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당의 종소리
로즈
2023-12-20 09:30
182
0
본문
만당의 종소리
도서명 : 만당의 종소리
저자/출판사 : 푸다오빈, 소명출판
쪽수 : 684쪽
출판일 : 2022-06-20
ISBN : 9791159057007
정가 : 57000
책머리에 / 3
프롤로그 / 9
제1장 흥興과 상象 원형에 관한 오래된 주석 15
1. 머리말 17
2. 원형-인류문화사의 화석 18
3. 흥興과 상象-중국문화의 원형체계 23
4. 흥상체계와 「역경」의 총론, 「시경」의 총론 38
5. 흥상체계의 문화코드 해독 47
6. 맺음말 66
제2장 중국의 달과 그 예술적 상징 69
1. 머리말 71
2. 달과 여성 및 모성세계의 원형 72
3. 달 본체와 중국철학 및 지혜의 상징 83
4. 달의 원형과 고전적 의경意境의 창조 93
5. 달과 중국문인들의 심상 구성 109
6. 맺음말 118
제3장 중국문학의 황혼정서 119
1. 머리말 121
2. 어둠 속으로 밀려드는 슬픔-황혼의 시간적 의미와 중국문인들의 심리 122
3. 그림 같은 석양-황혼의 공간적 의미:슬픔의 미학적 전통 150
4. 발걸음을 재촉하는 석양-해의 고향과 정신적 고향:‘황혼회귀’의 테제와 안티테제 171
5. 해를 보내는 의식-문화 속의 황혼과 석양:황혼 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183
6. 맺음말 189
제4장 숲의 상징과 그 문학적 함의 191
1. 머리말 193
2. ‘황금가지’-사수社樹, 나무 숭배와 고향으로서의 숲 193
3. 상림桑林의 제사와 상원桑園의 노래 204
4. 슬픔과 기쁨의 숲 그리고 은거를 꿈꾸는 사대부들 216
5. 숲의 의경과 고향의 계시 223
6. 맺음말 231
제5장 비雨 고전 이미지의 원형 분석 233
1. 머리말 235
2. 시와 비의 관계와 기우제 237
3. 기우祈雨ㆍ폭우暴雨ㆍ운우雲雨 원형과 희우喜雨ㆍ고우苦雨ㆍ사랑의 정서 양식 246
4. 물상과 심상-슬픔의 비, 정화의 비, 선정의 비 268
5. 빗속의 낮은 읊조림과 한밤의 빗소리-비의 공간적 이미지와 심미적 경계 289
6. 맺음말 308
제6장 문門 한 낱말에 대한 시학적 비평 313
1. 머리말 315
2. 문의 어원적, 문화적, 상징적 의미 고찰 316
3. 새로운 명명命名-문의 상징적 의미 분석 330
4. 닫힌 문-특별한 시학적 이미지 기호 359
5. 문-예술 형식에 대한 심미적 분석 377
6. 맺음말 385
제7장 당시唐詩의 종소리 387
1. 머리말 389
2. 종고도지鐘鼓道志-당시에 나타난 종소리의 역사적 의미 390
3. 종경청심鐘磬?心-당시 속에 울려 퍼지는 선禪의 종소리 405
4. 당시에 나타난 종소리의 시간적 의미 426
5. 종소리의 수사적 의미 및 예술적 품격 438
6. 맺음말 456
제8장 등불과 촛불의 시 459
1. 머리말 461
2. 등불과 촛불을 위한 노래, 빛과 불의 원시 숭배 463
3. 마음의 등불-철학과 지혜의 은유 479
4. 타오르는 등불과 촛불-‘경전적 이미지’의 형식적 구성 490
5. 등불과 촛불의 인격정신 509
6. 맺음말 515
제9장 배와 시 문명적 사고와 예술적 고찰 517
1. 머리말 519
2. 배의 발명 및 문화적 의의 고찰 522
3. 이섭대천利涉大川-배 이미지의 사상과 상징적 의미 536
4. 외로운 나그네 배와 옛 시인들의 정신세계 550
5. 그림배?舫의 심미성과 예술적 표현 585
6. 맺음말 608
제10장 돌의 이야기 「홍루몽」의 상징세계에 대한 원형비평 611
1. 머리말 613
2. 돌의 이야기-「홍루몽」의 사시四時 구조 614
3. 돌과 옥-「홍루몽」 속 두 개의 세계 629
4. 슬픔의 돌-가보옥의 이중적 역할 646
5. 돌의 내력-돌 이미지의 문화와 문헌 출처 655
6. 돌의 이야기-돌의 언어와 수사적 의미 673
7. 맺음말 680
후기 / 681
재판 후기 / 683
도서명 : 만당의 종소리
저자/출판사 : 푸다오빈, 소명출판
쪽수 : 684쪽
출판일 : 2022-06-20
ISBN : 9791159057007
정가 : 57000
책머리에 / 3
프롤로그 / 9
제1장 흥興과 상象 원형에 관한 오래된 주석 15
1. 머리말 17
2. 원형-인류문화사의 화석 18
3. 흥興과 상象-중국문화의 원형체계 23
4. 흥상체계와 「역경」의 총론, 「시경」의 총론 38
5. 흥상체계의 문화코드 해독 47
6. 맺음말 66
제2장 중국의 달과 그 예술적 상징 69
1. 머리말 71
2. 달과 여성 및 모성세계의 원형 72
3. 달 본체와 중국철학 및 지혜의 상징 83
4. 달의 원형과 고전적 의경意境의 창조 93
5. 달과 중국문인들의 심상 구성 109
6. 맺음말 118
제3장 중국문학의 황혼정서 119
1. 머리말 121
2. 어둠 속으로 밀려드는 슬픔-황혼의 시간적 의미와 중국문인들의 심리 122
3. 그림 같은 석양-황혼의 공간적 의미:슬픔의 미학적 전통 150
4. 발걸음을 재촉하는 석양-해의 고향과 정신적 고향:‘황혼회귀’의 테제와 안티테제 171
5. 해를 보내는 의식-문화 속의 황혼과 석양:황혼 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183
6. 맺음말 189
제4장 숲의 상징과 그 문학적 함의 191
1. 머리말 193
2. ‘황금가지’-사수社樹, 나무 숭배와 고향으로서의 숲 193
3. 상림桑林의 제사와 상원桑園의 노래 204
4. 슬픔과 기쁨의 숲 그리고 은거를 꿈꾸는 사대부들 216
5. 숲의 의경과 고향의 계시 223
6. 맺음말 231
제5장 비雨 고전 이미지의 원형 분석 233
1. 머리말 235
2. 시와 비의 관계와 기우제 237
3. 기우祈雨ㆍ폭우暴雨ㆍ운우雲雨 원형과 희우喜雨ㆍ고우苦雨ㆍ사랑의 정서 양식 246
4. 물상과 심상-슬픔의 비, 정화의 비, 선정의 비 268
5. 빗속의 낮은 읊조림과 한밤의 빗소리-비의 공간적 이미지와 심미적 경계 289
6. 맺음말 308
제6장 문門 한 낱말에 대한 시학적 비평 313
1. 머리말 315
2. 문의 어원적, 문화적, 상징적 의미 고찰 316
3. 새로운 명명命名-문의 상징적 의미 분석 330
4. 닫힌 문-특별한 시학적 이미지 기호 359
5. 문-예술 형식에 대한 심미적 분석 377
6. 맺음말 385
제7장 당시唐詩의 종소리 387
1. 머리말 389
2. 종고도지鐘鼓道志-당시에 나타난 종소리의 역사적 의미 390
3. 종경청심鐘磬?心-당시 속에 울려 퍼지는 선禪의 종소리 405
4. 당시에 나타난 종소리의 시간적 의미 426
5. 종소리의 수사적 의미 및 예술적 품격 438
6. 맺음말 456
제8장 등불과 촛불의 시 459
1. 머리말 461
2. 등불과 촛불을 위한 노래, 빛과 불의 원시 숭배 463
3. 마음의 등불-철학과 지혜의 은유 479
4. 타오르는 등불과 촛불-‘경전적 이미지’의 형식적 구성 490
5. 등불과 촛불의 인격정신 509
6. 맺음말 515
제9장 배와 시 문명적 사고와 예술적 고찰 517
1. 머리말 519
2. 배의 발명 및 문화적 의의 고찰 522
3. 이섭대천利涉大川-배 이미지의 사상과 상징적 의미 536
4. 외로운 나그네 배와 옛 시인들의 정신세계 550
5. 그림배?舫의 심미성과 예술적 표현 585
6. 맺음말 608
제10장 돌의 이야기 「홍루몽」의 상징세계에 대한 원형비평 611
1. 머리말 613
2. 돌의 이야기-「홍루몽」의 사시四時 구조 614
3. 돌과 옥-「홍루몽」 속 두 개의 세계 629
4. 슬픔의 돌-가보옥의 이중적 역할 646
5. 돌의 내력-돌 이미지의 문화와 문헌 출처 655
6. 돌의 이야기-돌의 언어와 수사적 의미 673
7. 맺음말 680
후기 / 681
재판 후기 / 683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