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로즈
2023-12-20 09:30
163
0
본문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도서명 :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저자/출판사 : 곽영순, 교육과학사
쪽수 : 332쪽
출판일 : 2022-04-30
ISBN : 9788925416915
정가 : 16000
◆2판 머리말 _ 3
제1장 왜 질적연구인가? 13
1. 왜 질적연구여야 하는가? _ 16
2. 질적연구의 기본 전제들 _ 19
3. 해체를 넘어서 참여적 패러다임으로 _ 23
3-1. 참여적 생태적 패러다임 / 23
3-2. 반성적 실천을 지향하는 참여적 패러다임 / 28
4. 질적연구 방법론: 언어와 표상 _ 31
5. 자연 언어인 스토리텔링 방법 _ 34
6. 독자에 의해 쓰여지는 질적연구 _ 37
7. 질적연구 글쓰기에서 수행적 전회 _ 39
제2장 교사교육 패러다임 45
1. 효과적 교사 _ 48
1-1. 가르치는 활동에 대한 실증주의 패러다임: 교사효과성 연구 / 49
1-2. 교사효과성에 대한 질적평가의 필요성 / 51
1-3. 교사의 탈전문화를 촉진한 교사효과성 연구 / 52
1-4.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괴리 / 54
2. 반성적 교사 _ 56
2-1. 해석주의와 구성주의 / 58
2-2. 선이해와 지평융합 / 59
2-3. 관찰하는 시선과 실존적인 시선 / 60
2-4. 반성적 실천: 프랙시스 / 62
2-5. 참여관찰자로서 교사 / 64
3. 탐구적 교사 _ 65
3-1. 비판적 패러다임과 탐구하는 교사 / 66
3-2. 참여적(+포스트모던) 패러다임: 실행연구 / 68
3-3. 연구자로서의 교사 / 70
3-4. 참여적 실행연구의 특징 / 72
4. 변혁적 교사 _ 78
4-1. 포스트모더니즘과 질적연구 / 79
4-2. 동일성 철학의 폭력 / 81
4-3. 해체를 넘어서 프랙시스로 / 84
제3장 교사교육에서 질적연구의 유형 87
1. 개인에 대한 연구: 자서전적 글쓰기 _ 90
1-1.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90
1-2. 주체의 죽음 이후 자문화기술지 / 96
2. 집단에 대한 연구: 교육적 문화기술지의 발전 _ 99
3. 개념에 대한 연구: 현상학적 분석 _ 102
3-1. 현상학적 의미론: 의식의 지향성 / 104
3-2. 생활세계와 실존적 현상학 / 105
4. 이론 도출을 위한 연구: 근거이론 _ 107
5. 사건이나 활동에 대한 연구: 사례연구 _ 110
5-1. 사례의 의미 / 111
5-2. 사례의 일반화 가능성 / 112
6. 텍스트 분석: 해석학 _ 113
6-1. 해석학적 순환 / 114
6-2. 해석적 이해의 도구들 / 116
제4장 푸코의 지식-권력과 학교 교육과정 119
1. 교육과정 연구 패러다임 변화: 개발에서 이해로 _ 121
1-1. 실증주의의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 122
1-2. 탈(脫)실증주의 패러다임의 교육과정 연구 재개념화 / 125
2. 푸코의 지식-권력 _ 129
3. 지식-권력과 학교 교육과정 _ 131
4. 지식의 구조에 대한 해체주의적 분석 _ 133
5. 교육과정 읽어내기: 작품에서 텍스트로 _ 136
5-1. 의미작용과 의미생성 / 137
5-2. 독서란 쓰여지지 않은 것을 읽어내는 것 / 138
6. 상호텍스트성 _ 141
7. 쓰여지는(writerly)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_ 143
8. 담론적 실천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_ 144
제5장 교사의 실천적 지식기반: PCK 147
1. 이론과 실제의 거리좁히기 _ 150
2. 왜 내러티브인가? _ 157
3. 교사의 지식기반과 내용교수지식(PCK) _ 159
4. 참여적 패러다임에 따른 내용교수지식(PCK)에 대한 내러티브 _ 164
5. PCK 연구 방법론: 근거이론 _ 167
6. 교사들의 변혁적 역량: 한국형 학습공동체 _ 175
6-1. 왜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인가? / 178
6-2. 배움의공동체를 넘어서 지속가능한 공동체로 / 181
6-3. 실천공동체로서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 186
제6장 반성적 교사교육: 교사되기 189
1. 실천에서 이론으로 vs 이론에서 실천으로 _ 191
2. 이론에서 실천으로: 앎에서 삶으로 _ 192
3. 실천에서 이론으로: 삶에서 앎으로 _ 195
4. 앎과 삶의 일치를 지향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 _ 197
5. 반성적 실천으로서 교사의 학습이란? _ 203
6. 반성적 실천의 수준과 단계 _ 208
7. 반성적 실천을 통한 이론과 실천의 연계 _ 211
8. 멘토링을 통한 반성적 실천능력 제고 방안이란? _ 212
9. 인지적 도제주의, 지행합일을 꿈꾸며 _ 217
제7장 들뢰즈의 생성철학과 교육: 다양성 창조 223
1. 구성적 사유와 해체적 사유 _ 226
2. 동일성의 응결: 기계-접속-배치 _ 230
3.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메커니즘: 영토화-탈영토화-재영토화 _ 233
4. 차이생성의 효과로서의 동일성 _ 235
5. 수목형 사유와 리좀형 사유 _ 237
6. 욕망의 탈주: 무엇이든 되어보자 vs ‘나’ 아닌 ‘너’ 되기 _ 240
7. 포스트모더니즘: 다양성에 대한 찬사 _ 244
8. 동일성의 우울을 넘어 이질성 추구로 _ 246
9. 수행성: 담론적 실천을 통한 리얼리티 구성 _ 249
10. 좋은 수업: 차이생성 중에 반복하는 동일성 _ 256
제8장 구성에서 해체로: 행위주체성과 이야기 정체성 261
1. 후기구조주의의 해체: 교사 역할의 해체 _ 263
2. 타자를 사유하는 방법론으로서의 해체 _ 268
3. 해체의 단계 _ 271
4. 앎의 단계: 저자의 죽음과 해체적 읽기 _ 273
5. 가르침의 단계: 해석에서 해체로 _ 277
6. 해체적 읽기: 증거기반 실천과 반성적 실천 _ 280
7. 연구기반 교사교육과 연구자로서의 교사 _ 283
8. 비판적 교육학 vs 해체적 교육학 _ 288
9. 변혁적 역량과 공동존재의 이야기 정체성 _ 292
9-1. 변혁적 역량과 행위주체성 / 294
9-2. 차이생성을 통해 새로운 잠재성 발견하기 / 300
9-3. 잠재성의 정치학: 무위의 공동체 / 303
◆참고문헌 _ 311
◆찾아보기 _ 327
도서명 :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저자/출판사 : 곽영순, 교육과학사
쪽수 : 332쪽
출판일 : 2022-04-30
ISBN : 9788925416915
정가 : 16000
◆2판 머리말 _ 3
제1장 왜 질적연구인가? 13
1. 왜 질적연구여야 하는가? _ 16
2. 질적연구의 기본 전제들 _ 19
3. 해체를 넘어서 참여적 패러다임으로 _ 23
3-1. 참여적 생태적 패러다임 / 23
3-2. 반성적 실천을 지향하는 참여적 패러다임 / 28
4. 질적연구 방법론: 언어와 표상 _ 31
5. 자연 언어인 스토리텔링 방법 _ 34
6. 독자에 의해 쓰여지는 질적연구 _ 37
7. 질적연구 글쓰기에서 수행적 전회 _ 39
제2장 교사교육 패러다임 45
1. 효과적 교사 _ 48
1-1. 가르치는 활동에 대한 실증주의 패러다임: 교사효과성 연구 / 49
1-2. 교사효과성에 대한 질적평가의 필요성 / 51
1-3. 교사의 탈전문화를 촉진한 교사효과성 연구 / 52
1-4.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괴리 / 54
2. 반성적 교사 _ 56
2-1. 해석주의와 구성주의 / 58
2-2. 선이해와 지평융합 / 59
2-3. 관찰하는 시선과 실존적인 시선 / 60
2-4. 반성적 실천: 프랙시스 / 62
2-5. 참여관찰자로서 교사 / 64
3. 탐구적 교사 _ 65
3-1. 비판적 패러다임과 탐구하는 교사 / 66
3-2. 참여적(+포스트모던) 패러다임: 실행연구 / 68
3-3. 연구자로서의 교사 / 70
3-4. 참여적 실행연구의 특징 / 72
4. 변혁적 교사 _ 78
4-1. 포스트모더니즘과 질적연구 / 79
4-2. 동일성 철학의 폭력 / 81
4-3. 해체를 넘어서 프랙시스로 / 84
제3장 교사교육에서 질적연구의 유형 87
1. 개인에 대한 연구: 자서전적 글쓰기 _ 90
1-1.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90
1-2. 주체의 죽음 이후 자문화기술지 / 96
2. 집단에 대한 연구: 교육적 문화기술지의 발전 _ 99
3. 개념에 대한 연구: 현상학적 분석 _ 102
3-1. 현상학적 의미론: 의식의 지향성 / 104
3-2. 생활세계와 실존적 현상학 / 105
4. 이론 도출을 위한 연구: 근거이론 _ 107
5. 사건이나 활동에 대한 연구: 사례연구 _ 110
5-1. 사례의 의미 / 111
5-2. 사례의 일반화 가능성 / 112
6. 텍스트 분석: 해석학 _ 113
6-1. 해석학적 순환 / 114
6-2. 해석적 이해의 도구들 / 116
제4장 푸코의 지식-권력과 학교 교육과정 119
1. 교육과정 연구 패러다임 변화: 개발에서 이해로 _ 121
1-1. 실증주의의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 122
1-2. 탈(脫)실증주의 패러다임의 교육과정 연구 재개념화 / 125
2. 푸코의 지식-권력 _ 129
3. 지식-권력과 학교 교육과정 _ 131
4. 지식의 구조에 대한 해체주의적 분석 _ 133
5. 교육과정 읽어내기: 작품에서 텍스트로 _ 136
5-1. 의미작용과 의미생성 / 137
5-2. 독서란 쓰여지지 않은 것을 읽어내는 것 / 138
6. 상호텍스트성 _ 141
7. 쓰여지는(writerly)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_ 143
8. 담론적 실천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_ 144
제5장 교사의 실천적 지식기반: PCK 147
1. 이론과 실제의 거리좁히기 _ 150
2. 왜 내러티브인가? _ 157
3. 교사의 지식기반과 내용교수지식(PCK) _ 159
4. 참여적 패러다임에 따른 내용교수지식(PCK)에 대한 내러티브 _ 164
5. PCK 연구 방법론: 근거이론 _ 167
6. 교사들의 변혁적 역량: 한국형 학습공동체 _ 175
6-1. 왜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인가? / 178
6-2. 배움의공동체를 넘어서 지속가능한 공동체로 / 181
6-3. 실천공동체로서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 186
제6장 반성적 교사교육: 교사되기 189
1. 실천에서 이론으로 vs 이론에서 실천으로 _ 191
2. 이론에서 실천으로: 앎에서 삶으로 _ 192
3. 실천에서 이론으로: 삶에서 앎으로 _ 195
4. 앎과 삶의 일치를 지향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 _ 197
5. 반성적 실천으로서 교사의 학습이란? _ 203
6. 반성적 실천의 수준과 단계 _ 208
7. 반성적 실천을 통한 이론과 실천의 연계 _ 211
8. 멘토링을 통한 반성적 실천능력 제고 방안이란? _ 212
9. 인지적 도제주의, 지행합일을 꿈꾸며 _ 217
제7장 들뢰즈의 생성철학과 교육: 다양성 창조 223
1. 구성적 사유와 해체적 사유 _ 226
2. 동일성의 응결: 기계-접속-배치 _ 230
3.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메커니즘: 영토화-탈영토화-재영토화 _ 233
4. 차이생성의 효과로서의 동일성 _ 235
5. 수목형 사유와 리좀형 사유 _ 237
6. 욕망의 탈주: 무엇이든 되어보자 vs ‘나’ 아닌 ‘너’ 되기 _ 240
7. 포스트모더니즘: 다양성에 대한 찬사 _ 244
8. 동일성의 우울을 넘어 이질성 추구로 _ 246
9. 수행성: 담론적 실천을 통한 리얼리티 구성 _ 249
10. 좋은 수업: 차이생성 중에 반복하는 동일성 _ 256
제8장 구성에서 해체로: 행위주체성과 이야기 정체성 261
1. 후기구조주의의 해체: 교사 역할의 해체 _ 263
2. 타자를 사유하는 방법론으로서의 해체 _ 268
3. 해체의 단계 _ 271
4. 앎의 단계: 저자의 죽음과 해체적 읽기 _ 273
5. 가르침의 단계: 해석에서 해체로 _ 277
6. 해체적 읽기: 증거기반 실천과 반성적 실천 _ 280
7. 연구기반 교사교육과 연구자로서의 교사 _ 283
8. 비판적 교육학 vs 해체적 교육학 _ 288
9. 변혁적 역량과 공동존재의 이야기 정체성 _ 292
9-1. 변혁적 역량과 행위주체성 / 294
9-2. 차이생성을 통해 새로운 잠재성 발견하기 / 300
9-3. 잠재성의 정치학: 무위의 공동체 / 303
◆참고문헌 _ 311
◆찾아보기 _ 32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