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안보리더십
로즈
2023-12-05 00:46
199
0
본문
대통령의 안보리더십
도서명 : 대통령의 안보리더십
저자/출판사 : 김충남, 플래닛미디어
쪽수 : 360쪽
출판일 : 2022-10-04
ISBN : 9791187822691
정가 : 20000
| 프롤로그 | 대통령의 안보리더십은 왜 중요한가
|서론| 안보는 국가의 일차적 과제며 대통령의 최우선 책무다
한국 안보의 지정학적 조건
안보는 대통령의 최우선 책무
제1부 열전과 냉전의 시대(1948~1987)
제1장 한국 안보의 기틀을 마련한 이승만 대통령
건국 직후의 안보 도전과 응전
기습 남침 직후 신속한 대미 지원 요청
전쟁 초부터 북진통일을 전쟁 목표로 설정
휴전반대 투쟁으로 상호방위조약을 쟁취한 탁월한 외교술
재조명되어야 할 이승만 대통령의 전쟁리더십
제2장 자주국방의 초석을 마련한 박정희 대통령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와 베트남전 파병
“제2의 한국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 안보의 기반을 뒤흔든 닉슨 독트린
자주국방을 향한 박정희 대통령의 거보(巨步)
남베트남 패망 후에도 시도되었던 카터의 주한미군 철수
제3장 공산세력 도전에 한미일 협력 강화로 대응한 전두환 대통령
위기관리 리더로 갑자기 등장한 전두환
총체적 위기 극복을 위한 신속한 한미관계 복원
일본으로부터 40억 달러의 안보경협(安保經協) 차관 획득
올림픽 성공을 위해 KAL 007기 피격과 아웅산 테러에 신축적 대응
실패로 끝난 북한의 서울올림픽 참가 설득 노력
제2부 탈냉전시대(1988~2002)
제4장 북방정책으로 안보의 새 지평을 연 노태우 대통령
모스크바와 베이징을 거쳐 평양으로 가겠다
북한을 개혁·개방으로 유도하려 한 7·7선언
자주국방을 위한 작전통제권 환수
군 구조 개편을 위한 8·18계획
제5장 외교안보 노선에서 온탕과 냉탕을 오간 김영삼 대통령
1차 북한 핵 위기로 뒤틀린 김영삼 대통령의 외교안보정책
일촉즉발의 전쟁 위기로 치달았던 1994년
북한의 붕괴를 예상하고 우왕좌왕한 대북정책
제6장 북한을 개혁·개방으로 유도하려 했던 김대중 대통령
오랜 세월 통일 대통령을 꿈꿨던 지도자
햇볕정책으로 김정일의 선군정치(先軍政治) 변화 시도
남북관계의 획기적 전환을 겨냥한 남북 정상회담
노벨 평화상을 위해 정상회담을 추진했다는 논란
임기 말에 빛을 잃어버린 햇볕정책
제3부 한반도 신냉전시대(2003~)
제7장 2차 북한 핵 위기에도 햇빛정책을 가속화한 노무현 대통령
불투명한 국가정체성을 가진 대통령의 안보리더십
햇볕정책을 무비판적으로 계승한 평화번영정책
미국과 중국 사이에 한국이 균형자 역할을 하겠다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서두른 작전통제권 전환과 자주국방
북한 핵실험 후에도 계속된 평화번영정책
북한이 개방·개혁할 것으로 오판
제8장 외교안보정책의 급격한 우회전을 시도한 이명박 대통령
서두른 한미관계 복원과 한일관계 개선
대북정책의 근본적 변화 추구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후 소극적인 대응
성급한 한일관계 개선에 따른 시행착오
제9장 적대행위에 광분한 북한에 신뢰구축을 시도한 박근혜 대통령
군사적 모험 노선으로 치닫는 북한 대상으로 신뢰구축
한미 및 한일관계 개선으로 한미일 대북 공조 모색
북한 핵 문제 해결 관련, 시진핑에게 지나친 기대
통일정책으로 남북관계의 국면 전환을 노리다
북한의 군사 도발에 원칙 있는 단호한 대응
제10장 평화 추구로 안보태세를 악화시킨 문재인 대통령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모든 일을 다 하겠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불기 시작한 평화의 봄바람
트럼프·김정은 회담, 시작은 거창했지만 결국은 파탄
종전선언을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시도
과연 북한에 비핵화 의향이 있었는가?
대내적으로 국방개혁, 남북 간에는 군비통제
미국·일본과의 엇박자로 혼선을 거듭한 외교안보정책
|결론| 신냉전시대의 한국의 안전과 번영
대한민국의 안전과 번영을 좌우할 윤석열 대통령의 안보리더십
역대 대통령들의 안보리더십 교훈
미주(尾註)
도서명 : 대통령의 안보리더십
저자/출판사 : 김충남, 플래닛미디어
쪽수 : 360쪽
출판일 : 2022-10-04
ISBN : 9791187822691
정가 : 20000
| 프롤로그 | 대통령의 안보리더십은 왜 중요한가
|서론| 안보는 국가의 일차적 과제며 대통령의 최우선 책무다
한국 안보의 지정학적 조건
안보는 대통령의 최우선 책무
제1부 열전과 냉전의 시대(1948~1987)
제1장 한국 안보의 기틀을 마련한 이승만 대통령
건국 직후의 안보 도전과 응전
기습 남침 직후 신속한 대미 지원 요청
전쟁 초부터 북진통일을 전쟁 목표로 설정
휴전반대 투쟁으로 상호방위조약을 쟁취한 탁월한 외교술
재조명되어야 할 이승만 대통령의 전쟁리더십
제2장 자주국방의 초석을 마련한 박정희 대통령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와 베트남전 파병
“제2의 한국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 안보의 기반을 뒤흔든 닉슨 독트린
자주국방을 향한 박정희 대통령의 거보(巨步)
남베트남 패망 후에도 시도되었던 카터의 주한미군 철수
제3장 공산세력 도전에 한미일 협력 강화로 대응한 전두환 대통령
위기관리 리더로 갑자기 등장한 전두환
총체적 위기 극복을 위한 신속한 한미관계 복원
일본으로부터 40억 달러의 안보경협(安保經協) 차관 획득
올림픽 성공을 위해 KAL 007기 피격과 아웅산 테러에 신축적 대응
실패로 끝난 북한의 서울올림픽 참가 설득 노력
제2부 탈냉전시대(1988~2002)
제4장 북방정책으로 안보의 새 지평을 연 노태우 대통령
모스크바와 베이징을 거쳐 평양으로 가겠다
북한을 개혁·개방으로 유도하려 한 7·7선언
자주국방을 위한 작전통제권 환수
군 구조 개편을 위한 8·18계획
제5장 외교안보 노선에서 온탕과 냉탕을 오간 김영삼 대통령
1차 북한 핵 위기로 뒤틀린 김영삼 대통령의 외교안보정책
일촉즉발의 전쟁 위기로 치달았던 1994년
북한의 붕괴를 예상하고 우왕좌왕한 대북정책
제6장 북한을 개혁·개방으로 유도하려 했던 김대중 대통령
오랜 세월 통일 대통령을 꿈꿨던 지도자
햇볕정책으로 김정일의 선군정치(先軍政治) 변화 시도
남북관계의 획기적 전환을 겨냥한 남북 정상회담
노벨 평화상을 위해 정상회담을 추진했다는 논란
임기 말에 빛을 잃어버린 햇볕정책
제3부 한반도 신냉전시대(2003~)
제7장 2차 북한 핵 위기에도 햇빛정책을 가속화한 노무현 대통령
불투명한 국가정체성을 가진 대통령의 안보리더십
햇볕정책을 무비판적으로 계승한 평화번영정책
미국과 중국 사이에 한국이 균형자 역할을 하겠다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서두른 작전통제권 전환과 자주국방
북한 핵실험 후에도 계속된 평화번영정책
북한이 개방·개혁할 것으로 오판
제8장 외교안보정책의 급격한 우회전을 시도한 이명박 대통령
서두른 한미관계 복원과 한일관계 개선
대북정책의 근본적 변화 추구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후 소극적인 대응
성급한 한일관계 개선에 따른 시행착오
제9장 적대행위에 광분한 북한에 신뢰구축을 시도한 박근혜 대통령
군사적 모험 노선으로 치닫는 북한 대상으로 신뢰구축
한미 및 한일관계 개선으로 한미일 대북 공조 모색
북한 핵 문제 해결 관련, 시진핑에게 지나친 기대
통일정책으로 남북관계의 국면 전환을 노리다
북한의 군사 도발에 원칙 있는 단호한 대응
제10장 평화 추구로 안보태세를 악화시킨 문재인 대통령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모든 일을 다 하겠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불기 시작한 평화의 봄바람
트럼프·김정은 회담, 시작은 거창했지만 결국은 파탄
종전선언을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시도
과연 북한에 비핵화 의향이 있었는가?
대내적으로 국방개혁, 남북 간에는 군비통제
미국·일본과의 엇박자로 혼선을 거듭한 외교안보정책
|결론| 신냉전시대의 한국의 안전과 번영
대한민국의 안전과 번영을 좌우할 윤석열 대통령의 안보리더십
역대 대통령들의 안보리더십 교훈
미주(尾註)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