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3: 현대 편
로즈
2025-01-24 09:28
51
0
본문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3: 현대 편

도서명 :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3: 현대 편
저자/출판사 : 움베르토 에코 , 리카르도 페드리가, 아르테.arte.
쪽수 : 1096쪽
출판일 : 2020-10-23
ISBN : 9788950975869
정가 : 98000
I. 독일 관념주의 9
1. 피히테 - Gaetano Rametta 14
+ 언어에 관한 논쟁 - Antonio Carrano 25
* 비판철학과 독일 철학 - Federico Ferraguto 31
* 저자와 저작권 - Roberto Limonta 37
2. 역사, 과거, 고전주의 혹은 낭만주의 미학의 주제들 - Paola Giacomoni 44
3. 셸링 - Tonino Griffero 51
+ 예술과 진리 - Tonino Griffero 63
* 자연철학 - Stefano Poggi 68
4. 헤겔 - Remo Bodei 76
* 헤겔학파 - Alberto Burgio 87
* 문학과 소설 속의 부르주아 서사시 - Ezio Raimondi 94
II. 헤겔 이후의 철학과 마르크스 101
1. 사회적 유토피아 - Laura Barletta, Antonio Senta 106
2.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 Francesco Tomasoni 114
3. 카를 마르크스 - Salvatore Veca 123
+ 문학적 사실주의 - Ezio Raimondi, Giovanna Franci 137
* 『공산당 선언』의 문학적 양식에 관하여 - Umberto Eco 141
III. 체계적 철학에 대한 비판 145
1. 쇠렌 키르케고르 - Matteo d’Alfonso, Valentina Pisanty 150
2.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 Matteo d’Alfonso 159
+ 쇼펜하우어와 니체 사이에 - Luca Pinzolo 170
* 독일 철학과 동양 사상 - Fabio Cirac? 174
3.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 - Giuliano Campioni 179
* 『힘에의 의지』 원문과 개념과 해석의 과정 - Maurizio Ferraris 196
* 염세주의 논쟁 - Domenico M. Fazio 202
IV. 실증주의 철학과 사회적 발전 209
1. 오귀스트 콩트와 실증주의 - Ferdinando Vidoni 214
+ 실험실의 생명체 - Gilberto Corbellini 222
* 실증주의 대 정신주의 - Caterina Zanfi 227
2.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 - Alessandra Facchi 231
3. 존 스튜어트 밀 - Dino Buzzetti 238
4. 알렉시 드 토크빌과 자유주의 사상 - Vittorio Beonio Brocchieri 249
* 반혁명운동과 왕정복고 시대의 정치사상 - Rinaldo Falcioni 259
V. 과학과 진화론 267
1. 찰스 다윈 - Pietro Corsi 272
+ 과학과 과학의 관중 - Paola Govoni 279
* 라마르크의 생체 변이론 284
* 허버트 스펜서의 진화론 286
2. 19세기 물리학의 기초 개념들 - Mauro Dorato 289
* 원소로 이루어진 세계 혹은 19세기의 화학 - Marco Ciardi 298
3. 19세기의 논리학 - Mario Piazza 301
* 불의 산법 - Matteo Morganti 312
* 비에우클레이데스 기하학 - Umberto Bottazzini 316
VI. 인문학의 세계 321
1. 민족학과 문화인류학 - Ugo Fabietti 326
+ 새로운 사회를 위한 새로운 지식 - Gianfranco Poggi 335
* 야생의 사고 혹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 - Cristina Demaria 341
2. 19세기의 교육학 - Gabriella Seveso 344
* 몬테소리 - Renate Ramge 357
3. 언어학 - Tullio de Mauro 359
4. 과학적 심리학의 탄생 - Luciano Mecacci 368
* 20세기 심리학의 발전 - Roberta Lorenzetti 379
5. 사회학 사상의 발전 - Gianfranco Poggi 388
* 엘리트 이론 - Patricia Chiantera-Stutte 400
VII. 19세기와 20세기 사이의 철학 409
1. 통일 이탈리아의 철학 - Giovanni Rota 414
2. 볼차노와 브렌타노 - Riccardo Martinelli 424
+ 19세기의 수도, 빈과 베를린 - Luca Vivanti 432
3. 빌헬름 딜타이와 독일의 역사주의 - Giuseppe Cacciatore 436
4. 퍼스와 실용주의 - Giampaolo Proni 442
+ 19세기의 수도, 런던과 뉴욕 - Luca Vivanti 451
* 13개의 실용주의와 존 듀이 - Giorgio Bertolotti 456
5. 윌리엄 제임스와 19세기의 미국 철학 - Giorgio Bertolotti 461
* 조이스와 내면의 독백 - Umberto Eco 468
6. 앙리 베르그송 - Caterina Zanfi 470
+ 19세기의 수도, 파리 - Luca Vivanti 477
7. 아베나리우스, 마흐, 경험비판론 - Margherita Arcangeli 479
* 작가와 철학자로서의 로베르트 무질 - Giulio Iacoli 488
VIII. 20세기 사유의 양식과 모형 493
1. 신칸트주의 - Massimo Ferrari 498
* 칸트로의 회귀 508
2. 신관념주의 - Amedeo Vigorelli 511
* 크로체의 미학에 관하여 - Umberto Eco 522
3. 후설과 현상학 - Stefano Bracaletti 528
+ 입체파의 작업실 - Cristina Beltrami 547
* 메를로퐁티와 지각의 현상학 - Stefano Bracaletti 552
4. 정신주의와 인격주의 - Paolo Salandini 556
* 근대주의에 대한 가톨릭세계의 이견들 - Giovanni Rota 565
5. 신스콜라철학 - Alessandro Ghisalberti 570
* 에티엔 질송과 그리스도교 철학에 관한 논쟁 - Alessandro Ghisalberti 580
6. 논리실증주의, 빈학파, 칼 포퍼 - Roberto Limonta 584
7. 프로이트와 정신분석의 발전 - Giovanni Rota 596
* 자크 라캉 - Luca Pinzolo 604
8. 마르틴 하이데거 - Costantino Esposito 608
9. 실존주의 - Giovanni Rota 633
+ 생제르맹데프레 - Andrea Piatesi 642
* 도스토옙스키와 철학 - Luca Soverini 645
* 작가와 철학자로서의 알베르 카뮈 649
10. 현대 마르크스주의 - Stefano Bracaletti 653
* 안토니오 그람시와 공산주의 - Alberto Burgio 662
11. 구조주의 - Umberto Eco 667
12. 에마뉘엘 레비나스와 타자의 윤리학 - Luca Pinzolo 672
13. 푸코와 권력의 고고학 - Luca Pinzolo 677
14. 자크 데리다와 해체주의 - Maurizio Ferraris 683
15. 들뢰즈, 차이의 존재론에서 뿌리줄기의 논리학으로 - Luca Pinzolo 689
16. 분석철학 - Marco Santambrogio 693
* 분석철학의 형이상학과 존재론 - Andrea Bottani 706
* 분석적 진리와 종합적 진리 - Stefano Bracaletti 710
17.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적 형식과 언어 게임 - Carlo Penco 716
* 언어 행위, 화용론, 수행성 - Roberto Limonta 727
18. 해석학과 해석의 발전 경로 - Maurizio Ferraris 730
*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 743
* 루이지 파레이손과 자유의 존재론 - Gianluca Cuozzo 745
* 포스트모더니즘과 약한 사유 - Gaetano Chiurazzi 748
IX. 20세기의 철학과 과학 757
1.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철학사 - Luca Bianchi 762
2. 과학적 탐구의 역사적 가치 - Pietro Corsi 773
* 학문과 종교의 문제 - Pietro Corsi 778
3. 기호학 - Valentina Pisanty 787
* 번역에 관하여 - Siri Nergaard 797
4. 20세기의 커뮤니케이션 - Umberto Eco 803
* 논증의 필요성 - Luca Soverini 822
5. 존재론 - Pietro Kobau 825
6. 미학 - Elio Franzini 831
7. 20세기의 신학 이론 - Giovanni Rota 842
* 아부 자이드와 코란의 역사주의적 해석 - Massimo Campanini 849
8. 과학철학 - Mauro Dorato 853
9. 물리학자들의 철학 - Alberto De Gregorio 866
* 상대성 이론 - Mauro Dorato 873
* 양자 이론 - Michela Massimi 883
10. 수학자들의 철학 - Mario Piazza 892
* 리하르트 데데킨트와 게오르크 칸토어 - Umberto Bottazzini 899
* 수학적 언어학 - Mario Piazza 901
11. 20세기의 논리학 - Marcello Frixione 904
* 양상논리, 인식논리, 규범논리 - Riccardo Fedriga, Marcello Frixione 917
12. 인지과학 - Roberto Cordeschi 921
* 튜링 기계 - Margherita Marcheselli 930
13. 심리철학 - Riccardo Fedriga, Luca Pinzolo 933
* 언어와 사실 사이의 중도적 사실주의 - Raffaella Grasso 947
* 철학적 사고실험의 역할 - Francesco Bianchini 951
14. 인식론 - Nicla Vassallo 955
* 진화론의 진화 - Saverio Forestiero 969
15. 사회학 - Roberta Sassatelli 991
* 마크 오제와 ‘비장소’ 996
* 지그문트 바우만과 액체 사회 - Raffaella Grasso 998
16. 새로운 윤리학 이론 - Roberto Lolli 1001
* 젠더 스터디 - Cristina Demaria 1008
* 부정주의자들은 누구인가? - Valentina Pisanty 1013
17. 정치철학 - Giovanni Rota 1019
* 한나 아렌트와 악의 통속성 1027
* 현대 정치사상에서의 법과 정의 - Raffaella Grasso 1029
18. 경제철학 - Riccardo Viale 1032
19. 권리와 민주주의 - Stefano Rodot? 1040
* 노르베르토 보비오의 ‘정치와 문화’ 1048
* 권리의 철학 - Marina Lalatta Costerbosa 1051
20. 시민의 존재 - Gustavo Zagrebelsky 1061
역자의 글 움베르토 에코에 관한 오해 1074
참고 문헌 1080
찾아보기 1084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