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사연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국불교사연구

로즈
2023-12-20 09:30 199 0

본문

한국불교사연구
9791168690028.jpg


도서명 : 한국불교사연구
저자/출판사 : 고영섭,엮음,, 민족사
쪽수 : 856쪽
출판일 : 2022-05-20
ISBN : 9791168690028
정가 : 57000

간행사 _4
서문 _9
일러두기 _12

1. 고구려 초전불교의 공인과 그 의미………………………… 김두진ㆍ23
1. 머리말 / 26
2. 고구려의 초전 격의불교 / 27
3. 불교의 공인과 그 신앙 / 34
4. 공인불교의 전개와 역사적 의미 / 41
1) 공인불교의 전개_ 41
2) 불교 공인의 역사적 의미_ 47
5. 맺는말 / 53

2. 백제불교에 관한 제문제………………………………………… 안계현ㆍ61
1. 서언 / 64
2. 법화불교의 전래와 그 전개 / 64
1) 현광玄光의 전기_ 64
2) 혜현惠現의 『법화경』 독송_ 70
3) 발정發正의 관세음 영험_ 71
4) 실천불교로서의 법화法華_ 71
3. 『열반경涅槃經』의 연구와 계율불교의 전개 / 74
1) 『열반경』에 대한 관심과 연구_ 74
2) 겸익謙益의 율장장래律藏將來_ 81
3) 백제불교의 계율주의적 성격_ 83

3. 안홍과 신라불국토설……………………………………………… 신종원ㆍ85
1. 서언 / 88
2. 안홍安弘의 생존 연대와 유학 시기 / 89
3. 안홍의 저작著作 / 95
4. 신라불국토설의 전개 / 102
5. 결언 / 109

4. 신라에서 이룩된 금강삼매경-그 성립사적 검토… ……… 김영태ㆍ113
머리글 / 116
Ⅰ. 출경出經 연기설화緣起說話를 통한 구명 / 118
1. 설화의 내용과 문제점 _ 118
2. 용궁비장龍宮秘藏의 출경이 뜻하는 것 _ 122
3. 전차철봉銓次綴縫과 찬소강석撰疏講釋이 보여 주는 것 _ 126
Ⅱ. 경록사적經錄史的 검토 / 130
1. 제경록상의 『금강삼매경』 _ 130
2. 습유拾遺 입장경入藏經으로서의 문제점 _ 136
Ⅲ. 경설經說 내용을 통한 입증 / 140
1. 경설상에서의 성립 시기 추정 _ 141
2. 신라 성립경成立經으로서의 특징 _ 147
3. 위경僞經 및 집성자 문제 _ 155
맺음말 / 161

5. 정중종의 법계와 그 선사상… ………………………………… 김진무ㆍ163
Ⅰ. 서언 / 166
Ⅱ. 정중종淨衆宗의 법계 / 167
Ⅲ. 정중종의 선사상 / 172
1. 무상無相의 수계의식授戒儀式 _ 172
2. ‘무억無憶·무념無念·막망莫妄’의 삼구三句 _ 178
3. 종밀宗密의 정중·보당종 비판 _ 185
Ⅳ. 결어 / 191

6. 상산 혜각이 중국불교에 끼친 영향………………………… 여성구ㆍ195
Ⅰ. 머리말 / 198
Ⅱ. 생애 / 199
1. 탑비의 현황과 서문 _ 199
2. 입당 전의 행적 _ 202
3. 입당 후의 행적 _ 206
Ⅲ. 사상 / 214
1. 『유가사지론』과 『능가경』 _ 214
2. 돈오頓悟와 무념無念 _ 219
3. 일각지지一覺之知 _ 226
Ⅳ. 영향 / 235
1. 중생제도와 사회 교화 _ 235
2. 하택종의 계승과 전법 _ 245
Ⅴ. 맺음말 / 255

7. 신라 화엄학승의 계보와 그 활동… ………………………… 김상현ㆍ259
Ⅰ. 머리말 / 262
Ⅱ. 의상義相의 전교傳敎와 십대제자 / 264
1. 의상의 전교 _ 264
2. 원효의 화엄학에 미친 의상의 영향 _ 266
3. 의상의 십대제자 _ 271
Ⅲ. 신림神琳과 그 제자들 / 282
1. 부석적손浮石嫡孫 신림 _ 282
2. 신림의 제자들 _ 284
Ⅳ. 법융法融의 『십구장十句章』 저술과 그 제자들 / 289
1. 법융과 『십구장』 _ 289
2. 법융의 제자들 _ 297
Ⅴ. 순응順應의 해인사 창건 / 299
1. 순응의 해인사 창건 _ 299
2. 해인사의 화엄학승華嚴學僧 _ 302
Ⅵ. 비의상계非義相系의 화엄승 / 306
1. 법장法藏의 제자들 _ 306
2. 명효·견등지·표원 _ 308
3. 오대산 및 천관산天冠山의 화엄승 _ 311
4. 연기緣起의 화엄사 창건 _ 314
5. 그 밖의 화엄승 _ 317
Ⅶ. 화엄학승 간의 갈등과 남·북악의 분열 / 319
1. 의상계와 법장계의 갈등 _ 319
2. 남·북악의 분열 _ 325
3. 남·북악 화엄교학의 차이 _ 328
Ⅷ. 맺는말 / 330

8. 8세기 화엄교학과 화엄사찰…………………………………… 정병삼ㆍ335
머리말 / 338
1. 십대제자와 전교십찰傳敎十刹 / 340
2. 8세기 화엄학과 부석사浮石寺 / 354
3. 화엄사華嚴寺의 화엄학 / 360
맺음말 / 368

9. 신라 하대 화엄의 일례-오대산 사적을 중심으로…………… 김복순ㆍ375
Ⅰ. 서론 / 378
Ⅱ. 만당晩唐과 신라 하대의 불교계 / 380
Ⅲ. 신라 하대 화엄의 일례 / 388
1. 오대산 사적五臺山事蹟의 시대 배경 _ 388
2. 신라 하대 황룡사승皇龍寺僧의 지방으로의 세력 확대 _ 402
Ⅳ. 결론 / 410

10. 대각국사 의천의 불교사적 위치…………………………… 최병헌ㆍ415
Ⅰ. 머리말 / 418
Ⅱ. 의천義天의 불교 종파와 핵심과제 / 420
Ⅲ. 화엄종·법상종法相宗의 대립과 성상겸학설 / 426
Ⅳ. 천태종의 창립과 교관병수설敎觀幷修說 / 432
Ⅴ. 맺는말-의천의 불교사적 위치 / 442

11. 의천의 불교교단 통합과 그 추이…………………………… 채상식ㆍ447
1. 머리말 / 451
2. 의천의 출신 종파 / 453
3. 의천의 사상적 기반과 특징 / 461
4. 천태종 개창과 불교통합 시도 / 470
1) 고려 초의 불교통합 움직임 _ 470
2) 천태종 개창과 추이 _ 473
5. 맺는말 / 482

12. 고려시대 가지산문의 전개 양상과 조계종의 위상……… 김상영ㆍ487
Ⅰ. 머리말 / 490
Ⅱ. 가지산문의 분화分化 / 495
Ⅲ. 가지산문의 중흥 / 505
1. 원응 학일圓應學一과 운문사雲門寺 _ 505
2. 13세기 선문결속의 강화와 가지산문 _ 516
3. 가지산문계 선승과 보각 일연普覺一然 _ 522
Ⅳ. 14세기 선문의 쇠퇴 및 가지산문의 동향 / 528
Ⅴ. 맺음말-가지산문의 불교사적 위상 / 532

13. 고려 밀교 신앙의 전개와 그 특성………………………… 서윤길ㆍ535
Ⅰ. 서언 / 538
Ⅱ. 왕실의 밀교 신앙과 그 외호책 / 539
Ⅲ. 총지종摠持宗과 신인종神印宗 / 548
1. 총지종의 성립과 그 신앙 _ 548
2. 신인종의 성립과 그 신앙 _ 554
Ⅳ. 밀교적 제종의례諸種儀禮 / 557
1. 인왕도량仁王道場 _ 557
2. 금광명도량金光明道場 _ 561
3. 여타의 밀교 도량 _ 565
Ⅴ. 밀교 신앙의 고려적 특성 / 568
Ⅵ. 결어 / 572

14. 고려 후기 수선사의 결사운동과 사상적 위상에 대한 재검토…조명제ㆍ573
머리말 / 576
Ⅰ. 수선사 결사운동에 대한 재검토 / 579
Ⅱ. 수선사의 공안선 수용과 사상적 위상 / 588
Ⅲ. 송대 문화의 수용과 수선사의 위상 / 599
맺음말 / 612

15. 『삼국유사』의 고승과 성사 이해-일연의 역사인식과 관련하여… 고영섭ㆍ615
Ⅰ. 서언 / 620
Ⅱ. 일연의 신이사관神異史觀과 ‘성聖’ 관념 인식 / 622
Ⅲ. 고승으로서 성사의 정의와 의미 / 630
Ⅳ. 고승으로서 성사의 유형과 역할 / 638
1. 은사·일사의 삶 _ 639
2. 풍류 도인의 삶 _ 644
3. 국사·왕사의 삶 _ 650
Ⅴ. 문화 영웅과 사회적 리더로서 고승 성사 이해 / 656
Ⅵ. 결어 / 660

16. 고려 말 나옹 문도와 오대산 중흥불사…………………… 황인규ㆍ665
Ⅰ. 머리말 / 670
Ⅱ. 고려 후기 오대산의 고승과 사적 / 672
1. 고려 후기 사적 편찬과 대장경 봉안 _ 672
2. 고려 말 나옹과 문도들의 불사 _ 676
Ⅲ. 조선 초기 나옹 문도들의 중흥불사 / 681
1. 조선 초 나옹 문도들의 불사 _ 682
2. 세조의 삼화상과 왕실의 상원사 중창불사 _ 686
Ⅳ. 맺음말 / 693

17. 조선시대의 승직僧職제도……………………………………… 이봉춘ㆍ701
Ⅰ. 머리말 / 704
Ⅱ. 선초鮮初 배불책排佛策과 승직의 변천 / 706
1. 고려 승직제도의 계승 _ 706
2. 양종판사兩宗判事 제도의 시행 _ 709
3. 승과僧科·법계法階·승직의 폐지 _ 715
Ⅲ. 임란壬亂 이후의 새로운 승직 / 719
1. 도총섭都摠攝 제도의 발생 _ 720
2. 총섭總攝의 확대와 유형 _ 724
3. 규정소糾正所 제도와 그 기능 _ 729
Ⅳ. 조선불교 승직의 성격(맺음) / 733

18. 벽송 지엄의 신자료와 법통 문제…………………………… 고익진ㆍ737
1. 벽송 지엄碧松智嚴의 사적史的 위치 / 740
1) 사상의 면에서 _ 740
2) 법계法系의 면에서 _ 743
2. 신자료新資料의 내용 / 747
1) 훈몽요초訓蒙要抄 _ 747
2) 염송화족拈頌畵足 _ 749
3) 조원통록촬요발문祖源通錄撮要跋文 _ 751
3. 조선시대 전법의 이중구조 / 752
1) 보조선普照禪의 계승 _ 752
2) 임제적통臨濟嫡統의 표방 _ 755

19. 청허 휴정과 조선 후기 선과 화엄…………………………… 김용태ㆍ759
Ⅰ. 머리말 / 764
Ⅱ. 청허 휴정의 선교 인식 / 767
Ⅲ. 임제법통과 간화선풍의 계승 / 773
Ⅳ. 선교겸수와 화엄교학의 전통 / 780
Ⅴ. 맺음말 / 790

20. 조선 후기 불교 사기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이종수ㆍ795
1. 서론 / 798
2. 사기私記의 성립과 종류 / 800
3. 사기私記 집성과 편찬의 과제 / 808
1) 사기의 수집과 계통 파악의 어려움 _ 808
2) 사기의 탈초와 편찬의 문제점 _ 814
4. 결론 / 819

21. 일제하 한국불교계의 독립운동 전개와 성격………… 김광식ㆍ823
1. 서언 / 826
2. 독립운동과 불교 / 827
3. 불교계 독립운동의 전개와 유형 / 832
1) 항일투쟁의 노선 _ 833
2) 저항의 노선 _ 838
3) 전통 수호의 노선 _ 843
4) 극복의 노선 _ 845
4. 불교계 독립운동의 성격 / 849
5. 결어 / 852

편저자 소개 _855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