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을 넘어서 복원과 공존으로
로즈
2023-12-05 00:46
180
0
본문
해금을 넘어서 복원과 공존으로
도서명 : 해금을 넘어서 복원과 공존으로
저자/출판사 : 김성수,천정환,이봉범,이철호,정종현,허민,한상언,유임, 역락
쪽수 : 608쪽
출판일 : 2022-10-12
ISBN : 9791167423962
정가 : 48000
제1부 해금의 문화사, 지성사
김성수 | 월북 작가 해금의 문화사적 의미
1. 문제 제기: ‘납ㆍ월북 작가 해금’ 30년?
2. 프레임의 전환: 납ㆍ월북, 재ㆍ월북, 이념적 선택, 분단 ‘피해자 복권’
3. ‘해금’의 문화사와 ‘해금’ 프레임 해체의 문화정치학
4. 결론: 평화체제를 지향하는 ‘통합과 포용의 문화사’로
천정환 | 다시, ‘우리의 소원’은 통일
통일ㆍ평화 담론의 변화와 새로운 지적ㆍ학문적 과제
1. 들어가며: ‘김정은 참수부대’의 추억(?)
2. 평화공존이냐 통일이냐: 최장집ㆍ백낙청 논쟁
3. 왜 통일해야 하는가: 민족주의의 여전한 역능
4. ‘미투’(#Me_too)와 분단: 사회개혁과 통일의 관계
5. 새로운 당위로서의 경제주의 통일 관념: ‘번영’과 북한 개발 담론
6. 과제 : 결론을 대신하여
이봉범 | 냉전과 월북, 해금 의제의 문화정치
1. (납)월북 문인ㆍ 예술가 해금 조치, 그 경과, 의의, 한계
2. 냉전논리의 제도화와 사상지리의 구축, 1950년대
3. 냉전체제 변동의 국내적 변용과 금지/해금의 파행, 1960~70년대
4. 신데탕트의 조성과 해금의 불가항력, 1980년대
5. 미완의 해금(복권) 너머-결론을 대신하여
이철호 | 해금 이후 1990년대 학술장의 변동
근대성 담론의 전유와 그 궤적
1. 내발론, 민족문학사, 근대기점론
2. 민족문학의 근대성론, 모더니즘의 재인식과 전유
3. 미적 근대성론과 그 이후
4. 90년대 문학연구와 ‘해금’
정종현 | 해금 전후 금서의 사회사
1. ‘금단의 족쇄’가 풀리다
2. 북한 책(지식)의 존재 방식
3. 1980년대 ‘금서’ 목록의 재구성
4. 금서 논의의 확장을 위하여: 리영희와 포르노그래피
허 민 | 해금 전후의 역사 인식과 탈냉전의 문화사
1. 복원의 의미: 해금과 ‘문학문화’의 재구조화
2. 해금 전후(사)의 역사 인식: ‘월북 작가’를 호명하는 다기한 주체와 논쟁들
3. 항쟁 이후의 문학론
4. 맑스와 카프, 북한의 역사화: 탈냉전 문화사 인식의 지평
한상언 | 월북 영화인 해금 30년의 여정
1. 들어가며
2. 금지되어 사라진 영화들
3. 해금이라는 사건
4. 발굴된 영화와 월북 영화인
5. 나오며
제2부 해금의 문학사, 작가론
유임하 | 해금 조치 30년, 근대문학사는 복원되었는가
1. 서론: 검열과 금지, 문학사 공백의 연원
2. ‘월북 문인’과 문학사의 공백
3. ‘해금 조치’ 전후 현실과 ‘복사기 네트워크’의 등장
4. 해금 이후 근대문학사 복원 행로
5. 결어: 해금 문인들의 문학사적 복원을 위하여
김미지 | 월북 문인 해금의 이면
리스트의 정치와 저작권 문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 끝나지 않은 20세기
2. 납ㆍ 월북 문인 ‘금지’를 둘러싼 미스터리-(블랙)리스트의 비밀
3. ‘불온’의 문제에서 ‘저작권’의 문제로-사법 체계로 들어온 해금
4. ‘문학사의 새 전기’를 넘어
장문석 | 월북 작가의 해금과 작품집 출판
1985-1989년 시기를 중심으로
1. 서-1988년 7월 19일에 관한 두 가지 질문
2. 7ㆍ19조치 이전의 단행본 및 전집 출판
3. 7ㆍ19조치 전후의 영인본 출판
4. 7ㆍ19조치 이후의 단행본 및 전집 출판
5. 결-‘해금’의 역사적 탈구축
오태호 | 벽초 홍명희의 「임꺽정」 연구의 역사성과 현재성 고찰
남북한의 문학적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분단 이전(1928~1950) 동시대의 평가 양상
- ‘조선 정조’에 기반한 ‘기념비적 대하역사소설의 효시(嚆矢)’
3. 북한 문학에서의 「임꺽정」 연구 변화 양상-진보적 작품에서 ‘현대성’의 소설로
4. 남한 문학에서의 「임꺽정」 연구 변화 양상-민중적 리얼리즘의 성취, 민족문학의 보고(寶庫)
5. 결론
정우택 | 월경(越境)의 트라우마와 38선의 알레고리
이용악과 러시아, 그리고 38선
1. 북방의 시인, 이용악
2. 삶의 터전으로서 ‘아라사’ 연해주
3. 모던과 탈주의 러시아
4. 국경 감각과 38선 돌파
5. 맺음말
고자연 | 한설야의 제3세계 인식
1950년대 중ㆍ후반의 기행문을 중심으로
1. 들어가기: 각성된 아세아ㆍ아프리카 그리고 북한
2. 인도를 향한 양가적 시선: 「적도 우에서」(1957)
3. ‘형제’, ‘영웅’, ‘선생’: 「(애급 기행) 나일강반에서」 외 몇 편
4. 사회주의의 파수꾼이 되리라: 「(오체르크) 아세아, 아프리카 작가 회의와 관련하여」(1959.1),
「흑아프리카 기행」(1960.5)
5. 나가며
논문 출처와 원제
도서명 : 해금을 넘어서 복원과 공존으로
저자/출판사 : 김성수,천정환,이봉범,이철호,정종현,허민,한상언,유임, 역락
쪽수 : 608쪽
출판일 : 2022-10-12
ISBN : 9791167423962
정가 : 48000
제1부 해금의 문화사, 지성사
김성수 | 월북 작가 해금의 문화사적 의미
1. 문제 제기: ‘납ㆍ월북 작가 해금’ 30년?
2. 프레임의 전환: 납ㆍ월북, 재ㆍ월북, 이념적 선택, 분단 ‘피해자 복권’
3. ‘해금’의 문화사와 ‘해금’ 프레임 해체의 문화정치학
4. 결론: 평화체제를 지향하는 ‘통합과 포용의 문화사’로
천정환 | 다시, ‘우리의 소원’은 통일
통일ㆍ평화 담론의 변화와 새로운 지적ㆍ학문적 과제
1. 들어가며: ‘김정은 참수부대’의 추억(?)
2. 평화공존이냐 통일이냐: 최장집ㆍ백낙청 논쟁
3. 왜 통일해야 하는가: 민족주의의 여전한 역능
4. ‘미투’(#Me_too)와 분단: 사회개혁과 통일의 관계
5. 새로운 당위로서의 경제주의 통일 관념: ‘번영’과 북한 개발 담론
6. 과제 : 결론을 대신하여
이봉범 | 냉전과 월북, 해금 의제의 문화정치
1. (납)월북 문인ㆍ 예술가 해금 조치, 그 경과, 의의, 한계
2. 냉전논리의 제도화와 사상지리의 구축, 1950년대
3. 냉전체제 변동의 국내적 변용과 금지/해금의 파행, 1960~70년대
4. 신데탕트의 조성과 해금의 불가항력, 1980년대
5. 미완의 해금(복권) 너머-결론을 대신하여
이철호 | 해금 이후 1990년대 학술장의 변동
근대성 담론의 전유와 그 궤적
1. 내발론, 민족문학사, 근대기점론
2. 민족문학의 근대성론, 모더니즘의 재인식과 전유
3. 미적 근대성론과 그 이후
4. 90년대 문학연구와 ‘해금’
정종현 | 해금 전후 금서의 사회사
1. ‘금단의 족쇄’가 풀리다
2. 북한 책(지식)의 존재 방식
3. 1980년대 ‘금서’ 목록의 재구성
4. 금서 논의의 확장을 위하여: 리영희와 포르노그래피
허 민 | 해금 전후의 역사 인식과 탈냉전의 문화사
1. 복원의 의미: 해금과 ‘문학문화’의 재구조화
2. 해금 전후(사)의 역사 인식: ‘월북 작가’를 호명하는 다기한 주체와 논쟁들
3. 항쟁 이후의 문학론
4. 맑스와 카프, 북한의 역사화: 탈냉전 문화사 인식의 지평
한상언 | 월북 영화인 해금 30년의 여정
1. 들어가며
2. 금지되어 사라진 영화들
3. 해금이라는 사건
4. 발굴된 영화와 월북 영화인
5. 나오며
제2부 해금의 문학사, 작가론
유임하 | 해금 조치 30년, 근대문학사는 복원되었는가
1. 서론: 검열과 금지, 문학사 공백의 연원
2. ‘월북 문인’과 문학사의 공백
3. ‘해금 조치’ 전후 현실과 ‘복사기 네트워크’의 등장
4. 해금 이후 근대문학사 복원 행로
5. 결어: 해금 문인들의 문학사적 복원을 위하여
김미지 | 월북 문인 해금의 이면
리스트의 정치와 저작권 문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 끝나지 않은 20세기
2. 납ㆍ 월북 문인 ‘금지’를 둘러싼 미스터리-(블랙)리스트의 비밀
3. ‘불온’의 문제에서 ‘저작권’의 문제로-사법 체계로 들어온 해금
4. ‘문학사의 새 전기’를 넘어
장문석 | 월북 작가의 해금과 작품집 출판
1985-1989년 시기를 중심으로
1. 서-1988년 7월 19일에 관한 두 가지 질문
2. 7ㆍ19조치 이전의 단행본 및 전집 출판
3. 7ㆍ19조치 전후의 영인본 출판
4. 7ㆍ19조치 이후의 단행본 및 전집 출판
5. 결-‘해금’의 역사적 탈구축
오태호 | 벽초 홍명희의 「임꺽정」 연구의 역사성과 현재성 고찰
남북한의 문학적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분단 이전(1928~1950) 동시대의 평가 양상
- ‘조선 정조’에 기반한 ‘기념비적 대하역사소설의 효시(嚆矢)’
3. 북한 문학에서의 「임꺽정」 연구 변화 양상-진보적 작품에서 ‘현대성’의 소설로
4. 남한 문학에서의 「임꺽정」 연구 변화 양상-민중적 리얼리즘의 성취, 민족문학의 보고(寶庫)
5. 결론
정우택 | 월경(越境)의 트라우마와 38선의 알레고리
이용악과 러시아, 그리고 38선
1. 북방의 시인, 이용악
2. 삶의 터전으로서 ‘아라사’ 연해주
3. 모던과 탈주의 러시아
4. 국경 감각과 38선 돌파
5. 맺음말
고자연 | 한설야의 제3세계 인식
1950년대 중ㆍ후반의 기행문을 중심으로
1. 들어가기: 각성된 아세아ㆍ아프리카 그리고 북한
2. 인도를 향한 양가적 시선: 「적도 우에서」(1957)
3. ‘형제’, ‘영웅’, ‘선생’: 「(애급 기행) 나일강반에서」 외 몇 편
4. 사회주의의 파수꾼이 되리라: 「(오체르크) 아세아, 아프리카 작가 회의와 관련하여」(1959.1),
「흑아프리카 기행」(1960.5)
5. 나가며
논문 출처와 원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