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학맥과 학풍
로즈
2023-12-20 09:30
181
0
본문
우리의 학맥과 학풍
도서명 : 우리의 학맥과 학풍
저자/출판사 : 이한우, 천년의상상
쪽수 : 376쪽
출판일 : 2022-05-09
ISBN : 9791190413398
정가 : 25000
개정판 서문
개정판 출간 기념 대담
머리말
서론 : 한국 현대 지성사의 복원을 위하여
1. 전통의 복원
2. 나의 학문 이력
3. 지성사 복원의 의미
1장 전통 학문의 존재 방식
1. 전통 학문의 존재 방식을 물어야 하는 이유
2. 성균관의 쇠퇴와 서원의 등장
3. 사대부와 관료 양성을 위한 학문
4. 전통 학문의 현대화 문제
2장 동양철학
1. 동양철학의 전사前史 : 실종된 전통 철학
2. 주요 대학의 학풍 : 성균관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3. 동양철학계의 우뚝 선 기둥 현상윤
4. 유가철학 말고는 불모지
5. ‘한국철학’ 연구의 태동
6. 실학의 재발견과 다산철학
7. 미완의 과제 : 한국철학사의 집필
8. ‘한’ 철학의 허구성과 북한의 주체철학
9. 20세기 말의 선비 김충렬
10. 김용옥 신화의 허와 실
11. 동양철학의 현대화
3장 서양철학
1. 서양철학의 전사前史 : 궁리학에서 철학으로
2. 서양철학과 한국철학 기초를 다진 박종홍
3. 북으로 간 철학자 박치우와 신남철
4. 독후감 철학의 계몽과 교양
5. 에세이 철학자의 등장 : 안병욱, 김형석, 김태길
6. 오랜 연구 전통, 빈약한 연구 성과 : 현상학
7. 허공에 뜬 독일철학에 대한 반격 : 분석철학
8. 철학계의 이단아 박홍규
9.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대두
10. 학문의 본질과 텍스트 번역
11. 세대교체의 주역들
4장 역사학
1. 근대 역사학의 성립 : 단재사학과 백암사학
2. 문헌고증사학, 민족주의사학, 사회경제사학
3. 식민사학과 남북 분단이 미친 악영향
4. 이병도와 문헌고증사학
5. 민족주의사학자 홍이섭에 대한 재평가
6. ‘겸연쩍은 역사학도’ 천관우
7. 사회경제사학의 복원 : 김용섭, 강만길
8. 주요 대학의 학풍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9. 주요 학회와 연구단체
10. 한국통사의 서술 문제
11. 주목할만한 젊은 연구자들
5장 사회학
1. 사회학의 전사前史 : 구한말에서 해방까지
2. 구조 지향적 사회학 VS 역사 지향적 사회학
3. 산업화와 한국적 사회학의 모색
4. 서울대 실증주의 학풍에 맞선 신촌의 공동전선 : 《현상과 인식》
5. 좌파 사회학의 전성시대
6. 한상진과 중민이론
7. 《사회와 사상》과 《사회평론》
8. 새로운 사회학을 향하여
6장 정치학
1. 정치학의 전사前史 : 관료적 국가학으로 출발
2. 미완의 정치학자 민병태
3. 재사才士와 학자의 부조화, 이용희
4. 학문 부재의 서울대 정치학과
5. 행태주의 정치학의 공과
6. 걸음마 단계의 ‘한국 정치학’
7. 비주류 정치학의 존재
8. 진보 정치학의 선구자 최장집
9. 변두리 학문으로 전락한 한국 정치사
10. 지역학의 등장
11. 신세대 정치학자들의 출현
7장 법학
1. 일제와 수험법학이라는 이중 구속
2. 법학의 전사前史 : 법관양성소의 설립
3. 한국 법학의 기초자 유진오
4. 제1세대 학자군 : 일본 번안ㆍ도용 법학
5. 제2세대 학자군 : 교과서 집필에 머물렀던
6. 제3세대 학자군 : 독자적 방법론의 모색
7. 미완의 법학자 함병춘
8. 법학계 논쟁들의 면모
9. 헌법학자 김철수 인터뷰
10. 서울법대 최종고의 양심선언
11. 신세대 학자군 : ‘법과사회이론연구회’와 ‘민주법학’
12. 한국 법학의 과제와 전망
에필로그
1. 학문과 사회 기풍
2. 학문 세계와 대충주의
3. 대충주의의 구조화
4. 학계의 세대별 특징과 유형
5. 제4세대 학자들의 시대적 사명
덧붙이는 글
번역, 제발 제대로 합시다!
베끼기에서 시각 도용까지, 한국 학계의 표절 백태百態
도서명 : 우리의 학맥과 학풍
저자/출판사 : 이한우, 천년의상상
쪽수 : 376쪽
출판일 : 2022-05-09
ISBN : 9791190413398
정가 : 25000
개정판 서문
개정판 출간 기념 대담
머리말
서론 : 한국 현대 지성사의 복원을 위하여
1. 전통의 복원
2. 나의 학문 이력
3. 지성사 복원의 의미
1장 전통 학문의 존재 방식
1. 전통 학문의 존재 방식을 물어야 하는 이유
2. 성균관의 쇠퇴와 서원의 등장
3. 사대부와 관료 양성을 위한 학문
4. 전통 학문의 현대화 문제
2장 동양철학
1. 동양철학의 전사前史 : 실종된 전통 철학
2. 주요 대학의 학풍 : 성균관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3. 동양철학계의 우뚝 선 기둥 현상윤
4. 유가철학 말고는 불모지
5. ‘한국철학’ 연구의 태동
6. 실학의 재발견과 다산철학
7. 미완의 과제 : 한국철학사의 집필
8. ‘한’ 철학의 허구성과 북한의 주체철학
9. 20세기 말의 선비 김충렬
10. 김용옥 신화의 허와 실
11. 동양철학의 현대화
3장 서양철학
1. 서양철학의 전사前史 : 궁리학에서 철학으로
2. 서양철학과 한국철학 기초를 다진 박종홍
3. 북으로 간 철학자 박치우와 신남철
4. 독후감 철학의 계몽과 교양
5. 에세이 철학자의 등장 : 안병욱, 김형석, 김태길
6. 오랜 연구 전통, 빈약한 연구 성과 : 현상학
7. 허공에 뜬 독일철학에 대한 반격 : 분석철학
8. 철학계의 이단아 박홍규
9.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대두
10. 학문의 본질과 텍스트 번역
11. 세대교체의 주역들
4장 역사학
1. 근대 역사학의 성립 : 단재사학과 백암사학
2. 문헌고증사학, 민족주의사학, 사회경제사학
3. 식민사학과 남북 분단이 미친 악영향
4. 이병도와 문헌고증사학
5. 민족주의사학자 홍이섭에 대한 재평가
6. ‘겸연쩍은 역사학도’ 천관우
7. 사회경제사학의 복원 : 김용섭, 강만길
8. 주요 대학의 학풍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9. 주요 학회와 연구단체
10. 한국통사의 서술 문제
11. 주목할만한 젊은 연구자들
5장 사회학
1. 사회학의 전사前史 : 구한말에서 해방까지
2. 구조 지향적 사회학 VS 역사 지향적 사회학
3. 산업화와 한국적 사회학의 모색
4. 서울대 실증주의 학풍에 맞선 신촌의 공동전선 : 《현상과 인식》
5. 좌파 사회학의 전성시대
6. 한상진과 중민이론
7. 《사회와 사상》과 《사회평론》
8. 새로운 사회학을 향하여
6장 정치학
1. 정치학의 전사前史 : 관료적 국가학으로 출발
2. 미완의 정치학자 민병태
3. 재사才士와 학자의 부조화, 이용희
4. 학문 부재의 서울대 정치학과
5. 행태주의 정치학의 공과
6. 걸음마 단계의 ‘한국 정치학’
7. 비주류 정치학의 존재
8. 진보 정치학의 선구자 최장집
9. 변두리 학문으로 전락한 한국 정치사
10. 지역학의 등장
11. 신세대 정치학자들의 출현
7장 법학
1. 일제와 수험법학이라는 이중 구속
2. 법학의 전사前史 : 법관양성소의 설립
3. 한국 법학의 기초자 유진오
4. 제1세대 학자군 : 일본 번안ㆍ도용 법학
5. 제2세대 학자군 : 교과서 집필에 머물렀던
6. 제3세대 학자군 : 독자적 방법론의 모색
7. 미완의 법학자 함병춘
8. 법학계 논쟁들의 면모
9. 헌법학자 김철수 인터뷰
10. 서울법대 최종고의 양심선언
11. 신세대 학자군 : ‘법과사회이론연구회’와 ‘민주법학’
12. 한국 법학의 과제와 전망
에필로그
1. 학문과 사회 기풍
2. 학문 세계와 대충주의
3. 대충주의의 구조화
4. 학계의 세대별 특징과 유형
5. 제4세대 학자들의 시대적 사명
덧붙이는 글
번역, 제발 제대로 합시다!
베끼기에서 시각 도용까지, 한국 학계의 표절 백태百態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