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또는 옳음
로즈
2025-04-13 19:20
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도서명 :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저자/출판사 : 김익환 , 전규현, 한빛미디어
쪽수 : 348쪽
출판일 : 2021-01-05
ISBN : 9791162243732
정가 : 22000
1부 소프트웨어 스펙이란?
1장 소프트웨어 스펙의 개요
1.1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실패의 원인
1.2 스펙에 대한 오해
1.3 스펙의 역할
1.4 스펙을 제대로 작성하지 않으면
1.5 스펙과 프로젝트의 성공
2장 SRS
2.1 SRS란 무엇인가?
2.2 어떻게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개발할 것인가?
2.3 스펙 문서의 유형
2.4 요구사항과 스펙의 차이
2.5 스펙 문서에 대한 착각
2.6 스펙인 것과 스펙이 아닌 것
2.7 스펙과 프로젝트 일정의 관계
2.8 스펙과 설계의 구분
3장 스펙 작성의 현주소, 현실과 관행
3.1 현재의 관행과 문제점
3.2 스펙에 대한 잘못된 통념
3.3 부실한 스펙 후 설계는 사상누각
3.4 시간만 있으면 누구나 스펙을 쓸 수 있는가?
3.5 소프트웨어 공학, 약인가? 독인가?
4장 사례 연구
4.1 A사의 해외 프로젝트_부실한 분석에 의한 계약
4.2 B사의 부품 교체_허술한 변경 관리
4.3 C사의 갑을 관계_고객의 의무 소홀
4.4 D사의 SI 수행_분석 역량 부족
4.5 E사의 소프트웨어 개발_있는 것은 소스코드뿐
4.6 F사의 공공 프로젝트_과도한 산출물
4.7 해외 사례_초기 분석 부실
5장 기업 문화
5.1 스펙과 기업 문화
5.2 잘 작성한 스펙의 혜택
5.3 좋은 관행 만들기
5.4 전사 아키텍처 전략을 선도하는 기술위원회
5.5 사수/부사수 시스템 탈피 방법
5.6 스펙을 제대로 작성하려면
6장 프로세스
6.1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개발 단계
6.2 스펙 작성 프로세스
6.3 SRS 관점으로 바라본 방법론 비교
6.4 스펙 작성에 시간을 얼마나 할애해야 하는가?
6.5 스펙은 얼마나 자세히 적어야 하는가?
6.6 스펙 리뷰
6.7 코드 리뷰보다는 설계 리뷰, 설계 리뷰보다는 스펙 리뷰
6.8 스펙과 베이스라인
6.9 스펙 변경 프로세스
6.10 종결된 프로젝트의 스펙, 업데이트할 것인가?
6.11 종결된 프로젝트의 스펙 일부 삭제
6.12 대형 프로젝트 분석의 협업
7장 Who?
7.1 스펙은 누가 쓰는가?
7.2 분석 아키텍트의 역할
7.3 분석 아키텍트의 자질
7.4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글을 잘 써야 한다
7.5 문서 작성 기술
7.6 시뮬레이션 능력
7.7 문제 해결 능력
7.8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8장 What?
8.1 why, what, how
8.2 목표와 범위 정의하기
8.3 요구사항에 우선순위 부여하기
8.4 외주 시 외주 업체에 전달할 문서는?
8.5 스펙 체크리스트의 효용성
9장 How?
9.1 스펙의 재료
9.2 스펙 가독성 높이기
9.3 문장 바르게 쓰기
9.4 스펙 작성 팁
9.5 스펙 재사용하기
9.6 소스코드로 스펙 작성하기
9.7 유닛 테스트로 스펙 작성하기
9.8 중복 최소화하기
9.9 품질 특성 명시하기
9.10 프로토타입 만들기
9.11 스펙을 적기 위해서는 why를 알아야 한다
9.12 훔쳐보기는 이제 그만
9.13 인터페이스 개선하기
9.14 인터페이스 정의하기
10장 도구
10.1 SRS 작성을 돕는 도구
10.2 UI 작성 방법
10.3 스펙 문서의 템플릿
2부 SRS 작성법
1장 Introduction(개요)
1.1 Purpose(목표)
1.2 Product Scope(범위)
1.3 Document Conventions(문서 규칙)
1.4 Terms and Abbreviations(정의 및 약어)
1.5 Related Documents(관련 문서)
1.6 Intended Audience and Reading Suggestions(대상 및 읽는 방법)
1.7 Project Output(프로젝트 산출물)
2장 Overall Description(전체 설명)
2.1 Product Perspective(제품 조망)
2.2 Overall System Configuration(전체 시스템 구성)
2.3 Overall Operation(전체 동작방식)
2.4 Product Functions(제품 주요 기능)
2.5 User Classes and Characteristics(사용자 계층과 특징)
2.6 Assumptions and Dependencies(가정과 종속관계)
2.7 Apportioning of Requirements(단계별 요구사항)
2.8 Backward Compatibility(하위 호환성)
3장 Environment(환경)
3.1 Operating Environment(운영 환경)
3.2 Product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제품 설치 및 설정)
3.3 Distribution Environment(배포 환경)
3.4 Development Environment(개발 환경)
3.5 Test Environment(테스트 환경)
3.6 Configuration Management(형상 관리)
3.7 Bugtrack System(버그트래킹 시스템)
4장 External Interface Requirements(외부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4.1 System Interface(시스템 인터페이스)
4.2 User Interface(사용자 인터페이스)
4.3 Hardware Interface(하드웨어 인터페이스)
4.4 Software Interface(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4.5 Communication Interface(통신 인터페이스)
5장 Performance Requirements(성능 요구사항)
5.1 Throughput(작업 처리량)
5.2 Concurrent Session(동시 세션)
5.3 Response Time(대응 시간)
5.4 Performance Dependency(성능 종속관계)
5.5 Other Performance Requirements(그 외 성능 요구사항)
6장 Non-functional Requirements(비기능 요구사항)
6.1 Safety(안전성 요구사항)
6.2 Security(보안 요구사항)
6.3 System Attributes(소프트웨어 시스템 특성)
6.4 Logical Database Requirements(데이터베이스 요구사항)
6.5 Business Rules(비즈니스 규칙)
6.6 Design and Implementation Constraints(설계와 구현 제한사항)
6.7 Memory Constraints(메모리 제한사항)
6.8 Operations(운영 요구사항)
6.9 Site Adaptation Requirements(사이트 적용 요구사항)
6.10 Internationalization Requirements(다국어 지원 요구사항)
6.11 Unicode Support(유니코드 지원)
6.12 64bit Support(64비트 지원)
6.13 Certification(제품 인증)
7장 Functional Requirements(기능 요구사항)
8장 Change Management Process(변경 관리 프로세스)
9장 Document Approvals(최종 승인자)
옳음

도서명 : 옳음
저자/출판사 : 방재홍, 새빛
쪽수 : 356쪽
출판일 : 2021-01-11
ISBN : 9791197296611
정가 : 20000
추천사
국민의당 당대표 안철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노웅래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박성중
건국대학교 前 총장 민상기
한신대학교 교수 문철수
머리말
01 경제 산업
경제약소국에 귀 기울여야 | 평창의 과제 | 가계대출 중단 유감 | 한·미 FTA의 과제 | ‘제2의 카드대란’ 우려 | 엥겔계수 상승 48 국민연금 고갈 | 지자체 재정 위기 | 한국의 국가경쟁력 | 포괄수가제 | 경제민주화 | 청년 일자리 | 한국 경제의 ‘경고음’ | 다시 닥친 ‘전력대란’의 위기 | ‘근혜노믹스’ | ‘제2의 벤처 붐’ | 불안한 ‘창조경제’와 ‘문화융성’ | 6075 新중년 시대 | 금융사고, ‘뒷북은 그만’ | 개혁 시급한 공무원·군인 연금 | ‘생계형 창업’ | ‘복지증세’ 논란 | 국고보조금 부정수급 | ‘가뭄’ 비상시국 | ‘국고보조금’ 대수술해야 | ‘코리아 갑스’
02 정치 사회 언론
인권과 무죄추정의 원칙 | 책과 신문보내기 운동 | 안보무능의 역사 | 아동 성범죄 없는 사회 | 공평한 병역이 핵심 | 화합으로 일구는 지구촌 | 한국인 아닌 세계인의 총장 | 사랑과 관용의 ‘톨레랑스’ | 나눌수록 풍성한 한가위 | ‘벤츠 여검사’ | 레임덕 | ‘한일군사협정’ 유감 | 자살률 1위, 대한민국 | 인사 유감 | 조용필과 정년연장 | 역사의 진화 | 안전사각지대, ‘싱크홀’ | ‘김영란법’과 청렴사회 | 이제는 ‘통합의 길’ 찾아야 | 2016년 어떻게 대할 것인가 | 돈과 밥, 그 비극의 낚싯바늘 | 응답하라, 여의도. 제발 | 개성공단, 누구의 급소인가 | 유커가 너무해 | 우리는 지금 다수결의 고통을 보고 있다 | “국민은 개·돼지”… 또 다른 사이코패스 | 김영란법, 지금부터가 진짜다 | 노인, 이 나라의 ‘버킷 리스트’ | 최순실, 탄핵, 그리고 야당의 ‘골든타임’ |“한 몸 불사르겠다” | 민심 change, 한국 chance | ‘과거의 현실들’이 떠오르고 있다 | 가짜뉴스, 두고 볼 때가 아니다 | ‘장미 대선’ 최대 변수 60대, 옛날 60대가 아니다 | 인터넷언론이 갈 길, 새 정부와 함께 걷는다 | 닫힌 門, 열린 文 | 이낙연 총리의 ‘열두살 인터넷신문’ | 평창올림픽 바람이 롱패딩에서 불어온다? | 한반도 평화, ‘각론’이 없다 | 황기魚를 아시나요 | 2018 연말 “소풍을 소환하자” | 두 손이 가리키는 한국, 오늘 | 유관순의 ‘푸른 하늘’ | 대자보
03 교육 문화 역사
설날 아침 | 학원비리 신고포상금제 | 모방과 창조, 그리고 표절 | 수능과 대학 | 법인 서울대 논란 | 설날과 세시풍속 | 도 넘은 교육비리 | EBS 수능강의 | 日총리의 독도망언 | 4월혁명 반세기의 의미 | 함께하는 대한국민 | 급식은 정치가 아니다 | 시간강사 처우 개선해야 | 자성과 혁신만이 살 길 | 학생은 수평적 인격체다 | 자주자강의 역사돼야 | ‘인도’가 아닌 ‘반환’ | 역사, 필요 아닌 필수 | ‘지식’ 아닌 ‘생각’ 교육 | 누구나 회초리는 아프다 | 일본, 역사인식 바로 해야 | 찬란한 슬픔의 봄 | 대학 등록금, 다각적 모색해야 | 부실대학 퇴출 | 숭례문 | 6075 新중년 시대 1 | ‘중산층’ 행복의 조건 | 교육감 선거 개선해야 | ‘교육자치’ 구현의 길 | ‘평생교육’ 유감(遺憾) | 아동학대, 근본대책 세워야 | ‘융복합 문화콘텐츠’ | ‘스마트폰 앱’ 대입정책 | 대학 평가와 개혁 | Z세대에게 6·25를 알려주는 방법 | 글쓰기, 정부가 ‘교육’에 나서라 | ‘남한산성’과 ‘미스 프레지던트’ | 박종철,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4월의 노래 | 월드컵에서 당신은 무엇을 보았는가 | 공생 상생 그리고 기생충
04 독서 출판
고전과 독서교육 | 신문읽기 활성화를 위한 제언 | 예술지원정책 개편 | 북캉스와 바캉스 | 상생의 논리 | 베스트셀러와 사재기 | ‘북바우처’ 확대해야 | 책들에게 희망을 | 도서관의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 독자생존(讀者生存) | 독서문화 위기와 진흥 | 책 안 사는 대한민국 318 ‘광화문 글판’ | 9월14일, 인쇄문화의 날을 아십니까 | 보내는 사람 ; 대구 달서우체국 사서함 | 당신의 문학은 안녕하십니까? | 한국시인협회, 온라인 시대 무엇을 길어 올릴 것인가 | 한강, ‘K문학’ 물꼬 트다 | ‘지대폼장’ 지면을 도서 마케팅 하시오 | ‘독서 멍석’을 깔자, 군포시를 보라 | 책 읽는 대통령을 보고 싶다 | 대선 후보는 읽었던 책 공개하라, 그의 상상력 세계를 보고 싶다 | 국정 100대 과제에 ‘독서’는 있는가 | “가을엔 시를 쓰겠어요” | 『즐거운 사라』여, 마광수를 위해 울어다오 | ‘카톡 백일장’을 제안한다 | 늙어서 독서, 10년은 더 산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