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중 일 악장의 비교 연구
땅끝
2023-12-14 08:54
269
0
본문
한 중 일 악장의 비교 연구
도서명 : 한 중 일 악장의 비교 연구
저자/출판사 : 조규익,저자,글,, 역락
쪽수 : 776쪽
출판일 : 2022-10-21
ISBN : 9791167424037
정가 : 60000
제1부 서론
Ⅰ. ‘악장・동아시아・비교’의 한계와 의미
Ⅱ. 동아시아 악장과 그 토양으로서의 중세적 보편주의
제2부 한・중・일 악장의 존재양상과 존립기반
Ⅰ. 용어의 의미범주 및 역사・문화적 의미
Ⅱ. 중국악장의 수용과 고려악장의 확립
1. 악장 수용의 바탕과 중국-고려 음악의 교섭양상
2. 고려악장에 미친 중국 악장의 영향
Ⅲ. 중국 및 고려왕조들의 呈才와 정재악장들
1. 당악・당악악장과 속악・속악악장의 관계
2. 고려 속악악장의 관습과 표현의 溯源: 〈동동〉과 당악의 散詞들
3. 〈보허사〉와 고려 당악악장에 등장하는 관습적 표현의 소원
Ⅳ. 중국 악장의 수용과 조선조 악장의 확립
1. 고려 악장체계의 계승을 통한 중국 연향악의 수용
2. 〈용비어천가〉의 출현과 중국왕조 창업정신의 수용
3. 조선조 제례악장의 중국 왕조 제례악장 수용
Ⅴ. 일본 악장의 존재여부와 콘텍스트로서의 아악
1. 일본 아악의 특수성과 중국음악의 영향
2. 일본 속악 및 가요의 동아시아적 보편성
Ⅵ. 한・중・일 아악의 같고 다름과 釋奠樂章
1. 한・중・일 석전・석전악・석전악장 논의의 당위성
2. 석전악장 콘텍스트로서의 석전의례: 중국과 한국의 경우
3. 한-중 석전악장의 연동양상
4. 일본 석전・석전악・석전악장의 독자성
제3부 『시경』과 중・한・일 악장 및 예악문화
Ⅰ. 『시경』 수용의 패러다임, 그 보편성과 특수성
1. 논의의 전제
2. 『시경』 텍스트 수용의 두 양상
Ⅱ. 중세 예악문화와 『시경』의 텍스트적 본질
Ⅲ. 『시경』 수용을 통한 문화・정치적 보편성의 확보 1: 중국 역대 악장의 경우
1. 『시경』 수용에 관한 모범적 선례의 확립: 한나라 악장
2. 『시경』 수용 관습의 지속과 주변 음악문화의 폭 넓은 흡수: 수・당의 악장
3. 이데올로기 근원으로서의 『시경』 수용과 아악 중시의 새로운 기풍: 송나라 악장
4. 정통성 확보의 다급함, 『시경』 수용 전통의 墨守: 원나라 악장
Ⅳ. 『시경』 수용을 통한 문화・정치적 보편성의 확보 2: 고려・조선의 악장
1. 중세 왕조들의 『시경』 수용 및 정착
2. 『시경』 텍스트의 조립으로 만든 「휘의공주혼전대향악장」, 그 중세 보편주의 구현의 양상
3. 『시경』 텍스트의 조합으로 만든 「신찬태묘악장」, 그 중세 보편주의 구현의 새 양상
4. 중세 보편주의 지향 및 실천으로서의 예악정치: 조선 악장과 『시경』
5. 악장으로 승화된 창업의 역사: 〈용비어천가〉와 『시경』 수용의 새 양상
Ⅴ. 『시경』 수용과 예악문화의 독자적 성향 확보: 일본의 경우
1. 『시경』 수용과 『가이후소(懷風藻)』 한시의 성격
2. 『시경』 수용과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의 노래
3. 『시경』과 일본 에이교쿠(郢曲)類의 관련 가능성
제4부 결론
도서명 : 한 중 일 악장의 비교 연구
저자/출판사 : 조규익,저자,글,, 역락
쪽수 : 776쪽
출판일 : 2022-10-21
ISBN : 9791167424037
정가 : 60000
제1부 서론
Ⅰ. ‘악장・동아시아・비교’의 한계와 의미
Ⅱ. 동아시아 악장과 그 토양으로서의 중세적 보편주의
제2부 한・중・일 악장의 존재양상과 존립기반
Ⅰ. 용어의 의미범주 및 역사・문화적 의미
Ⅱ. 중국악장의 수용과 고려악장의 확립
1. 악장 수용의 바탕과 중국-고려 음악의 교섭양상
2. 고려악장에 미친 중국 악장의 영향
Ⅲ. 중국 및 고려왕조들의 呈才와 정재악장들
1. 당악・당악악장과 속악・속악악장의 관계
2. 고려 속악악장의 관습과 표현의 溯源: 〈동동〉과 당악의 散詞들
3. 〈보허사〉와 고려 당악악장에 등장하는 관습적 표현의 소원
Ⅳ. 중국 악장의 수용과 조선조 악장의 확립
1. 고려 악장체계의 계승을 통한 중국 연향악의 수용
2. 〈용비어천가〉의 출현과 중국왕조 창업정신의 수용
3. 조선조 제례악장의 중국 왕조 제례악장 수용
Ⅴ. 일본 악장의 존재여부와 콘텍스트로서의 아악
1. 일본 아악의 특수성과 중국음악의 영향
2. 일본 속악 및 가요의 동아시아적 보편성
Ⅵ. 한・중・일 아악의 같고 다름과 釋奠樂章
1. 한・중・일 석전・석전악・석전악장 논의의 당위성
2. 석전악장 콘텍스트로서의 석전의례: 중국과 한국의 경우
3. 한-중 석전악장의 연동양상
4. 일본 석전・석전악・석전악장의 독자성
제3부 『시경』과 중・한・일 악장 및 예악문화
Ⅰ. 『시경』 수용의 패러다임, 그 보편성과 특수성
1. 논의의 전제
2. 『시경』 텍스트 수용의 두 양상
Ⅱ. 중세 예악문화와 『시경』의 텍스트적 본질
Ⅲ. 『시경』 수용을 통한 문화・정치적 보편성의 확보 1: 중국 역대 악장의 경우
1. 『시경』 수용에 관한 모범적 선례의 확립: 한나라 악장
2. 『시경』 수용 관습의 지속과 주변 음악문화의 폭 넓은 흡수: 수・당의 악장
3. 이데올로기 근원으로서의 『시경』 수용과 아악 중시의 새로운 기풍: 송나라 악장
4. 정통성 확보의 다급함, 『시경』 수용 전통의 墨守: 원나라 악장
Ⅳ. 『시경』 수용을 통한 문화・정치적 보편성의 확보 2: 고려・조선의 악장
1. 중세 왕조들의 『시경』 수용 및 정착
2. 『시경』 텍스트의 조립으로 만든 「휘의공주혼전대향악장」, 그 중세 보편주의 구현의 양상
3. 『시경』 텍스트의 조합으로 만든 「신찬태묘악장」, 그 중세 보편주의 구현의 새 양상
4. 중세 보편주의 지향 및 실천으로서의 예악정치: 조선 악장과 『시경』
5. 악장으로 승화된 창업의 역사: 〈용비어천가〉와 『시경』 수용의 새 양상
Ⅴ. 『시경』 수용과 예악문화의 독자적 성향 확보: 일본의 경우
1. 『시경』 수용과 『가이후소(懷風藻)』 한시의 성격
2. 『시경』 수용과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의 노래
3. 『시경』과 일본 에이교쿠(郢曲)類의 관련 가능성
제4부 결론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