식
23.2 n 여왕 문제
23.3 for 식으로 질의하기
23.4 for 표현식 변환
23.5 역방향 적용
23.6 for 일반화
23.7 결론
24장 컬렉션 자세히 들여다보기 577
24.1 변경 가능, 변경 불가능 컬렉션
24.2 컬렉션 일관성
24.3 Iterable 트레이트
24.4 시퀀스 트레이트: Seq, IndexedSeq, LinearSeq
24.5 집합
24.6 맵
24.7 변경 불가능한 구체적인 컬렉션 클래스
24.8 변경 가능한 구체적인 컬렉션 클래스
24.9 배열
24.10 문자열
24.11 성능 특성
24.12 동일성
24.13 뷰
24.14 이터레이터
24.15 컬렉션 처음 만들기
24.16 자바와 스칼라 컬렉션 변환하기
24.17 결론
25장 스칼라 컬렉션 아키텍처 647
25.1 공통 연산 한데 묶기
25.2 새로운 컬렉션 추가하기
25.3 결론
26장. 익스트랙터
26.1 예제: 전자우편 주소 추출
26.2 익스트랙터
26.3 변수가 없거나 1개만 있는 패턴
26.4 가변 인자 익스트랙터
26.5 익스트랙터와 시퀀스 패턴
26.6 익스트랙터와 케이스 클래스
26.7 정규표현식
26.8 결론
27장. 애노테이션
27.1 애노테이션이 왜 필요한가?
27.2 애노테이션 문법
27.3 표준 애노테이션
27.4 결론
28장. XML 다루기
28.1 반 구조화 데이터
28.2 XML 개요
28.3 XML 리터럴
28.4 직렬화
28.5 XML 분석
28.6 역 직렬화
28.7 저장하기와 불러오기
28.8 XML에 대한 패턴 매치
28.9 결론
29장. 객체를 사용한 모듈화 프로그래밍
29.1 문제
29.2 조리법 애플리케이션
29.3 추상화
29.4 모듈을 트레이트로 분리하기
29.5 실행 시점 링킹
29.6 모듈 인스턴스 추적
29.7 결론
30장. 객체의 동일성
30.1 스칼라에서의 동일성
30.2 동일성 비교 메서드 작성
30.3 파라미터화한 타입의 동일성 정의
30.4 equals와 hashCode 요리법
30.5 결론
31장. 스칼라와 자바의 결합
31.1 스칼라를 자바에서 사용하기
31.2 애노테이션
31.3 와일드카드 타입
31.4 스칼라와 자바를 함께 컴파일하기
31.5 자바 8 통합
31.6 결론
32장. 퓨처와 동시성
32.1 낙원의 골칫거리
32.2 비동기 실행과 Try
32.3 Future 사용하기
32.4 Future 테스트
32.5 결론
33장. 콤비네이터 파싱
33.1 예제: 산술식
33.2 파서 실행
33.3 기본 정규표현식 파서
33.4 또 다른 예: JSON
33.5 파서의 결과
33.6 콤비네이터 파서 구현
33.7 문자열 리터럴과 정규표현식
33.8 어휘 분석과 파싱
33.9 오류 보고
33.10 백트래킹과 LL(1)
33.11 결론
34장. GUI 프로그래밍
34.1 첫 번째 스윙 애플리케이션
34.2 패널과 레이아웃
34.3 이벤트 처리
34.4 예제: 섭씨/화씨 변환기
34.5 결론
35장. SCells 스프레드시트
35.1 화면 프레임워크
35.2 데이터 입력과 화면 표시 분리하기
35.3 식
35.4 식의 파싱
35.5 계산
35.6 연산 라이브러리
35.7 변경 전파
35.8 결론
부록 A. 유닉스와 윈도우에서의 스칼라 스크립트 사용
부록 B. 용어 해설
부록 C. 참고 문헌
서술형·논술형 평가 문항 어떻게 만들어지나

도서명 : 서술형·논술형 평가 문항 어떻게 만들어지나
저자/출판사 : 박혜영 , 서수현 , 김소현 , 박정서 , 박유미 ,, EBS BOOKS
쪽수 : 272쪽
출판일 : 2021-12-31
ISBN : 9788954762847
정가 : 20000
Ⅰ. 서술형·논술형 평가란 무엇인가?
1.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개념
1-1.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의의
1-2. 역량 중심 교육, 과정 중심 평가 맥락에서 서술형·논술형 평가
2. 서술형·논술형 문항 구분과 유형
2-1. 서술형 문항과 논술형 문항의 구분
2-2. 서술형·논술형 문항 유형
2-3. 문항의 구성 요소와 채점 기준표
3.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절차
3-1. 평가 계획 수립하기
3-2. 평가 도구 개발하기
3-3. 평가 시행에 따른 결과 활용하기
Ⅱ.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1.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문항의 특징
2. 국어과 서술형·논술형의 유형
2-1. 국어과 영역별 기능에 따른 서술형·논술형 유형
2-2. 국어과 영역별 기능 분류에 따른 서술형·논술형 문항의 예시
3.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과정의 이해
3-1. 평가 목표 설정하기
3-2. 서술형·논술형 문항 세트 설계하기
3-3. 평가 자료 선정하기
3-4. 문두 및 조건 작성하기
3-5. 채점 기준 작성 및 채점하기
3-6. 평가 결과 해석 및 피드백하기
4.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과정의 실제
4-1. 평가 목표 설정하기
4-2. 서술형·논술형 문항 세트 설계하기
4-3. 평가 자료 선정하기
4-4. 문두 작성하기
*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실전 문제
4-5. 채점 기준 작성하기
4-6. 채점하기
4-6. 평가 결과 해석 및 피드백하기
Ⅲ. 사회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1. 사회과 서술형·논술형 문항의 특징
1-1. 사회과에 대한 이해와 서술형·논술형 평가
1-2. 과정 중심 평가와 서술형·논술형 평가
2. 사회과 서술형·논술형 유형
2-1. 응답 반응의 자유 허용 여부
2-2. 자료 제공 방식의 형태
3. 사회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과정의 이해
3-1. 평가 목표 설정하기
3-2. 서술형·논술형 문항 세트 설계하기
3-3. 평가 자료 선정하기
3-4. 문두 작성하기
3-5. 채점 기준 작성 및 채점하기
3-6. 평가 결과 해석 및 피드백하기
4. 사회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과정의 실제
4-1. 평가 목표 설정하기
4-2. 서술형·논술형 문항 세트 설계하기
4-3. 평가 자료 선정하기
4-4. 문두 작성하기
* 사회과 서술형·논술형 실전 문제
4-5. 채점 기준 작성하기
4-6. 채점하기
4-7. 평가 결과 해석 및 피드백하기
Ⅳ. 과학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1. 과학과 서술형·논술형 문항의 특징
1-1. 과학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평가 방향
1-2. 과학과 서술형·논술형 평가를 위한 교육 현장의 이해
2. 과학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과정의 이해
2-1. 평가 목표 설정하기
2-2. 서술형·논술형 문항 세트 설계하기 171
2-3. 평가 자료 선정하기
2-4. 문두 작성하기
2-5. 채점 기준 작성 및 채점하기
2-6. 평가 결과 해석 및 피드백하기
3. 과학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과정의 실제
3-1. 평가 목표 설정하기
3-2. 서술형·논술형 문항 세트 설계하기
3-3. 평가 자료 선정하기
3-4. 문두 작성하기
* 과학과 서술형·논술형 실전 문제
* 과학과 모둠 활동 실전 사례
3-5. 채점 기준 작성하기 및 채점하기
3-6. 평가 결과 해석 및 피드백하기
Ⅴ. 수학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1. 수학과 서술형·논술형 문항의 특징
2. 수학과 서술형 평가 문항 제작 과정의 이해
2-1. 평가 목표 설정
2-2. 평가틀 제작
2-3. 문항 제작 및 채점 기준 수립
2-4. 평가 실시와 결과 활용
3. 수학과 서술형 평가 문항 제작의 실제
3-1. 형성 평가를 위한 개념 확인용 서술형 문항 제작
3-2. 총합 평가(정기 고사)를 위한 서술형 평가 문항 제작
4. 서술형 평가 적응을 위한 학습 활동 및 수행 평가를 위한 서술형 문항 제작
4-1. 서술형 평가 적응을 위한 학습 활동
4-2. 수행 평가를 위한 세트형 문항 제작
2.5. 〈보기〉를 활용한 문항의 문두 작성법 22.6. 정형화된 문두에서 벗어나 다양하게 문두를 작성하는 방법
3. 행동 영역 차원에서 본 문두 작성법
3.1. 사실적 이해 문두
3.2. 추론적 이해 문두
3.3. 감상·비판적 이해 문두
3.4. 적용·창의 문두
3.5. 어휘·개념 문두
4. 내용 영역 차원에서 본 문두 작성법
4.1. 독서 영역 문두
4.2. 문학 영역 문두
4.3. 화법 영역 문두
4.4. 작문 영역 문두
4.5. 문법 영역 문두
4.6. 매체 영역 문두
● 연습 문제
Ⅵ. 문항의 완성, 답지 제작
1. 답지 제작의 원칙
1.1. 문두에 충실하게
1.2. 비슷하나 다르게
1.3. 간섭이 없게
2. 답지 제작의 과정과 방법
2.1. 정답지 제작
2.2. 오답지 제작
■ 답지의 늪에서 헤엄치기
● 연습 문제
Ⅶ. 문항 검토와 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
1. 문항 검토의 필요성과 방법
1.1. 문항 검토의 주안점
1.2. 문항 검토와 수정
2. 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
2.1. 절대 평가와 상대 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
2.2. 답지 반응률 분석 및 활용
2.3. 교무업무시스템을 활용한 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
● 연습 문제
부록
■ 연습 문제 예시 답안
■ 문항 검토 체크리스트
■ 참고 문헌
■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