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미그란스
로즈
2023-12-20 09:30
170
0
본문
호모 미그란스
도서명 : 호모 미그란스
저자/출판사 : 정인모,원윤희,허남영,서명숙,이송이,김경연,황국명,조, 역락
쪽수 : 280쪽
출판일 : 2022-06-15
ISBN : 9791167424181
정가 : 19000
머리말
01_독일 문학 속 이주 서사
독일 난민/이민문학의 흐름과 특징
1. 독일 이민문학의 현주소
2. 독일의 망명문학과 난민/이민문학의 흐름에 대한 고찰
3. 망명문학과 이민문학에 나타난 특징
4. 독일 난민/이민문학의 정체성
하인리히 뵐의 ‘타자’에 대한 이해 - 『여인과 군상』을 중심으로
1. ‘나’와 ‘타자’
2. 시대 및 ‘타자’에 대한 뵐의 인식
3. 뵐 작품에 나타난 ‘타자’
4. 뵐의 인도주의
에스노그래피로서의 문학의 가능성 - 르포문학과 디아스포라문학을 중심으로
1. 문학과 인류학
2. 에스노그래피의 문학화
3. 문학의 에스노그래피화
4. 새로운 에스노그래피의 가능성
『아담과 에블린』을 통해 바라본 이주 서사와 실존 문제
1. 장벽의 넘어서
2. 이주와 실존-정체성의 탐구
3. 『아담과 에블린』에 나타난 이주와 실존의 문제
4. 파라다이스는 존재하는가?
02_프랑스 문학 속 이민 서사
엘리자 수아 뒤사팽의 『파친코 구슬』에서 본 디아스포라 서사
1. 재일한국인 디아스포라
2. 절제된 글쓰기
3. 디아스포라 서사와 ‘진퇴양난’의 테마
4. 새로운 서사를 향해
창조된 정체성-이민서사로 본 자크 오디아르(Jacques Audiard)의 〈예언자(Un prophèe)〉
1. 자크 오디아르 - 프랑스 영화의 어떤 풍경
2. 충돌과 공존
3. 공백과 창조 172
4. 경계의 육체, 경계의 장르
5. 계승과 창조
03_한국 문학 속 탈북 서사
경계에서 이야기하기 -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다른’ 고백의 정치
1. ‘밥도 말도 없는 죽음’에 대한 성찰
2. 탈북 여성들은 ‘이야기’할 수 있는가 - 고백과 파레시아 사이
3. 탈북여성난민의 증언과 이언어적 번역의 정치
4. 우정의 정치를 위하여
탈북난민과 증언으로서의 서정 - 탈북시인 백이무 시를 중심으로
1. 한국형 난민의 발견과 탈북시
2. 탈북난민과 환대 불/가능성
3. 백이무 시의 고발적 주제 양상
4. 증언형식의 불가피성
5. 공존을 희망하며 - 탈북시의 남은 과제
[부록] 모니카 마론과의 인터뷰
저자 소개
도서명 : 호모 미그란스
저자/출판사 : 정인모,원윤희,허남영,서명숙,이송이,김경연,황국명,조, 역락
쪽수 : 280쪽
출판일 : 2022-06-15
ISBN : 9791167424181
정가 : 19000
머리말
01_독일 문학 속 이주 서사
독일 난민/이민문학의 흐름과 특징
1. 독일 이민문학의 현주소
2. 독일의 망명문학과 난민/이민문학의 흐름에 대한 고찰
3. 망명문학과 이민문학에 나타난 특징
4. 독일 난민/이민문학의 정체성
하인리히 뵐의 ‘타자’에 대한 이해 - 『여인과 군상』을 중심으로
1. ‘나’와 ‘타자’
2. 시대 및 ‘타자’에 대한 뵐의 인식
3. 뵐 작품에 나타난 ‘타자’
4. 뵐의 인도주의
에스노그래피로서의 문학의 가능성 - 르포문학과 디아스포라문학을 중심으로
1. 문학과 인류학
2. 에스노그래피의 문학화
3. 문학의 에스노그래피화
4. 새로운 에스노그래피의 가능성
『아담과 에블린』을 통해 바라본 이주 서사와 실존 문제
1. 장벽의 넘어서
2. 이주와 실존-정체성의 탐구
3. 『아담과 에블린』에 나타난 이주와 실존의 문제
4. 파라다이스는 존재하는가?
02_프랑스 문학 속 이민 서사
엘리자 수아 뒤사팽의 『파친코 구슬』에서 본 디아스포라 서사
1. 재일한국인 디아스포라
2. 절제된 글쓰기
3. 디아스포라 서사와 ‘진퇴양난’의 테마
4. 새로운 서사를 향해
창조된 정체성-이민서사로 본 자크 오디아르(Jacques Audiard)의 〈예언자(Un prophèe)〉
1. 자크 오디아르 - 프랑스 영화의 어떤 풍경
2. 충돌과 공존
3. 공백과 창조 172
4. 경계의 육체, 경계의 장르
5. 계승과 창조
03_한국 문학 속 탈북 서사
경계에서 이야기하기 -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다른’ 고백의 정치
1. ‘밥도 말도 없는 죽음’에 대한 성찰
2. 탈북 여성들은 ‘이야기’할 수 있는가 - 고백과 파레시아 사이
3. 탈북여성난민의 증언과 이언어적 번역의 정치
4. 우정의 정치를 위하여
탈북난민과 증언으로서의 서정 - 탈북시인 백이무 시를 중심으로
1. 한국형 난민의 발견과 탈북시
2. 탈북난민과 환대 불/가능성
3. 백이무 시의 고발적 주제 양상
4. 증언형식의 불가피성
5. 공존을 희망하며 - 탈북시의 남은 과제
[부록] 모니카 마론과의 인터뷰
저자 소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