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언어철학사
땅끝
2023-12-14 08:54
262
0
본문
우리 언어철학사
도서명 : 우리 언어철학사
저자/출판사 : 고영근,저자,글,, 집문당
쪽수 : 360쪽
출판일 : 2022-10-20
ISBN : 9788930319331
정가 : 30000
책 머리에 부쳐
제1부 문자 운용의 발자취
제1장 말머리를 들면서
1.1. 우리 언어철학사의 범위 설정
1.2. 우리 언어철학사의 과제
제2장 우리말에 대한 유형론적 접근과 문자의 가공 ㆍ 창제 ㆍ 보급
2.1. 우리말에 대한 유형론적 접근
2.2. 한자의 가공과 이두
A. 삼국시대의 문자생활
2.2.1. 고구려의 문자생활과 이두의 발아
2.2.2. 백제의 문자생활
2.2.3. 신라의 문자생활
B. 남북국 시대의 문자생활
2.2.4. 통일신라 시대의 문자생활
2.2.5. 발해의 문자생활
2.3. 고려시대의 문자생활-향찰의 쇠퇴와 구결 및 이두의 발전-
2.3.1. 균여의 방언본 저술과 향가의 창작
2.3.2. 음독구결의 출현
2.3.3. 이두문 사용의 확대
2.3.4. 한문학의 발전
2.3.5. 외국어 교육기관과 외국인의 우리말 학습
2.3.6. 불경 읽기와 부호
2.4. 조선시대의 문자생활
2.4.1. 조선 전기의 문자생활
2.4.1.1. “한글”의 창제와 그 동기
2.4.1.2. 한글 창제의 후속 작업
2.4.1.3. 한글의 보급과 문학작품의 창작
2.4.1.4. 한문학의 발전과 이두문의 확대 사용
〈한문학의 발전〉 〈이두문의 확대 사용〉
2.4.1.5. 조선 전기의 한글 교육과 외국어 학습, 그리고 외국인의 우리말 학습
〈한글 교육과 한글의 보급〉 〈우리들의 외국어 학습과 외래어 표기〉
2.4.1.6. 글쓰기와 문장부호 등
2.4.2. 조선 후기의 문자생활
2.4.2.1. 관념론의 쇠퇴와 실증론의 등장
2.4.2.2. 한글 사용의 신장과 한글 문학의 자리잡음
2.4.2.3. 한문학의 성격 변화와 이두(문)의 쇠퇴
2.4.2.4. 조선 후기의 한글 학습과 한자 ㆍ 외국어 학습의 다변화
〈한글 학습〉 〈한자 학습〉 〈외국어 학습〉
2.4.2.5. 글쓰기와 띄어쓰기
2.4.3. 개방시대와 대한제국시대의 문자생활
2.4.3.1. 문호의 개방과 한글 및 우리말에 대한 재인식
2.4.3.2. 국문시대의 개막과 “국문연구소”의 설립
2.4.3.3. 개화기의 언어철학
2.4.3.4.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에 얽힌 제 문제
2.4.3.5. 주시경과 김규식의 문법 연구
2.4.3.6. 정서법 확립을 위한 노력
2.4.3.7. 한글의 로마자 표기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
〈한글의 로마자 표기〉 〈외래어의 한글 표기〉
2.4.3.8. 외국인의 우리말 배우기와 우리들의 외국어 배우기
2.5. 일제 강점기의 문자 ㆍ 언어 생활
2.5.1. 일제의 정서법 제정과 사전 편찬
2.5.1.1. 주시경과 해석학적 언어철학의 구현
2.5.1.2. 일제의 철자법 제정과 『조선어사전』 편찬
2.5.1.3. 주시경 후계학파의 표준화 연구
2.5.1.4. 『언문철자법』의 개정과 보급
2.5.2. 조선어학회의 정서법 제정과 표준어 사정
2.5.3. 『한글마춤법통일안』 제정 전후의 표준화에 관련된 제 문제
2.5.4. 조선어학회의 『조선어사전』의 편찬
2.5.5. “조선어학회 수난”의 발단과 경과
2.5.6. 실증론의 대두와 우리말의 방언 및 음운의 연구
2.5.7. 반도 밖의 우리말 보급
2.5.8. 우리말(조선어) 교육과 외국어 교육, 고전 주석
2.5.8.1. 조선인을 위한 일본어 교육
2.5.8.2.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 교육
2.5.8.3. 조선인을 위한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 교육
2.6. 분단 시대의 어문 문제
2.6.1. 해방공간(1945~1948)의 우리말 도로 찾기
2.6.2. 남북의 문자 ㆍ 언어 생활 양상
2.6.2.1. 남한의 문자생활 양상
제1기(1948~1957): 학교 교육에서의 한글 전용과 한글 파동
제2기(1958~1969): “한글 전용 실천요강”의 공포
제3기(1970~1983): 한글 전용의 시행과 한문교육의 강화
제4기(1984~1991): “국어 연구소”의 설립과 정서법의 개정
제5기(1992~2005): 개방시대
2.6.2.2. 북한의 문자생활 양상
제1기(1948~1954): 『한글마춤법통일안』의 준용과 『조선어 신철자법』
제2기(1954~1966): 『조선어 철자법』의 공포
제3기(1966~1976): “문화어 운동”의 전개
제4기(1976~1991): 규범집에 기초한 문화어운동의 정착
제5기(1992~2005): 개방시대
2.7. 협력시대의 어문 문제(2005~)
2.8. 우리말과 한글의 해외 보급
2.8.1. 해외 동포의 우리 문자 및 우리말의 사용 양상
2.8.2. 북한이탈 주민과 다문화시대의 우리말
2.8.3. 외국인의 우리말 학습 상황
2.9. 마무리-우리의 해석학적 언어철학 어디로-
제2부 우리말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과 윤리적ㆍ미학적 접근
제3장 우리말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3.1. 들어가기
3.2. 한힌샘의 사상체계
3.3. 한힌샘의 기호학과 현대의 텍스트과학
3.4. 마무리-우리 학문의 국제성-
제4장 우리말 텍스트에 대한 윤리적 접근
4.1. 들어가기
4.2. 『논어』와 『예기』의 언어윤리
4.3. 우리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언어윤리
4.4. 마무리
제5장 우리말 텍스트에 스며 있는 미학적 측면
5.1. 들어가기
5.2. 고대가요의 주술적 기능
5.3. 고시조의 감동적 기능
5.4. 현대시의 호소적 기능
5.5. 금기담과 길조담의 미학적 기능
5.6. 마무리
내용 보충
참고 논저
찾아보기
도서명 : 우리 언어철학사
저자/출판사 : 고영근,저자,글,, 집문당
쪽수 : 360쪽
출판일 : 2022-10-20
ISBN : 9788930319331
정가 : 30000
책 머리에 부쳐
제1부 문자 운용의 발자취
제1장 말머리를 들면서
1.1. 우리 언어철학사의 범위 설정
1.2. 우리 언어철학사의 과제
제2장 우리말에 대한 유형론적 접근과 문자의 가공 ㆍ 창제 ㆍ 보급
2.1. 우리말에 대한 유형론적 접근
2.2. 한자의 가공과 이두
A. 삼국시대의 문자생활
2.2.1. 고구려의 문자생활과 이두의 발아
2.2.2. 백제의 문자생활
2.2.3. 신라의 문자생활
B. 남북국 시대의 문자생활
2.2.4. 통일신라 시대의 문자생활
2.2.5. 발해의 문자생활
2.3. 고려시대의 문자생활-향찰의 쇠퇴와 구결 및 이두의 발전-
2.3.1. 균여의 방언본 저술과 향가의 창작
2.3.2. 음독구결의 출현
2.3.3. 이두문 사용의 확대
2.3.4. 한문학의 발전
2.3.5. 외국어 교육기관과 외국인의 우리말 학습
2.3.6. 불경 읽기와 부호
2.4. 조선시대의 문자생활
2.4.1. 조선 전기의 문자생활
2.4.1.1. “한글”의 창제와 그 동기
2.4.1.2. 한글 창제의 후속 작업
2.4.1.3. 한글의 보급과 문학작품의 창작
2.4.1.4. 한문학의 발전과 이두문의 확대 사용
〈한문학의 발전〉 〈이두문의 확대 사용〉
2.4.1.5. 조선 전기의 한글 교육과 외국어 학습, 그리고 외국인의 우리말 학습
〈한글 교육과 한글의 보급〉 〈우리들의 외국어 학습과 외래어 표기〉
2.4.1.6. 글쓰기와 문장부호 등
2.4.2. 조선 후기의 문자생활
2.4.2.1. 관념론의 쇠퇴와 실증론의 등장
2.4.2.2. 한글 사용의 신장과 한글 문학의 자리잡음
2.4.2.3. 한문학의 성격 변화와 이두(문)의 쇠퇴
2.4.2.4. 조선 후기의 한글 학습과 한자 ㆍ 외국어 학습의 다변화
〈한글 학습〉 〈한자 학습〉 〈외국어 학습〉
2.4.2.5. 글쓰기와 띄어쓰기
2.4.3. 개방시대와 대한제국시대의 문자생활
2.4.3.1. 문호의 개방과 한글 및 우리말에 대한 재인식
2.4.3.2. 국문시대의 개막과 “국문연구소”의 설립
2.4.3.3. 개화기의 언어철학
2.4.3.4.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에 얽힌 제 문제
2.4.3.5. 주시경과 김규식의 문법 연구
2.4.3.6. 정서법 확립을 위한 노력
2.4.3.7. 한글의 로마자 표기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
〈한글의 로마자 표기〉 〈외래어의 한글 표기〉
2.4.3.8. 외국인의 우리말 배우기와 우리들의 외국어 배우기
2.5. 일제 강점기의 문자 ㆍ 언어 생활
2.5.1. 일제의 정서법 제정과 사전 편찬
2.5.1.1. 주시경과 해석학적 언어철학의 구현
2.5.1.2. 일제의 철자법 제정과 『조선어사전』 편찬
2.5.1.3. 주시경 후계학파의 표준화 연구
2.5.1.4. 『언문철자법』의 개정과 보급
2.5.2. 조선어학회의 정서법 제정과 표준어 사정
2.5.3. 『한글마춤법통일안』 제정 전후의 표준화에 관련된 제 문제
2.5.4. 조선어학회의 『조선어사전』의 편찬
2.5.5. “조선어학회 수난”의 발단과 경과
2.5.6. 실증론의 대두와 우리말의 방언 및 음운의 연구
2.5.7. 반도 밖의 우리말 보급
2.5.8. 우리말(조선어) 교육과 외국어 교육, 고전 주석
2.5.8.1. 조선인을 위한 일본어 교육
2.5.8.2.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 교육
2.5.8.3. 조선인을 위한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 교육
2.6. 분단 시대의 어문 문제
2.6.1. 해방공간(1945~1948)의 우리말 도로 찾기
2.6.2. 남북의 문자 ㆍ 언어 생활 양상
2.6.2.1. 남한의 문자생활 양상
제1기(1948~1957): 학교 교육에서의 한글 전용과 한글 파동
제2기(1958~1969): “한글 전용 실천요강”의 공포
제3기(1970~1983): 한글 전용의 시행과 한문교육의 강화
제4기(1984~1991): “국어 연구소”의 설립과 정서법의 개정
제5기(1992~2005): 개방시대
2.6.2.2. 북한의 문자생활 양상
제1기(1948~1954): 『한글마춤법통일안』의 준용과 『조선어 신철자법』
제2기(1954~1966): 『조선어 철자법』의 공포
제3기(1966~1976): “문화어 운동”의 전개
제4기(1976~1991): 규범집에 기초한 문화어운동의 정착
제5기(1992~2005): 개방시대
2.7. 협력시대의 어문 문제(2005~)
2.8. 우리말과 한글의 해외 보급
2.8.1. 해외 동포의 우리 문자 및 우리말의 사용 양상
2.8.2. 북한이탈 주민과 다문화시대의 우리말
2.8.3. 외국인의 우리말 학습 상황
2.9. 마무리-우리의 해석학적 언어철학 어디로-
제2부 우리말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과 윤리적ㆍ미학적 접근
제3장 우리말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3.1. 들어가기
3.2. 한힌샘의 사상체계
3.3. 한힌샘의 기호학과 현대의 텍스트과학
3.4. 마무리-우리 학문의 국제성-
제4장 우리말 텍스트에 대한 윤리적 접근
4.1. 들어가기
4.2. 『논어』와 『예기』의 언어윤리
4.3. 우리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언어윤리
4.4. 마무리
제5장 우리말 텍스트에 스며 있는 미학적 측면
5.1. 들어가기
5.2. 고대가요의 주술적 기능
5.3. 고시조의 감동적 기능
5.4. 현대시의 호소적 기능
5.5. 금기담과 길조담의 미학적 기능
5.6. 마무리
내용 보충
참고 논저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