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과 기능
땅끝
2024-01-05 08:48
189
0
본문
격과 기능
도서명 : 격과 기능
저자/출판사 : 기,세르바, 역락
쪽수 : 348쪽
출판일 : 2022-06-30
ISBN : 9791167423924
정가 : 28000
서론: 고대 이론의 개요
제1부 중세에서 18세기까지: 사변적 시대
제1장 격 체계의 중세적 개념
Ⅰ. 경험적 유산과 스콜라 문법
Ⅱ. 스콜라 이론에서 격 체계의 위치
Ⅲ. 격에 대한 더 자세한 검토
Ⅳ. 결론
제2장 상티우스와 스키오피우스: 16세기의 이성 대 언어사용
Ⅰ. 새로운 학파의 일반적 특징
Ⅱ. 격에 대한 더 상세한 검토
Ⅲ. 결론
제3장 포르루아얄 문법과 이성주의 경향(17~18세기)
Ⅰ. 랑슬로와 상티우스
Ⅱ. 《NM》과 《GGR》
Ⅲ. 19세기 초까지 《GGR》의 영향
Ⅳ. 소위 《데카르트》 문법의 현대적 부흥: 노암 촘스키
제2부 19세기: 문법에 열린 공간과 시간
제4장 소장문법학파 학자들과 격의 통사론
Ⅰ. 두 가지 새로운 관점: 공간, 시간
Ⅱ. 고전적 선험주의와 낭만주의 신화에 대한 완전한 거부
Ⅲ. 소장문법학파의 격 개념
Ⅳ. 소장문법학파의 한계, 약점, 오류
제3부 구조주의: 《전체주의》 시대
제5장 코펜하겐 학파: 옐름슬레우의 《격 범주》
제6장 프라그 학파: 야콥슨의 관점에서 본 《러시아어 격의 전반적 의미》
Ⅰ. 야콥슨의 격 체계(러시아어)
Ⅱ. 야콥슨의 체계에 대한 고찰
제7장 예지 쿠리우오비치의 라틴어 격 처리: 구조주의의 겉모습을 하고 있는 고대 이론
Ⅰ. 쿠리우오비치 학설의 윤곽
Ⅱ. 문법적 격
Ⅲ. 《구체적》 격의 부분집합
제8장 루시앙 테니에르의 독일 계승자들에게 있어서의 행위 구조
Ⅰ. 하프의 의존이론 개관
Ⅱ. 기본 테스트의 타당성: 《facere(하다)》
Ⅲ. 필수적 행위자의 생략
Ⅳ. 선택적 행위자
Ⅴ. 주어와 목적어
Ⅵ. 결론
제9장 《기능주의》 통사론: 앙드레 마르티네와 그의 학파
제10장 생성주의: 필모어의 《격을 위한 격》
Ⅰ. 이전 설명에 대한 필모어의 비판
Ⅱ. 문장과 격에 대한 필모어의 일반적인 견해
Ⅲ. 표층구조로의 전환
Ⅳ. 필모어의 이론에 대한 관찰
결론
도서명 : 격과 기능
저자/출판사 : 기,세르바, 역락
쪽수 : 348쪽
출판일 : 2022-06-30
ISBN : 9791167423924
정가 : 28000
서론: 고대 이론의 개요
제1부 중세에서 18세기까지: 사변적 시대
제1장 격 체계의 중세적 개념
Ⅰ. 경험적 유산과 스콜라 문법
Ⅱ. 스콜라 이론에서 격 체계의 위치
Ⅲ. 격에 대한 더 자세한 검토
Ⅳ. 결론
제2장 상티우스와 스키오피우스: 16세기의 이성 대 언어사용
Ⅰ. 새로운 학파의 일반적 특징
Ⅱ. 격에 대한 더 상세한 검토
Ⅲ. 결론
제3장 포르루아얄 문법과 이성주의 경향(17~18세기)
Ⅰ. 랑슬로와 상티우스
Ⅱ. 《NM》과 《GGR》
Ⅲ. 19세기 초까지 《GGR》의 영향
Ⅳ. 소위 《데카르트》 문법의 현대적 부흥: 노암 촘스키
제2부 19세기: 문법에 열린 공간과 시간
제4장 소장문법학파 학자들과 격의 통사론
Ⅰ. 두 가지 새로운 관점: 공간, 시간
Ⅱ. 고전적 선험주의와 낭만주의 신화에 대한 완전한 거부
Ⅲ. 소장문법학파의 격 개념
Ⅳ. 소장문법학파의 한계, 약점, 오류
제3부 구조주의: 《전체주의》 시대
제5장 코펜하겐 학파: 옐름슬레우의 《격 범주》
제6장 프라그 학파: 야콥슨의 관점에서 본 《러시아어 격의 전반적 의미》
Ⅰ. 야콥슨의 격 체계(러시아어)
Ⅱ. 야콥슨의 체계에 대한 고찰
제7장 예지 쿠리우오비치의 라틴어 격 처리: 구조주의의 겉모습을 하고 있는 고대 이론
Ⅰ. 쿠리우오비치 학설의 윤곽
Ⅱ. 문법적 격
Ⅲ. 《구체적》 격의 부분집합
제8장 루시앙 테니에르의 독일 계승자들에게 있어서의 행위 구조
Ⅰ. 하프의 의존이론 개관
Ⅱ. 기본 테스트의 타당성: 《facere(하다)》
Ⅲ. 필수적 행위자의 생략
Ⅳ. 선택적 행위자
Ⅴ. 주어와 목적어
Ⅵ. 결론
제9장 《기능주의》 통사론: 앙드레 마르티네와 그의 학파
제10장 생성주의: 필모어의 《격을 위한 격》
Ⅰ. 이전 설명에 대한 필모어의 비판
Ⅱ. 문장과 격에 대한 필모어의 일반적인 견해
Ⅲ. 표층구조로의 전환
Ⅳ. 필모어의 이론에 대한 관찰
결론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