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기준점 찾기
로즈
2023-12-20 09:30
145
0
본문
한국사의 기준점 찾기
도서명 : 한국사의 기준점 찾기
저자/출판사 : 오운홍, 시간의물레
쪽수 : 344쪽
출판일 : 2022-06-08
ISBN : 9788965113300
정가 : 20000
4집을 내면서
제1장 한국사의 기준점 찾기
1. 역사의 기준점 지명을 찾아야 한다
2. 초기 신라의 위치로 본 백제와 마한
3. 역사의 곡해와 왜곡을 푸는 살수와 견아성 찾기
4. 역사 해석의 오류가 낳은 청천강 살수
5. 살수, 패수, 요수를 찾아야 역사가 바로 선다
6. 요동과 요서의 경계를 알아야 역사가 보인다
7. 하나 더 명확히 해야 할 낙랑군의 위치
8. 한반도의 낙랑 유물은 가짜로 판명났다
9. 수경주(水經注)와 임둔 봉니로 찾아낸 낙랑 땅
10. 낙랑 땅은 독특한 문화와 역사가 있는 땅이다
11. 험독현의 왕험성은 번조선의 왕검성이며 그 위치는?
제2장 다시 봐야 할 중국 사서의 마한
1. ‘고등학교 한국사’는 국사학계의 시각이다
2. 중국 사서는 왜 마한을 기록했을까?
3. 중국 사서의 기록을 한반도 마한사로 착각하다
4. 마한이란 명칭의 유래는 삼한과 삼조선에서 비롯된다
5. 국내 사서, 『삼국사기』의 마한 무대는 중국 대륙이다
6. 고구려 태조왕 때 ‘마한 기록’은 사실이다
7. 태조왕은 한반도 마한과 연합하지 않았다
8. 마한 54개국은 한반도에 존재하지 않았다
9. 야마토 왜(倭)는 한반도 마한과 무관하다
10. 진한, 변진, 마한은 한반도가 아닌 중국 대륙이다
제3장 준왕(한왕)의 해중 거한지(居韓地)를 찾다
1. 마한사 왜곡은 어디서 비롯되었나?
2. 준왕(準王)의 거한지(居韓地) 마한을 추적하다
3. 준왕의 거한지는 기준성이 아닌 대왕가도이다
4. 준왕의 해중 왕국 관련 문헌들
5. 마한 역사 왜곡의 주범과 공범을 찾다
6. 한백겸의 왜곡된 주장이 낳은 문헌사를 살피다
7. 한백겸은 왜 옹졸한 반도 사관을 내놓았을까?
8. 단재의 삼한설은 한백겸의 삼한설을 보충했다
9. 안정복의 단군론, 일본의 정한론(征韓論)자를 돕다
10. ‘고구려계승론’을 주장한 최치원이 맞다
11. 문헌 사학계는 고고학계와 발을 맞춰야 한다
제4장 한반도의 유적과 마한 분묘
1. 한반도에 산재한 유력 개인묘와 마한 유적
2. 청동기시대의 검단(黔丹)과 이성산성 왕국 연구
3. ‘이성산성’ 보다 ‘검단산성’ 명칭이 더 타당하다
4. 공주 수촌리 유물과 학계의 해석을 보며
5. 미스터리 한국사를 만들어내는 역사 왜곡의 현장
6. 수촌리 무덤 양식의 변화에서 key를 얻다
7. 수촌리 유물은 무령왕릉 매지권에 상당하는 물품이다
8. 전남 지역 마한 유적의 발굴과 분포
9. 왜색(?) 고분이라는 전방후원분 해석에 대하여
10. 학계를 혼란으로 이끄는 다양한 분묘 형태의 원인
11. 방대형 고분의 축조 기법은 일본보다 앞선 기술
12. 분구묘의 출현은 묘제의 변천인가, 전래인가?
13. 전방후원분이 전남에 편중된 이유가 뭔가?
14. 전남·북 지역의 마한 유적에 대한 재탐색
제5장 바다를 건너온 마한, 그리고 뱃길
1. 제주도에서 발견된 옹관묘
2. 옹관묘는 제주식 분묘가 아니다
3. 제주도를 경유했다는 고대 항로의 흔적이 있다
4. 한·중·일 연결의 ‘서복 항로’는 전설이 아니다
5. 서복 항로 중심에 제주도가 있다
6. 서복 항로 관련 문헌 기록들
7. 마한은 중국에서 바다 건너 이주했다
8. 마한도이설(馬韓渡移說)의 일반화 적용 사례
9. 고창 마한의 이동 경로는 해저 노령산맥이다
10. 한반도 마한의 정체성 탐색
11. 마한계와 가야계의 이동 목적이 다르다
12. 중국 사서의 마한사와 한반도 마한을 정리하다
편집후기
찾아보기
참고문헌
도서명 : 한국사의 기준점 찾기
저자/출판사 : 오운홍, 시간의물레
쪽수 : 344쪽
출판일 : 2022-06-08
ISBN : 9788965113300
정가 : 20000
4집을 내면서
제1장 한국사의 기준점 찾기
1. 역사의 기준점 지명을 찾아야 한다
2. 초기 신라의 위치로 본 백제와 마한
3. 역사의 곡해와 왜곡을 푸는 살수와 견아성 찾기
4. 역사 해석의 오류가 낳은 청천강 살수
5. 살수, 패수, 요수를 찾아야 역사가 바로 선다
6. 요동과 요서의 경계를 알아야 역사가 보인다
7. 하나 더 명확히 해야 할 낙랑군의 위치
8. 한반도의 낙랑 유물은 가짜로 판명났다
9. 수경주(水經注)와 임둔 봉니로 찾아낸 낙랑 땅
10. 낙랑 땅은 독특한 문화와 역사가 있는 땅이다
11. 험독현의 왕험성은 번조선의 왕검성이며 그 위치는?
제2장 다시 봐야 할 중국 사서의 마한
1. ‘고등학교 한국사’는 국사학계의 시각이다
2. 중국 사서는 왜 마한을 기록했을까?
3. 중국 사서의 기록을 한반도 마한사로 착각하다
4. 마한이란 명칭의 유래는 삼한과 삼조선에서 비롯된다
5. 국내 사서, 『삼국사기』의 마한 무대는 중국 대륙이다
6. 고구려 태조왕 때 ‘마한 기록’은 사실이다
7. 태조왕은 한반도 마한과 연합하지 않았다
8. 마한 54개국은 한반도에 존재하지 않았다
9. 야마토 왜(倭)는 한반도 마한과 무관하다
10. 진한, 변진, 마한은 한반도가 아닌 중국 대륙이다
제3장 준왕(한왕)의 해중 거한지(居韓地)를 찾다
1. 마한사 왜곡은 어디서 비롯되었나?
2. 준왕(準王)의 거한지(居韓地) 마한을 추적하다
3. 준왕의 거한지는 기준성이 아닌 대왕가도이다
4. 준왕의 해중 왕국 관련 문헌들
5. 마한 역사 왜곡의 주범과 공범을 찾다
6. 한백겸의 왜곡된 주장이 낳은 문헌사를 살피다
7. 한백겸은 왜 옹졸한 반도 사관을 내놓았을까?
8. 단재의 삼한설은 한백겸의 삼한설을 보충했다
9. 안정복의 단군론, 일본의 정한론(征韓論)자를 돕다
10. ‘고구려계승론’을 주장한 최치원이 맞다
11. 문헌 사학계는 고고학계와 발을 맞춰야 한다
제4장 한반도의 유적과 마한 분묘
1. 한반도에 산재한 유력 개인묘와 마한 유적
2. 청동기시대의 검단(黔丹)과 이성산성 왕국 연구
3. ‘이성산성’ 보다 ‘검단산성’ 명칭이 더 타당하다
4. 공주 수촌리 유물과 학계의 해석을 보며
5. 미스터리 한국사를 만들어내는 역사 왜곡의 현장
6. 수촌리 무덤 양식의 변화에서 key를 얻다
7. 수촌리 유물은 무령왕릉 매지권에 상당하는 물품이다
8. 전남 지역 마한 유적의 발굴과 분포
9. 왜색(?) 고분이라는 전방후원분 해석에 대하여
10. 학계를 혼란으로 이끄는 다양한 분묘 형태의 원인
11. 방대형 고분의 축조 기법은 일본보다 앞선 기술
12. 분구묘의 출현은 묘제의 변천인가, 전래인가?
13. 전방후원분이 전남에 편중된 이유가 뭔가?
14. 전남·북 지역의 마한 유적에 대한 재탐색
제5장 바다를 건너온 마한, 그리고 뱃길
1. 제주도에서 발견된 옹관묘
2. 옹관묘는 제주식 분묘가 아니다
3. 제주도를 경유했다는 고대 항로의 흔적이 있다
4. 한·중·일 연결의 ‘서복 항로’는 전설이 아니다
5. 서복 항로 중심에 제주도가 있다
6. 서복 항로 관련 문헌 기록들
7. 마한은 중국에서 바다 건너 이주했다
8. 마한도이설(馬韓渡移說)의 일반화 적용 사례
9. 고창 마한의 이동 경로는 해저 노령산맥이다
10. 한반도 마한의 정체성 탐색
11. 마한계와 가야계의 이동 목적이 다르다
12. 중국 사서의 마한사와 한반도 마한을 정리하다
편집후기
찾아보기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