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방언과 언어 연구의 구심력과 원심력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제주 방언과 언어 연구의 구심력과 원심력

로즈
2023-12-05 00:46 149 0

본문

제주 방언과 언어 연구의 구심력과 원심력
9791167423580.jpg


도서명 : 제주 방언과 언어 연구의 구심력과 원심력
저자/출판사 : 강정희,고동호,고영진,신우봉,우창현,치다,타로,김선미, 역락
쪽수 : 560쪽
출판일 : 2022-08-29
ISBN : 9791167423580
정가 : 45000

Ⅰ. 구심력
제주방언 어말어미의 화행론?강정희
-‘-게’, -ㄴ게’ ‘-녜’를 중심으로
1. 서론
2. 어말어미 ‘-게’, ‘-ㄴ게’, ‘-녜’의 형태론적 분포와 의미
3. 어말어미 ‘-게’, ‘-ㄴ게’, ‘-녜’의 화행론
4. 결론
제주방언의 유기음과 경음의 형성 과정?고동호
-어중의 ?h, th, k’, t’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유기음
3. 경음
4. 맺음말
다시 제주도 방언의 보존운동에 대하여?고영진
1. 들어가는 말
2. 제주도 방언의 현황
3. 제주도 방언의 보존운동
4. 결론을 대신하여
제주 방언 단모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 연구?신우봉
-50대 화자를 중심으로
1. 서론
2. 산출 실험
3. 지각 실험
4. 결론
방언 문법 형태 연구 방법?우창현
-제주방언 선어말어미 ‘-크-’를 중심으로
1. 서론
2. 선어말어미 의미 해석 원리
3. 선어말어미 의미 해석 원리의 타당성
4. 결론
웹과 어휘집: 한국어 제주 방언 어휘 연구의 과제와 전망?치다 ??타로(千田俊太郞)
1. 들어가는 말
2. 지금까지의 사전과 어휘집
3. 새로운 제주방언 어휘집
4. 맺는 말
한국어 제주 방언의 자연발화 텍스트?김선미
-옛날 음식
1. 들어가기
2. 텍스트 ‘옛날 음식’(파일 J0038_110821_KimP.M._1의 18분 13초~24분 15초)

Ⅱ. 원심력
구상적 형태와 크기에서 인식양태와 동급비교의 부사격조사로 이르는 문법화 과정에 대한 일고찰?최전승
-전라방언에서 ‘맹이로/마니로/마냥으로’의 3부류 형성을 중심으로
1. 서론: 외형적 유사성 자질〉비교표지
2. 구상적 형태 ‘본’(本)에서 동급비교 문법형태로의 전개 과정
3. 구상적 형태 ‘톄’(體)에서 동급비교 부사격조사로의 전개
4. 현대 전라방언에서 ‘맹이로’와 ‘맹이다’의 형성과정
5. 구상적 정도성(“크기”)에서 양태성 유사성으로: ‘만’
6. 결론과 논의
서남방언의 설명과 이야기의 시작 표지?이기갑
1. 역행 대용어
2. ‘아니라’ 구문
3. 결론
≪丁巨算法≫에 반영된 元代 物價에 대하여?서형국
-≪朴通事≫의 성립 시기를 탐색하며
1. 서론
2. 서지 및 간행 경위
3. ≪丁巨算法≫의 체재와 내용
4. ≪朴通事≫와 ≪丁巨算法≫의 대조
5. 결론
정치 담화에 나타나는 ‘통속어’에 대한 언론의 담론 구축 양상 연구?백승주
-대통령 발화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통속어의 성격
3. 통속성의 발견: 노무현 대통령의 경우
4. 구어성의 발견: 박근혜 대통령의 경우
5. 결론
매체의 훈육 이데올로기 재현에 대한 비평적 담화 분석?이정애
-강백호 선수의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자료 수집 현황
3. 자료 분석 방법
4. 실제 분석
5. 결론

Ⅲ. 인접성
외지 출신 문인의 제주도 기행문?정승철
-1930년대 신문 연재물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이무영의 〈꿈속의 나라 제주도를 찾아서〉(1935)
3. 이은상의 ≪탐라기행 한라산≫(1937)
4. 정지용의 〈다도해기〉(1938)
5. 맺음말
Eckardt 신부의 「조선어교제문전」(1923) 〈읽기자료〉와 구전 설화 「한라산 신션 니야기」의 텍스트 형성과 그 변이에 대한 일고찰?최전승
1. 서론: Eckardt의 한국학 연구 기점으로서 문법학습서와 설화 수집
2. 「조선어교제문전」(1923)에 반영된 20세기 초반 한국어의 구어와 다양성
3. Eckardt(1923)의 〈읽기자료〉와 Ridel(1881)의 〈단계별 연습 강의〉에 게재된 한국 민담 “한라산 신선 이야기”의 유연성
4. Ridel(1881)과 Eckardt(1923)에서 “한라산 신선 이야기”의 수용과 변이
5. 결론: 〈짜고 속여 망신주기〉 유형에 속하는 仙人見欺說話의 아류
본풀이의 의례적 확장?강정식
-동복신굿을 실마리 삼아
1. 논의의 단서
2. 의례적 접근 필요한 까닭
3. 의례의 확대에 따른 본풀이의 대응 사례
4. 의례의 확대에 따른 본풀이의 대응 방향
5. 본풀이 확장으로 인한 혼란 걷어내기
제주도 구비문학 속의 여성, 연구자의 시각 들여다보기?문순덕
-설화, 민요, 속담을 중심으로
1. 서론
2. 설화에 대한 연구자의 시각
3. 민요에 대한 연구자의 시각
4. 속담에 대한 연구자의 시각
5. 결론
김지홍 교수의 연구 역정에 관한 간략한 지형도 그리기?한창훈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