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고용정책 연구 또는 맑스의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로즈
2025-04-13 19:20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여성고용정책 연구

도서명 : 여성고용정책 연구
저자/출판사 : 김영아 , 곽서희 , 이자연 , 윤태영, 한국노동연구원
쪽수 : 233쪽
출판일 : 2021-12-30
ISBN : 9791126005505
정가 : 11000
요 약 i
제1장 서 론 (김영아)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대상 국가 2
제3절 연구의 구성 3
제2장 프랑스의 여성고용정책 (김영아) 5
제1절 여성고용 현황 5
제2절 모든 연령기 여성의 근로여건 개선책 29
제3절 청년기(미혼) 여성 고용정책 41
제4절 출산 및 양육기 여성 고용정책 44
제5절 중ㆍ고령기 여성 고용정책 51
제6절 시사점 및 결론 54
제3장 독일의 여성고용정책 (윤태영) 58
제1절 여성고용 현황 58
제2절 모든 연령대 여성의 근로여건 개선책 77
제3절 청년기(미혼) 여성 고용정책 83
제4절 출산 및 양육기 여성 고용정책 87
제5절 중ㆍ고령기 여성 고용정책 98
제6절 시사점 및 결론 102
제4장 네덜란드의 여성고용정책 (곽서희) 105
제1절 여성고용 현황 105
제2절 모든 연령기 여성 근로여건 개선책 123
제3절 청년기(미혼) 여성 고용정책 132
제4절 출산 및 양육기 여성 고용정책 138
제5절 중ㆍ고령기 여성 고용정책 145
제6절 시사점 및 결론 148
제5장 스웨덴의 여성고용정책 (이자연) 153
제1절 여성고용 현황 153
제2절 모든 연령기 여성의 근로여건 개선책 168
제3절 청년기 (미혼)여성 고용정책 180
제4절 출산 및 양육기 여성 고용정책 181
제5절 중ㆍ고령기 여성 고용정책 188
제6절 시사점 및 결론 192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김영아ㆍ윤태영ㆍ곽서희ㆍ이자연) 195
제1절 프랑스의 여성고용 변화 추이, 고용정책 특성, 그리고 시사점 195
제2절 독일의 여성고용 변화 추이, 고용정책 특성, 그리고 시사점 199
제3절 네덜란드의 여성고용 변화 추이, 고용정책 특성, 그리고 시사점 204
제4절 스웨덴의 여성고용 변화 추이, 고용정책 특성, 그리고 시사점 209
참고문헌 214
맑스의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도서명 : 맑스의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저자/출판사 : 미하엘 하인리히, 에디투스
쪽수 : 384쪽
출판일 : 2021-01-25
ISBN : 9791197004582
정가 : 22000
한국어판 서문
서문
안내의 말
왜 오늘날 『자본』을 읽는가?
독해의 어려움들
『자본』을 어떻게 토론할 것인가?
주해의 다양한 방식들
주해의 이용. 처음의 독서 계획
『자본』의 첫머리에 대한 주해
『자본. 정치경제학 비판』
1판 서문 (MEW 23: 11-17)
1) 첫머리의 어려움, “부르주아사회”, 추상 (MEW 23: 11-12)
2) 연구 대상 (MEW 23: 12-15)
3) 경제적 범주들의 인격화로서의 인물들 (MEW 23: 16)
4) 자본주의적 생산의 자연법칙 (MEW 23: 12-16)
5) 과학적 연구와 사회적 투쟁들 (MEW 23: 16-17)
6) 세 권으로 된 『자본』 (MEW 23: 17)
2판 후기 (MEW 23: 18-28)
목차 (MEW 23: 949-955)
1편 상품과 화폐
1장 상품 (MEW 23: 49-98)
1. 상품의 두 요소: 사용가치와 가치(가치실체, 가치크기)(MEW 23: 49-55)
1) 도입 문단: 부와 상품 (정의와 분석) (MEW 23: 49, 첫 번째 문단)
2) 사용가치 (MEW 23: 49, 두 번째 문단-MEW 23: 50, 끝에서 두 번째 문단)
3) 교환가치 (분석과 구성)
(MEW 23: 50, 마지막 문단-MEW 23: 51, 끝에서 두 번째 문단)
4) 가치와 가치실체 (MEW 23: 51, 마지막 문단-MEW 23: 53, 첫 번째 문단)
첫 번째 논증 단계: 상품들의 공통적인 것은 자연적 속성이 아니다
두 번째 논증 단계: 노동생산물이라는 속성만이 남아 있다
세 번째 논증 단계: 가치의 실체는 추상적인 인간 노동이다
5) 가치크기와 생산력 (MEW 23: 53, 두 번째 문단-MEW 23: 55, 첫 번째 문단)
6) 결어: 사용가치와 가치 (MEW 23: 55, 마지막 문단)
7) 1절의 논증에 대한 주해
첫 번째 주해: 서비스들의 상품성
두 번째 주해: 공급과 수요
세 번째 주해: 교환하는 사람들의 의식적 행위?
네 번째 주해: 노동과 전유
다섯 번째 주해: 가치론의 증거?
2. ‘상품들에서 표현된 노동’의 이중성 (MEW 23: 56-61)
1) 도입 문단: 이해의 “도약점” (MEW 23: 56, 첫 번째 문단)
2) 구체적인, 유용한 노동
(MEW 23: 56, 두 번째 문단-MEW 23: 58, 첫 번째 문단)
3) 추상적인 인간 노동, 단순한 노동, 복잡한 노동
(MEW 23: 58, 두 번째 문단-MEW 23: 61, 첫 번째 문단)
4) 결어: 생리학 (MEW 23: 61, 마지막 문단)
3. 가치형태 혹은 교환가치 (MEW 23: 62-85)
서론: 화폐의 수수께끼 (MEW 23: 62)
A) 단순한, 개별적인 혹은 우연한 가치형태 (MEW 23: 6-376)
1. 가치표현의 두 극: 상대적 가치형태와 등가형태
2. 상대적 가치형태
a) 상대적 가치형태의 내용
b) 상대적 가치형태의 양적 규정성
3. 등가형태
등가형태의 첫 번째 특성
등가형태의 두 번째 특성
등가형태의 세 번째 특성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보론
4. 단순한 가치형태의 전체
교환가치라는 가치의 자립적 표현 (MEW 23: 47-76, 두 번째 문단)
단순한 가치형태의 불충분성 (MEW 23: 67, 세 번째와 네 번째 문단)
전개된 가치형태로의 이행 (개념적 발전) (MEW 23:6 7, 나머지)
B) 총체적 혹은 전개된 가치형태 (MEW 23: 77-79)
1. 전개된 상대적 가치형태
2. 특수한 등가형태
3. 총체적 혹은 전개된 가치형태의 결점
C) 일반적 가치형태 (MEW 23: 79-84)
1. 가치형태의 변화된 성격
상품형태들의 역사적 출현
상대적 가치형태의 변화된 성격
등가형태의 변화된 성격
2. 상대적 가치형태의 발전과 등가형태의 발전의 관계
3. 일반적 가치형태로부터 화폐형태로의 이행
D) 화폐형태(가치형태들의 관계, 화폐의 수수께끼의 해결) (MEW23: 84-85)
4. 상품의 물신성과 그것의 비밀 (MEW 23: 85-98)
1) “노동생산물이 상품형태를 취하자마자, 노동생산물의 수수께끼 같은 성격”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MEW 23: 85-87, 첫 번째 문단)
2) “상품들을 생산하는 노동의 고유한 사회적 성격-” 사후적인 사회화
(MEW 23: 87, 두 번째 문단-MEW 23: 88, 첫 번째 문단)
3) 가치에 대한 지식과 “대상적 외관” (MEW 23: 88, 두 번째 문단)
4) 자립화된 사회적 운동과 이 운동의 내용 (MEW 23: 89, 첫 번째 문단)
5) “객관적 사고 형태” (MEW 23: 89, 두 번째 문단-MEW 23: 90, 두 번째 문단)
6) 상품생산에 근거하지 않는 생산형태들
(MEW 23: 90, 세 번째 문단-MEW 23: 93, 첫 번째 문단)
7) 종교와 생산양식 (MEW 23: 93, 두 번째 문단-MEW 23: 94, 첫 번째 문단)
8) 정치경제학에서 상품과 가치-정치경제학 비판의 전제인 물신주의 분석
(MEW 23: 94, 두 번째 문단-MEW 23: 98)
2장 교환과정 (MEW 23: 99-109)
1) 2장에 있는 새로운 추상 지평
2) 교환과정과 상품 소유자들(사적 소유자들)
(MEW 23: 99-MEW 23: 100, 첫 번째 문단)
3) 교환과정에서의 모순적인 요구들과 이 요구들의 해결: 화폐
(MEW 23: 100-MEW 23: 101, 끝에서 두 번째 문단)
4) 상품교환과 화폐의 역사적 발전
(MEW 23: 101, 마지막 문단-MEW 23: 104)
5) 화폐형태와 화폐물신 (MEW 23: 105-108)
부록 1 / 맑스의 경제학 비판 저작들
부록 2 / “교환가치를 정립하는 노동”의 사회적 성격으로서
노동의 일반성
부록 3 / 역설적 가치형태
부록 4 / 공통적인 대상성인 가치대상성
용어집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