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과 건강 이 맛에 산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맛과 건강 이 맛에 산다

로즈
2025-01-20 00:21 79 0

본문




맛과 건강 이 맛에 산다
9788956811932.jpg


도서명 : 맛과 건강 이 맛에 산다
저자/출판사 : 최병갑, 아카데미북
쪽수 : 308쪽
출판일 : 2020-08-05
ISBN : 9788956811932
정가 : 15500

서문

〈1장〉 기미와 오미에 대하여
기미란 무엇인가
기미상궁과 기미 | 기미의 의미 | 기미와 질병 치료의 원칙 | 기미를 잘 알아야 면역력을 기를 수 있다 | 음식의 기 - 네 가지 기운

맛의 의미 : 무설탕 논란을 보며

〈2장〉 단맛에 대하여
단맛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 단맛은 에너지원이다 | 단맛에는 탄수화물이 많다 | 단맛이 보약이다 | 단맛은 급박한 증상을 완화한다 | 단맛은 해독작용이 있다 | 약방의 감초와 단맛의 조화 작용 | 달고 따뜻한 것은 위장 기운을 보해 준다 | 달고 차가운 것은 음액을 보하면서 열을 식혀 준다 | 단맛과 매운맛의 비교 | 무는 소화와 기침에 좋다

단맛이 과다했을 때의 부작용
단맛이 지나치면 기운과 혈액의 순환이 막힌다 | 단맛은 습기를 정체시키고 성인병을 유발한다 | 단맛이 살을 찌게 만들고 비만을 유도한다 | 단맛이 당뇨병을 일으킨다 | 관리하는 당뇨병과 치료하는 당뇨병 | 단맛을 과식하면 항생제 남용과 암을 부른다 | 단맛을 많이 먹으면 신장이 나빠진다 | 음주가는 단맛을 멀리해야 한다

단맛과 정신
탄수화물 중독 | 탄수화물의 종류와 소화 흡수 | 모든 탄수화물이 성인병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설탕이 만병의 원흉인가
설탕의 종류 | 저설탕 제품과 무설탕 제품의 함정 | 흑설탕과 백설탕 논쟁

〈3장〉 매운맛에 대하여
매운맛
강한 매운맛은 고통을 준다 | 매운맛은 발산한다 | 감기 초기에는 매운맛으로 땀을 내야 빨리 낫는다 | 발한법의 부작용을 줄이는 법 | 과다한 땀 내기는 기운과 혈액을 손상한다 | 코감기와 비염에 좋은 파 | 찬바람에 기침이 나올 때는 맵고 단것을 먹는다 | 매운맛이 순환제이다 | 매운맛과 통증 해소 | 매운맛은 소화기를 따뜻하게 활성화해 소화를 돕는다 | 고추장의 소화 작용 | 양파즙의 효과 | 위장이 차가운 사람, 위장이 뜨거운 사람 | 매운맛이 지나치면 위장을 녹일 수 있다 | 치질과 궤양성대장병에는 매운맛을 금지한다 | 매운맛은 성욕을 부추긴다 | 매운맛은 건조하여 습기를 제거한다 | 매운맛이 지나치면 피부가 건조해진다 | 매운맛은 냉기를 녹여 윤택하게 한다 | 냉기병은 매운맛으로 따뜻하게 한다 | 매운맛은 차갑고 습한 병증을 치료한다 | 매운맛과 계절 건강

매운맛이 과다했을 때의 부작용
매운맛의 열기는 강하게 상승한다 | 매운맛과 열성두통 | 매운맛과 눈 건강 | 편도가 잘 붓는 사람은 매운맛을 멀리해야 한다 | (몸이 냉한) 소음인도 마늘을 오래 먹으면 탈모가 생긴다 | 밤에 매운맛을 먹으면 숙면을 방해한다 | 매운맛과 태교

매운맛과 정신
매운 것을 먹고 땀을 흘리면 스트레스가 풀어진다 | 매운맛과 기억력 | 정신수행에 방해가 되는 오신채와 오훈채 | 매운맛과 술의 작용은 비슷하다 | 소주를 마실 때는 매운 안주를 멀리한다 | 매운맛(고추)을 3개월간 먹지 않았을 때의 변화

음식의 향기와 향신료
향기는 빠르게 발산한다 | 향신료는 소화를 돕고 울체를 풀어 준다 | 마늘과 양파를 오래 먹을 때는 익혀 먹어야 좋다

〈4장〉 담담한 맛에 대하여
담담한 맛
담담한 맛, 담백한 맛 | 담담한 맛은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 담담한 맛이 비뇨 생식기 질환을 예방한다 | 담담한 맛과 소화기 | 곡류의 담담한 맛이 중요하다 | 담담한 곡류가 정기를 기른다 | 여름에는 담백하게 먹어야 건강하다 | 〈참고〉 여름에 임신하여 태어난 아이는 총명하지 못하다 | 이뇨제를 과용하면 안 된다

담담한 맛과 정신

〈5장〉 신맛에 대하여
신맛
신맛은 수렴한다 | 땀을 많이 흘릴 때는 신맛이 좋다 | 건조한 가을에 마른기침을 하면 신맛을 먹어야 한다 | 신맛은 방광을 수축한다 | 남자에게 참 좋다(?)는 산수유 | 근육이 뭉쳐 쥐가 날 때는 모과차를 먹자 | 신맛은 혈액과 음액의 생성을 돕는다 | 임신부가 신맛을 좋아하는 이유 | 마르고 거친 피부에는 신맛이 먹는 화장품이다 | 여자에게 참 좋다(?)는 석류 | 신맛은 주로 간에 작용한다 | 신맛과 위장과의 관계 | 신맛은 단단한 것을 부드럽게 만들어 풀어 준다 | 식초의 해독 살충 작용

신맛이 과다했을 때의 부작용
신맛이 지나치면 기운과 혈액이 위축된다 | 비만에는 신맛이 나쁘다 | 우유와 식초를 함께 먹으면 덩어리가 뭉친다 | 식초의 종류와 현미식초

신맛과 정신
신맛은 적당한 긴장감을 준다 | 신맛은 욕망을 기른다

〈6장〉 떫은맛에 대하여
떫은맛
떪은맛은 먹기 힘들다 | 신맛과 떫은맛 | 떫은맛은 강하게 수렴하고 수축한다 | 떫은맛은 비만, 부종, 변비, 위산과다에 해롭다

〈7장〉 쓴맛에 대하여
쓴맛
쓴맛의 중요성 | 쓴맛은 기운을 하강시킨다 | 상기증의 원인 | 상기증과 화병의 연관성ㆍ192 상기증과 화병의 증상 | 화를 내면 기가 상승해 화를 일으킨다 | 신경성 질환은 대부분 상기증과 화병이다 | 상기증과 화병의 치료법 | 쓴맛을 안 먹으면 상기증과 화병이 발생한다 | 채소와 차의 쓴맛 비교 | 쓴맛은 사람을 단단하게 만든다 | 쓰고 찬 것은 습열을 제거한다 | 비만해지면 습열이 늘어난다 | 쓰고 찬 것이 항생제의 사용을 줄이는 약이다 | 쓰고 찬 것이 소염제이다 | 씀바귀는 훌륭한 항생제이자 신경안정제이다 | 쓴맛과 소화기 | 쓴맛과 뼈 건강 | 퇴행성관절에는 닭발이 좋다(?) | 개량 채소는 쓴맛이 약하다 | 쓴맛과 매운맛은 정반대의 성미이다 | 쓴맛과 매운맛을 함께 먹으면 막힌 것이 통하여 하강한다 | 쓴맛의 채소와 매운 양념의 조화가 질병을 치료한다

쓴맛이 과다했을 때의 부작용 : 쓴맛이 지나치면 위장을 손상한다

쓴맛과 정신
쓴맛은 급한 마음을 진정시킨다 | 단맛 쓴맛을 다 본 사람이 강해진다 | 쓴맛을 먹으면서 인생의 재기를 노린다 | 기는 항상 우리 곁에 있다

〈8장〉 짠맛에 대하여
짠맛
짠맛은 단단하게 굳은 것을 연하게 만든다 | 짠맛은 인체의 가장 밑까지 내려가며 기를 하강시킨다 | 소금의 소염작용, 해독작용 | 미역과 다시마의 효능 | 소금으로 음식의 간을 맞춘다 | 소금은 건강에도 중요하다 | 소금의 종류와 건강 | 죽염의 효능과 부작용

짠맛(소금)이 과다했을 때의 부작용
소금이 지나치면 신장이 나빠지고 고혈압이 발생한다 | 소금이 지나치면 심장병을 일으킨다 | 소금이 지나치면 위염과 위암 발생률이 높아진다 | 소금이 지나치면 골다공증이 된다 | 소금이 지나치면 비만이 된다 | 염분 줄이기

짠맛과 정신

〈9장〉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
암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기원정사의 음식관

맛에 대한 단상
입맛은 타고나는 것일까, 길들이는 것일까 | 맛이 편중되면 질병이 발생한다 | 오미의 짧은 작용, 긴 작용 | 오미와 오장과의 관계 | 바디 사인에 충실해야 한다 | 기와 미의 작용 순서 | 기미와 작용 부위 | 음식의 조리법이 성미를 바꾼다 | 탕약은 꼭 데워 먹어야 하는가

올바른 식습관
뭘 먹고 살아요? | 올바른 식습관 1 :골고루 먹기 | 올바른 식습관 2 : 제철음식 먹기 | 올바른 식습관 3 : 기후 변화에 따른 식사법

병은 고쳤는데 사람은 죽는다(?)
당뇨병 환자, 신장병 환자 | 만성신부전 금지 음식

소고기체질, 닭고기체질, 돼지고기체질-체질식 비판

물 마시다가 병 생긴다 - 물 마시기와 수독병
물도 음식이다 | 물의 기본 성질은 차다 | 음양탕 건강법 | 가장 올바르게 물 마시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