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성의 독립운동 자료집
땅끝
2024-01-05 08:48
229
0
본문
한지성의 독립운동 자료집
도서명 : 한지성의 독립운동 자료집
저자/출판사 : 김영범, 선인
쪽수 : 822쪽
출판일 : 2022-07-15
ISBN : 9791160687231
정가 : 90000
간행사 (정홍규)
헌 사 (한석동)
축간사 (이윤기)
기념사 (이종찬)
편자 서문 겸 해제 (김영범)
자료편
Ⅰ. 가계와 성장기
1. 가계와 본향
2. 가천공립보통학교 수학기
3. 대구공립상업학교 수학기
4. 중국국민당 중앙정치학교 수학기
Ⅱ. 독립운동의 주요 경로와 환국
1. 조선의용대 간부
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및 조선민족혁명당 간부
3.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장
4. 결혼과 환국
Ⅲ. 독립운동 관계 논설과 저작
1. 『조선의용대(통신)』 기고문
① 제3호(1939.2.5), 志成, 〈一個日本浮虜的告白〉
② 제4호(1939.2.15), 志成, 〈活躍在戰壕裏的朝鮮義勇隊〉
③ 제7기(1939.3.21), 志成, 〈浮虜牧本君訪問經過〉
④ 제19·20기 합간(1939.8.1), 韓志成, 〈朝鮮靑年?樣反抗日本帝國主義(轉載)〉
⑤ 제24기(1939.9.11), 韓志成, 〈桐村定男的日記〉
⑥ 제28기(1939.11.1), 志成, 〈「中日親善」下的鎭江〉
⑦ 제29기(1939.11.5), 田矢(志成 譯), 〈臺灣統治者的暴虐〉
⑧ 제30기(1939.12.15), 韓志成, 〈目前朝鮮義勇隊的動態〉
⑨ 제30기(1939.12.15), 在樹 譯, 〈物資統制下之日本〉
⑩ 제31기(1940.1.1), 志成 譯, 〈日寇在朝鮮的精神總動員運動〉
⑪ 제31기(1940.1.1), 在樹 譯, 〈物資統制下之日本(續)〉
⑫ 제34기(1940.5.15), 韓志成, 〈目前環境與朝鮮義勇隊今後工作方向〉
⑬ 제34기(1940.5.15), 韓志成, 〈朝鮮「志願兵」問題〉
⑭ 7·7항전 3주년 기념 專號(1940.7.7), 韓志成, 〈‘七七’抗戰中産生的朝鮮義勇隊〉
⑮ 제37기(1940.10.1), 韓志成, 〈二年來的敎訓與今後的工作〉
? 제39기(1941.1.1), 志成, 〈對敵工作硏究綱要〉
? 제40기(3주년기념 특간, 1941.10), 韓志成, 〈朝鮮義勇隊三年來工作的總結〉
2. 대외 기고문과 강연문
① 「조선의용대의 과거와 금후」, 『重慶 大公報』 1940.10.9
② 「지난 2년간 얻은 교훈과 금후의 공작」, 『新華日報』 1940.10.9
③ 「적의 전시 대한정책」, 『戰線日報』 1941.6.9
④ 「조선복국운동」(강연문), 『香港 大公報』 1941.10.31. 【부록】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한지성의 거짓선전」, 『신한민보』 1941.12.4
⑤ 「4동지의 장렬한 순국경과」, 『우리通訊』 제14호, 1942.11.29
⑥ 「1당백의 조선혁명청년」, 『앞길』 제34기, 1944.7.5.; 「1당백의 조선사관」, 『신한민보』 1944.9.21
⑦ 「인도 공작대에 관하야」, 『독립』(Korean Independence) 제3권 제75호, 1945.6.13
3. 편역서 『제2차 세계대전 문헌』 (1946)
Ⅳ. 한지성의 독립운동 관계 기사
1. 조선의용대 본부요원 및 간부
① 조선의용대 총무조원 겸 정치조원 (1938.10)
② 조선의용대 전지특파원 (1939.1)
③ 화중지역에서 조선의용대 전지통신원으로 활동
④ 전방에서 조선의용대 본부로 귀환하고 보고 (1938.8)
⑤ 정치조 업무차 일선 전구 출장 (1939.12)
⑥ 조선의용대의 활동상에 관해 중국인 기자와 담화 (1940.1)
⑦ 조선의용대 본부 정치조 선전주임 겸 편집위원회 중문간 주편위원 (1940.1 현재)
⑧ 조선의용대 본부의 중경 이전 환영회에서 연설 (1940.4.12)
⑨ 조선의용대 본부 외교주임 (1941.5 현재)
⑩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겸 편신조장 (1941.5.14 현재)
⑪ 한지성의 남양 파견에 대한 군사위 정치부의 의견 회신 (1941.5)
⑫ 중국 외교부에서 한지성의 남양 선전공작에 협조키로 했음을 조선의용대에 통지 (1941.6.26)
⑬ 한지성의 남양 선전공작에 협조해주도록 중국 외교부에서 예하 공관에 통보 (1941.6.27.)
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및 임시정부 요원
① 제3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신임의원으로 보선 (1942.10.20)
② 제3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 출석하여 발언 (1942.10.27~11.4)
③ 임시정부 승인을 연합국 정부들에 요구하자는 제안에 참여 (1942.10.28)
④ 의원선거법 제정 결의를 제안함에 참여 (1942.10.29)
⑤ 국가(國歌) 및 군가 제정 결의를 제안함에 참여 (1942.10.29)
⑥ 임시의정원 의원의 교제비·여비 지급 결의를 제안함에 참여 (1942.10.29)
⑦ 임시의정원 의원들이 국내외 동포들에게 보내는 글에 서명 (1942.11)
⑧ 임시정부 선전부 총무과장 겸 선전위원 (1943.4.10~9.20)
⑨ 임시의정원 임시회의 소집 요구서에 서명 날인 (1943.6.28.)
⑩ 임시의정원 의원직을 사임 (1943.10)
3. 조선민족혁명당과 재중경 항일연대조직들의 간부
① 중한문화협회 조직조 부주임으로 선임 (1942.10.17)
② 4당 통일회의에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 대표로 참가 (1942.12)
③ 조선민족혁명당에 합류하고 중앙집행위원으로 피선 (1943.1)
④ 한국청년회 창립에 참여하고 부총간사로 선임 (1943.1.20)
⑤ 재중국자유한인대회 주석단의 일원으로 선언문 등을 발표 (1943.5)
⑥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으로 재선임 (1944.4.14)
⑦ 조선민족혁명당 인도특구부를 조직 (1944.5)
4.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장
① 제1지대 정훈조 중위 조원으로 한국광복군에 편입되다 (1942.7)
② 조선민족혁명당의 조선민족군 선전연락단위 파견협정 계획서 (1943.5)
③ 한국광복군 주인(駐印)연락대의 파견에 관한 협정 초안 (1943)
④ 한국광복군의 재인도 선전공작에 대한 중국 외교부 내부보고 (1943.9)
⑤ 한국광복군 인도공작대 대원 9인의 명단 통보 (1943.10.19)
⑥ 한지성 등의 동향 보고에 관하여 (1943.10.20)
⑦ 한지성 등 파인공작대원 9명의 행동을 탐지 보고하라는 밀전 (1943.10.21)
⑧ 한지성 일행 8인의 인도에서의 동향에 대하여 (1943.10.23)
⑨ 한지성 등 한적 복무단의 재인도 동향에 관한 보고 (1943.11.2)
⑩ 한인 16명의 인도행 추가파견을 중국 군사위에서 승인하지 않음에 대하여 (1943.11.11)
⑪ 파견기한 만료에 따른 한지성 등의 귀환 문제에 관하여 (1944.2.4)
⑫ 한지성 등이 조속히 귀국하도록 전하여 알림에 대하여 (1944.2.18)
⑬ 한지성 등의 파견공작 기간 만료에 따른 군사위원회 조치에 대하여 (1944.7.12)
⑭ 파견공작 기간 만료에 따른 군사위원회의 조치에 대해 문의 (1944.7.22)
⑮ 인도공작대의 활약상에 대한 김약산의 소개 (1944.6.21)
? 파인공작대의 활동에 대해 한지성이 인도에서 보내온 소식 (1944.8)
? 파인공작대의 근황 (1944.8)
? 파인공작대 대장 한지성, 중경으로 일시 귀환 (1944.12)
? 파인공작대 문제에 대한 협조 요청 (1945.1.4)과 오철성의 회신 (1945.1.13)
? 한국광복군 관련 사안들에 대한 중국 군사위원회의 입장과 대책 (1945)
? 군무부 공작보고서 속의 인도공작대 (1945.4.1)
? 한지성 등 파인공작대의 활약상
? 광복군 인도공작대의 근황 (1945.3)
? 한지성이 부인을 인도로 데리고 가는 문제에 대하여 (1945.2.8)
? 파인공작대원 송철 대위가 전사한 Bacon 대위의 부인께 보낸 편지 (1945.4.20.)
5. 해방 후의 ‘완전독립’운동
① 1946.3.21,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 중앙위원
② 1946.5월 초, 민전 상임위원
③ 1946.5.13, 조선민족혁명당(‘민혁당’) 인천지부 결성식 참석
④ 1946.11.30, 민혁당 서울시당부 결성식 사회
⑤ 1947.1, 민혁당 중앙상무위원 겸 민전 상임위원
⑥ 1947.2.17, 민전의 ‘지방선거 민전강령실천대책위원회’ 연락책임위원
⑦ 1947.5.18, ‘ 미소공위 속개 축하 및 민주주의임시정부 수립 촉진 시민대회’ 준비위원회 총무부 위원
⑧ 1947.6.2, 민혁당의 인민공화당으로의 개조 때 중앙위원 겸 조직부장 직 수임
⑨ 1947.7.29, 민전이 주최할 ‘8.15 해방 2주년 기념 시민대회’ 준비위원
⑩ 1947.8.9, 소련대일선전일 기념식에서 기념사
⑪ 1947.8.중순, ‘ 미군정 파괴를 위한 폭동음모’를 이유로 수도경찰청이 수백 명의 좌익인사를 검거해갈 때 같이 피검 구속
⑫ 1947.11.20, 검찰에 송치되어 있던 중 불기소 결정으로 석방
⑬ 1948.2.18, 민전이 주최할 ‘3.1운동 제29주년 기념대회’ 준비위원
⑭ 1948.4.19, 민전이 개최할 ‘단선·단정반대 통일정부수립촉진 인민대회’ 준비위원
회억편
Ⅰ. 연보
1. 한지성의 성장기와 독립운동기 연보
Ⅱ. 회고와 추모
1. 조카들이 어렸을 적 들었던 이야기들
2. 인터뷰를 통해 말하다
3. 다시 불러보는 그 이름 (성재경)
Ⅲ. 연구 논고
1. 韓志成의 생애와 민족운동 (류동연)
2. 한국광복군 印緬戰區工作隊 연구 (박민영)
3.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의 파견 배경과 성격 (류동연)
Ⅳ. 인면전구공작대의 동지 9인
1. 김상준(金尙俊)
2. 김성호(金成浩)
3. 나동규(羅東奎)
4. 문응국(文應國)
5. 박영진(朴永晉)
6. 송 철(宋 哲)
7. 이영수(李英秀)
8. 최봉진(崔鳳鎭)
9. 안원생(安原生)
감사의 말
도서명 : 한지성의 독립운동 자료집
저자/출판사 : 김영범, 선인
쪽수 : 822쪽
출판일 : 2022-07-15
ISBN : 9791160687231
정가 : 90000
간행사 (정홍규)
헌 사 (한석동)
축간사 (이윤기)
기념사 (이종찬)
편자 서문 겸 해제 (김영범)
자료편
Ⅰ. 가계와 성장기
1. 가계와 본향
2. 가천공립보통학교 수학기
3. 대구공립상업학교 수학기
4. 중국국민당 중앙정치학교 수학기
Ⅱ. 독립운동의 주요 경로와 환국
1. 조선의용대 간부
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및 조선민족혁명당 간부
3.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장
4. 결혼과 환국
Ⅲ. 독립운동 관계 논설과 저작
1. 『조선의용대(통신)』 기고문
① 제3호(1939.2.5), 志成, 〈一個日本浮虜的告白〉
② 제4호(1939.2.15), 志成, 〈活躍在戰壕裏的朝鮮義勇隊〉
③ 제7기(1939.3.21), 志成, 〈浮虜牧本君訪問經過〉
④ 제19·20기 합간(1939.8.1), 韓志成, 〈朝鮮靑年?樣反抗日本帝國主義(轉載)〉
⑤ 제24기(1939.9.11), 韓志成, 〈桐村定男的日記〉
⑥ 제28기(1939.11.1), 志成, 〈「中日親善」下的鎭江〉
⑦ 제29기(1939.11.5), 田矢(志成 譯), 〈臺灣統治者的暴虐〉
⑧ 제30기(1939.12.15), 韓志成, 〈目前朝鮮義勇隊的動態〉
⑨ 제30기(1939.12.15), 在樹 譯, 〈物資統制下之日本〉
⑩ 제31기(1940.1.1), 志成 譯, 〈日寇在朝鮮的精神總動員運動〉
⑪ 제31기(1940.1.1), 在樹 譯, 〈物資統制下之日本(續)〉
⑫ 제34기(1940.5.15), 韓志成, 〈目前環境與朝鮮義勇隊今後工作方向〉
⑬ 제34기(1940.5.15), 韓志成, 〈朝鮮「志願兵」問題〉
⑭ 7·7항전 3주년 기념 專號(1940.7.7), 韓志成, 〈‘七七’抗戰中産生的朝鮮義勇隊〉
⑮ 제37기(1940.10.1), 韓志成, 〈二年來的敎訓與今後的工作〉
? 제39기(1941.1.1), 志成, 〈對敵工作硏究綱要〉
? 제40기(3주년기념 특간, 1941.10), 韓志成, 〈朝鮮義勇隊三年來工作的總結〉
2. 대외 기고문과 강연문
① 「조선의용대의 과거와 금후」, 『重慶 大公報』 1940.10.9
② 「지난 2년간 얻은 교훈과 금후의 공작」, 『新華日報』 1940.10.9
③ 「적의 전시 대한정책」, 『戰線日報』 1941.6.9
④ 「조선복국운동」(강연문), 『香港 大公報』 1941.10.31. 【부록】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한지성의 거짓선전」, 『신한민보』 1941.12.4
⑤ 「4동지의 장렬한 순국경과」, 『우리通訊』 제14호, 1942.11.29
⑥ 「1당백의 조선혁명청년」, 『앞길』 제34기, 1944.7.5.; 「1당백의 조선사관」, 『신한민보』 1944.9.21
⑦ 「인도 공작대에 관하야」, 『독립』(Korean Independence) 제3권 제75호, 1945.6.13
3. 편역서 『제2차 세계대전 문헌』 (1946)
Ⅳ. 한지성의 독립운동 관계 기사
1. 조선의용대 본부요원 및 간부
① 조선의용대 총무조원 겸 정치조원 (1938.10)
② 조선의용대 전지특파원 (1939.1)
③ 화중지역에서 조선의용대 전지통신원으로 활동
④ 전방에서 조선의용대 본부로 귀환하고 보고 (1938.8)
⑤ 정치조 업무차 일선 전구 출장 (1939.12)
⑥ 조선의용대의 활동상에 관해 중국인 기자와 담화 (1940.1)
⑦ 조선의용대 본부 정치조 선전주임 겸 편집위원회 중문간 주편위원 (1940.1 현재)
⑧ 조선의용대 본부의 중경 이전 환영회에서 연설 (1940.4.12)
⑨ 조선의용대 본부 외교주임 (1941.5 현재)
⑩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겸 편신조장 (1941.5.14 현재)
⑪ 한지성의 남양 파견에 대한 군사위 정치부의 의견 회신 (1941.5)
⑫ 중국 외교부에서 한지성의 남양 선전공작에 협조키로 했음을 조선의용대에 통지 (1941.6.26)
⑬ 한지성의 남양 선전공작에 협조해주도록 중국 외교부에서 예하 공관에 통보 (1941.6.27.)
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및 임시정부 요원
① 제3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신임의원으로 보선 (1942.10.20)
② 제3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 출석하여 발언 (1942.10.27~11.4)
③ 임시정부 승인을 연합국 정부들에 요구하자는 제안에 참여 (1942.10.28)
④ 의원선거법 제정 결의를 제안함에 참여 (1942.10.29)
⑤ 국가(國歌) 및 군가 제정 결의를 제안함에 참여 (1942.10.29)
⑥ 임시의정원 의원의 교제비·여비 지급 결의를 제안함에 참여 (1942.10.29)
⑦ 임시의정원 의원들이 국내외 동포들에게 보내는 글에 서명 (1942.11)
⑧ 임시정부 선전부 총무과장 겸 선전위원 (1943.4.10~9.20)
⑨ 임시의정원 임시회의 소집 요구서에 서명 날인 (1943.6.28.)
⑩ 임시의정원 의원직을 사임 (1943.10)
3. 조선민족혁명당과 재중경 항일연대조직들의 간부
① 중한문화협회 조직조 부주임으로 선임 (1942.10.17)
② 4당 통일회의에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 대표로 참가 (1942.12)
③ 조선민족혁명당에 합류하고 중앙집행위원으로 피선 (1943.1)
④ 한국청년회 창립에 참여하고 부총간사로 선임 (1943.1.20)
⑤ 재중국자유한인대회 주석단의 일원으로 선언문 등을 발표 (1943.5)
⑥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으로 재선임 (1944.4.14)
⑦ 조선민족혁명당 인도특구부를 조직 (1944.5)
4.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장
① 제1지대 정훈조 중위 조원으로 한국광복군에 편입되다 (1942.7)
② 조선민족혁명당의 조선민족군 선전연락단위 파견협정 계획서 (1943.5)
③ 한국광복군 주인(駐印)연락대의 파견에 관한 협정 초안 (1943)
④ 한국광복군의 재인도 선전공작에 대한 중국 외교부 내부보고 (1943.9)
⑤ 한국광복군 인도공작대 대원 9인의 명단 통보 (1943.10.19)
⑥ 한지성 등의 동향 보고에 관하여 (1943.10.20)
⑦ 한지성 등 파인공작대원 9명의 행동을 탐지 보고하라는 밀전 (1943.10.21)
⑧ 한지성 일행 8인의 인도에서의 동향에 대하여 (1943.10.23)
⑨ 한지성 등 한적 복무단의 재인도 동향에 관한 보고 (1943.11.2)
⑩ 한인 16명의 인도행 추가파견을 중국 군사위에서 승인하지 않음에 대하여 (1943.11.11)
⑪ 파견기한 만료에 따른 한지성 등의 귀환 문제에 관하여 (1944.2.4)
⑫ 한지성 등이 조속히 귀국하도록 전하여 알림에 대하여 (1944.2.18)
⑬ 한지성 등의 파견공작 기간 만료에 따른 군사위원회 조치에 대하여 (1944.7.12)
⑭ 파견공작 기간 만료에 따른 군사위원회의 조치에 대해 문의 (1944.7.22)
⑮ 인도공작대의 활약상에 대한 김약산의 소개 (1944.6.21)
? 파인공작대의 활동에 대해 한지성이 인도에서 보내온 소식 (1944.8)
? 파인공작대의 근황 (1944.8)
? 파인공작대 대장 한지성, 중경으로 일시 귀환 (1944.12)
? 파인공작대 문제에 대한 협조 요청 (1945.1.4)과 오철성의 회신 (1945.1.13)
? 한국광복군 관련 사안들에 대한 중국 군사위원회의 입장과 대책 (1945)
? 군무부 공작보고서 속의 인도공작대 (1945.4.1)
? 한지성 등 파인공작대의 활약상
? 광복군 인도공작대의 근황 (1945.3)
? 한지성이 부인을 인도로 데리고 가는 문제에 대하여 (1945.2.8)
? 파인공작대원 송철 대위가 전사한 Bacon 대위의 부인께 보낸 편지 (1945.4.20.)
5. 해방 후의 ‘완전독립’운동
① 1946.3.21,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 중앙위원
② 1946.5월 초, 민전 상임위원
③ 1946.5.13, 조선민족혁명당(‘민혁당’) 인천지부 결성식 참석
④ 1946.11.30, 민혁당 서울시당부 결성식 사회
⑤ 1947.1, 민혁당 중앙상무위원 겸 민전 상임위원
⑥ 1947.2.17, 민전의 ‘지방선거 민전강령실천대책위원회’ 연락책임위원
⑦ 1947.5.18, ‘ 미소공위 속개 축하 및 민주주의임시정부 수립 촉진 시민대회’ 준비위원회 총무부 위원
⑧ 1947.6.2, 민혁당의 인민공화당으로의 개조 때 중앙위원 겸 조직부장 직 수임
⑨ 1947.7.29, 민전이 주최할 ‘8.15 해방 2주년 기념 시민대회’ 준비위원
⑩ 1947.8.9, 소련대일선전일 기념식에서 기념사
⑪ 1947.8.중순, ‘ 미군정 파괴를 위한 폭동음모’를 이유로 수도경찰청이 수백 명의 좌익인사를 검거해갈 때 같이 피검 구속
⑫ 1947.11.20, 검찰에 송치되어 있던 중 불기소 결정으로 석방
⑬ 1948.2.18, 민전이 주최할 ‘3.1운동 제29주년 기념대회’ 준비위원
⑭ 1948.4.19, 민전이 개최할 ‘단선·단정반대 통일정부수립촉진 인민대회’ 준비위원
회억편
Ⅰ. 연보
1. 한지성의 성장기와 독립운동기 연보
Ⅱ. 회고와 추모
1. 조카들이 어렸을 적 들었던 이야기들
2. 인터뷰를 통해 말하다
3. 다시 불러보는 그 이름 (성재경)
Ⅲ. 연구 논고
1. 韓志成의 생애와 민족운동 (류동연)
2. 한국광복군 印緬戰區工作隊 연구 (박민영)
3.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의 파견 배경과 성격 (류동연)
Ⅳ. 인면전구공작대의 동지 9인
1. 김상준(金尙俊)
2. 김성호(金成浩)
3. 나동규(羅東奎)
4. 문응국(文應國)
5. 박영진(朴永晉)
6. 송 철(宋 哲)
7. 이영수(李英秀)
8. 최봉진(崔鳳鎭)
9. 안원생(安原生)
감사의 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