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무의식
로즈
2023-12-20 09:30
143
0
본문
불교의 무의식
도서명 : 불교의 무의식
저자/출판사 : 윌리엄,왈드론, 운주사
쪽수 : 456쪽
출판일 : 2022-06-15
ISBN : 9788957466964
정가 : 23000
발간사ㆍ5
서언ㆍ7
주제에 따른 서문 자아와 세계의 구성에 대한 불교의 비판ㆍ17
제1부 알라야식의 배경과 맥락 29
I. 초기불교의 배경 31
1. 존재의 세 가지 특징ㆍ31
2. 연기의 정형구ㆍ36
1) 자아 없는 인과와 지속성ㆍ47
3. 연기의 정형구에서 식(vi????a)ㆍ53
1) 의식으로서의 식ㆍ57
2) 인지적 앎으로서의 식(vi????a)ㆍ74
3) 인지적 과정들과 업의 산출ㆍ80
4. 잠재적 경향성(anu?aya, 隨眠)ㆍ86
1) 아만의 잠재적 경향성과 희론(papa?ca)ㆍ92
2) 잠재성 vs. 분출성에 대한 논쟁ㆍ99
5. 식의 두 측면 사이의 상호적인 인과성ㆍ105
II. 아비달마의 맥락 115
1. 아비달마 프로젝트와 그것의 문제점ㆍ115
1) 아비달마의 배경ㆍ118
2. 아비달마의 목적과 방법: 경험의 불가환원적 요소로서의 다르마ㆍ124
3. 기본적인 문제점: 설법의 두 차원, 심의 두 차원ㆍ136
4. 심과 심작용(心所)의 분석ㆍ141
1) 공시적 차원에서 문제점의 최초의 형성: 『논사』에서 업의 잠재성의 축적과 잠재적 경향성의 나타남, 그리고 그것들의 정화ㆍ147
2) 통시적 차원에서 문제: 즉각적인 연결 vs. 업의 잠재성의 존속ㆍ156
5. 전통적인 지속성의 존속: 『구사론』에서 업과 번뇌ㆍ168
6. 아비달마의 문제점들과 그 반응ㆍ176
1) 유부의 ‘득’(pr?pti) 이론ㆍ179
2) 심의 흐름(sant?na)에서 경량부의 ‘종자(b?ja)’설ㆍ184
7. 심과 종자, 심의 흐름에 의해 제기된 문제들ㆍ190
8. 상좌부의 유분심(bhava?ga-citta)ㆍ202
9. 결론ㆍ212
제2부 유가행파 전통에서 알라야식 219
III. 초기 전통에서 알라야식 221
1. 알라야식의 기원ㆍ221
2. 『해심밀경』에서 심의 새로운 모델ㆍ228
1) 심적 흐름으로서의 알라야식ㆍ240
3. 『유가론』의 알라야 논증문헌ㆍ245
1) 증명부분(Proof Portion)ㆍ246
4. 〈알라야 논증문헌〉의 유전문(Prav?tti Portion): 아비달마의 용어로 알라야식을 분석하기ㆍ258
1) 알라야식의 잠재적인 인식대상과 인지과정ㆍ261
2) 알라야식과 전식(prav?tti-vij??na)의 상호적이고 동시적인 관계ㆍ270
3) 알라야식과 염오의의 동시적 생기ㆍ280
5. 알라야 논증문헌의 환멸문: 알라야식을 윤회적 지속과 동일시하기ㆍ296
6. 결론ㆍ304
I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1) 306
1. 전통적 불교 체계에 따른 구성ㆍ309
1) 성문승에서 알라야식의 동의어ㆍ311
2) 두 가지의 식과 두 가지 연기ㆍ313
3) 알라야식의 종자: 동시적인 내성 심리적 인과성으로서의 업의 과정ㆍ320
2. 아비달마적인 문제의 해결ㆍ329
1) 업과 재생 그리고 알라야식ㆍ331
2) 번뇌(kle?a)들의 지속성ㆍ336
3) 세간적이고 출세간적인 청정한 수행도ㆍ353
3. 아비달마를 넘어서: 우연적 번뇌와 청정한 종자, 자성청정심ㆍ358
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2) 369
1. 명언습기와 아견, 그리고 생명의 구성요소ㆍ371
2. 공통된 경험, 공통된 체화: 언어와 알라야식, 그리고 “세계의 생기”ㆍ373
부록 1 연기의 계열: 번뇌와 업, 그것들의 결과ㆍ397
부록 2 관련된 논쟁들의 색인ㆍ399
부록 3 『유가론』 「섭결택분」의 유전문과 환멸문의 번역ㆍ407
참고문헌ㆍ429
역자 후기ㆍ442
찾아보기ㆍ451
도서명 : 불교의 무의식
저자/출판사 : 윌리엄,왈드론, 운주사
쪽수 : 456쪽
출판일 : 2022-06-15
ISBN : 9788957466964
정가 : 23000
발간사ㆍ5
서언ㆍ7
주제에 따른 서문 자아와 세계의 구성에 대한 불교의 비판ㆍ17
제1부 알라야식의 배경과 맥락 29
I. 초기불교의 배경 31
1. 존재의 세 가지 특징ㆍ31
2. 연기의 정형구ㆍ36
1) 자아 없는 인과와 지속성ㆍ47
3. 연기의 정형구에서 식(vi????a)ㆍ53
1) 의식으로서의 식ㆍ57
2) 인지적 앎으로서의 식(vi????a)ㆍ74
3) 인지적 과정들과 업의 산출ㆍ80
4. 잠재적 경향성(anu?aya, 隨眠)ㆍ86
1) 아만의 잠재적 경향성과 희론(papa?ca)ㆍ92
2) 잠재성 vs. 분출성에 대한 논쟁ㆍ99
5. 식의 두 측면 사이의 상호적인 인과성ㆍ105
II. 아비달마의 맥락 115
1. 아비달마 프로젝트와 그것의 문제점ㆍ115
1) 아비달마의 배경ㆍ118
2. 아비달마의 목적과 방법: 경험의 불가환원적 요소로서의 다르마ㆍ124
3. 기본적인 문제점: 설법의 두 차원, 심의 두 차원ㆍ136
4. 심과 심작용(心所)의 분석ㆍ141
1) 공시적 차원에서 문제점의 최초의 형성: 『논사』에서 업의 잠재성의 축적과 잠재적 경향성의 나타남, 그리고 그것들의 정화ㆍ147
2) 통시적 차원에서 문제: 즉각적인 연결 vs. 업의 잠재성의 존속ㆍ156
5. 전통적인 지속성의 존속: 『구사론』에서 업과 번뇌ㆍ168
6. 아비달마의 문제점들과 그 반응ㆍ176
1) 유부의 ‘득’(pr?pti) 이론ㆍ179
2) 심의 흐름(sant?na)에서 경량부의 ‘종자(b?ja)’설ㆍ184
7. 심과 종자, 심의 흐름에 의해 제기된 문제들ㆍ190
8. 상좌부의 유분심(bhava?ga-citta)ㆍ202
9. 결론ㆍ212
제2부 유가행파 전통에서 알라야식 219
III. 초기 전통에서 알라야식 221
1. 알라야식의 기원ㆍ221
2. 『해심밀경』에서 심의 새로운 모델ㆍ228
1) 심적 흐름으로서의 알라야식ㆍ240
3. 『유가론』의 알라야 논증문헌ㆍ245
1) 증명부분(Proof Portion)ㆍ246
4. 〈알라야 논증문헌〉의 유전문(Prav?tti Portion): 아비달마의 용어로 알라야식을 분석하기ㆍ258
1) 알라야식의 잠재적인 인식대상과 인지과정ㆍ261
2) 알라야식과 전식(prav?tti-vij??na)의 상호적이고 동시적인 관계ㆍ270
3) 알라야식과 염오의의 동시적 생기ㆍ280
5. 알라야 논증문헌의 환멸문: 알라야식을 윤회적 지속과 동일시하기ㆍ296
6. 결론ㆍ304
I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1) 306
1. 전통적 불교 체계에 따른 구성ㆍ309
1) 성문승에서 알라야식의 동의어ㆍ311
2) 두 가지의 식과 두 가지 연기ㆍ313
3) 알라야식의 종자: 동시적인 내성 심리적 인과성으로서의 업의 과정ㆍ320
2. 아비달마적인 문제의 해결ㆍ329
1) 업과 재생 그리고 알라야식ㆍ331
2) 번뇌(kle?a)들의 지속성ㆍ336
3) 세간적이고 출세간적인 청정한 수행도ㆍ353
3. 아비달마를 넘어서: 우연적 번뇌와 청정한 종자, 자성청정심ㆍ358
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2) 369
1. 명언습기와 아견, 그리고 생명의 구성요소ㆍ371
2. 공통된 경험, 공통된 체화: 언어와 알라야식, 그리고 “세계의 생기”ㆍ373
부록 1 연기의 계열: 번뇌와 업, 그것들의 결과ㆍ397
부록 2 관련된 논쟁들의 색인ㆍ399
부록 3 『유가론』 「섭결택분」의 유전문과 환멸문의 번역ㆍ407
참고문헌ㆍ429
역자 후기ㆍ442
찾아보기ㆍ451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