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과 역사학자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역사관과 역사학자

땅끝
2024-01-05 08:48 154 0

본문

역사관과 역사학자
9788963248806.jpg


도서명 : 역사관과 역사학자
저자/출판사 : 허동현, 북코리아
쪽수 : 480쪽
출판일 : 2022-07-25
ISBN : 9788963248806
정가 : 25000

머리말

I. 「황사영백서」, 개인과 전체 무엇이 더 소중한 가치인가?
1 머리말
2 황사영은 누구인가?
3 백서의 내용은 무엇인가?
4 역사가들은 백서를 어떻게 보았나?
1) 전통적 역적관에 입각한 백서관
2) 식민주의 사관에 입각한 백서관
3) 민족 · 민중주의 사관의 백서관
4) 천주교 역사가들의 백서관
5) 개신교 역사가들의 백서관
6) 북한과 서구학계의 백서관
5 황사영과 백서에 대한 관견(管見)

II. 1894년 동학농민봉기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나?
1 머리말
2 동학농민봉기의 발발과 전개
1) 동학의 탄생과 포교
2) 제1차 동학농민군의 봉기
3) 제2차 동학농민군의 봉기
3 민족 · 민중주의사관 등장 이전 역사가들은 동학농민봉기를 어떻게 보았나?
1) 동시대인의 봉기관
2) 일제 식민지 시대의 봉기관
3) 해방 이후의 봉기관
4 민족 · 민중주의적 동학농민봉기 해석의 공적 기억화
5 통설에 대한 반론
6 관견(管見): 민족 · 민증주의 사관에 입각한 역사해석의 문제점

III. 대한제국은 국민국가인가?
1 머리말
2 비교사 · 국제사의 시야에서 조망한 한 세기 전 실패의 역사
1)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판을 바꾼 서세동점
2) 조선왕조, 국민국가로의 진화에 실패하다
3 대한제국에 대한 역사가들의 인식
1) 동시대인의 대한제국 인식
2) 1970년대 이전 역사가들의 대한제국 인식
3) 1970년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역사가들의 대한제국 인식
4 반론과 관견(管見): 대한제국의 역사적 성격 어떻게 보아야 하나
1) 왜 다시 황제인가?
2) 고종의 눈에 비친 러시아: 침략자인가, 독립의 옹호자인가?
3) 대한제국은 “민국이념”에 기반을 둔 자주적 제국이었나?
4) 개혁 모델로서의 러시아
5) 그들이 꿈꾼 것은 국민국가였는가?

IV.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보이는 현대사 서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1 머리말
2 수정주의 사관에 입각한 한국 현대사 서술의 문제점
1) 제1차 세계대전 전후 미국과 소련의 대외정책에 대한 서술에 보이는 편파성
2)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적색(赤色) 전체주의에 대한 비판의 결여
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소 양국의 중국과 일본 정책 관련 서술에 보이는 편파성
4) 광복 전후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정책 관련 서술에 보이는 편향성
3 통일지상주의 사관에 입각한 한국 현대사 인식의 문제점
1) 독립운동 방법론 평가에 보이는 편파성
2) 북한과 남한의 지도자와 정부에 대한 긍부(肯否)가 대조되는 평가
4 무엇이 문제인가?
5 현대사 교과서 어떻게 써야 하나

V. 근현대 문명전환의 주제를 둘러싼 논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머리말
2 해방 후 문명전환의 주체로 민족을 호명한 민족주의 사관
1) 식민주의 사관 탈피 못한 해방 직후 신(新)민족주의 사관
2)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주의를 결합한 「한국사신론」
3 1980년대 말 민중을 문명전환의 주체로 호명한 민족 · 민중주의 역사학
1) “광무개혁” 논쟁에서 대두한 민족 · 민중주의 사관
2) 사회민주주의 체제의 수립 여부로 바뀐 문명의 기준
4 문명관의 충돌: “비동시성의 동시성”
1) 거대담론 민족과 민중을 해체한 탈민족 · 탈근대 역사학
2) 문명전환의 주체로 제왕(帝王)을 소환한 근왕주의 역사관
3) 신우파 경제성장주의 역사관의 역사수정주의
5 관견(管見): 기억의 내전(civil war)을 넘어서기 위한 제언
1) 기억의 내전: “비동시성의 동시성”
2) 역사기억을 둘러싼 내전의 원인
3) 충돌하는 역사기억을 넘어서기 위한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