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의문 구문과 의도 구문의 형식문법
로즈
2023-12-05 00:46
147
0
본문
한국어 의문 구문과 의도 구문의 형식문법
도서명 : 한국어 의문 구문과 의도 구문의 형식문법
저자/출판사 : 양정석, 한국문화사
쪽수 : 320쪽
출판일 : 2022-08-25
ISBN : 9791169190381
정가 : 27000
머리말__5
제1장 서론 11
1.1. 의문 구문 연구의 목적과 범위 12
1.2. 의도 구문 연구의 목적과 범위 17
1.3. 국내외 연구 현황 19
1.3.1. 의문 구문에 대한 연구 현황 19
1.3.2. 의도 구문에 대한 연구 현황 23
1.4. 논의의 순서 25
제2장 합성성 원리의 구현과 양상 이론 27
2.1. 들어가기 27
2.2. 표준적 형식의미론에서의 합성성 원리 구현 방법 27
2.3. 양화사의 의미 해석 32
2.3.1. LF-이동 접근 방안에 따른 양화사 의미 해석의 문제 32
2.3.2. 가변 타입 접근 방안에 따른 한국어 양화사의 의미 해석 35
2.4. 표준적 양상 이론과 맥락, 판단자 개념의 필요성 49
2.4.1. Kratzer(1981,1991)의 양상 이론 49
2.4.2. 기준 맥락의 필요성 55
2.4.3. 기준 판단자의 필요성 58
2.5. 마무리 61
제3장 한국어 의도 구문의 형식문법 63
3.1. 들어가기 63
3.2. 의도 구문의 통사구조의 특징 64
3.3. 명령형/청유형/약속형 어미의 의미 정의와 문장 의미 합성 74
3.4. 간접인용절의 명령형/청유형/약속형 어미의 의미 정의와 간접인용문의 의미 합성 77
3.5. 추론규칙과 담화 의미 표상 84
3.6. ‘-겠-’, ‘-을것이-’, ‘-으려고하-’, ‘-을래’, ‘-으려무나’ 89
3.6.1. ‘-겠-’과 ‘-을것이-’ 90
3.6.2. ‘-겠다고’의 문제와 간접인용절 복합 어미들의 재정의 93
3.6.3. ‘-으려고 하-’와 ‘-을래’; 재구조화 원리와의 관련 102
3.6.4. 존재 양화의 의도 양상 ‘-으려무나’ 109
3.6.5. 한국어 의도 양상 요소 재정리 112
3.7. 의도 구문과 연접, 이접, 조건의 표현 118
3.8. 의도 구문의 담화화용론 123
3.8.1. 공유배경, 행동목록, 대화배경, 책임성 123
3.8.2. 명령문의 화용적 해석: 의도 양상이 다른 전이 의미들의 기본 의미다 126
3.8.3. 명령문과 양상 표현의 관계 128
3.8.3.1. 의도 양상과 의무 양상의 관계 128
3.8.3.2. 필요조건 조건문과 명령문의 상충 130
3.8.3.3. 명령에서 허락으로 132
3.9. 마무리 133
제4장 한국어 의문 구문의 형식문법 135
4.1. 들어가기 135
4.2. 의문 구문의 유형화 138
4.2.1. 의문형어미를 기준으로 한 유형화 138
4.2.2. 다중 의문사구, 의문사구와 의문형어미의 호응 141
4.3. 의문사의 양화사 해석 142
4.3.1. 양화사의 합성적 기술 143
4.3.2. 양화 관형사의 합성적 기술 149
4.3.3. 논리형태 이동 접근에 따른 의문사 의미 합성의 문제 151
4.4. 의문 구문의 통사의미적 합성: 양상 이론적 접근 158
4.4.1. 양상 요소로서의 의문형어미 158
4.4.2. 의문형어미의 의미 정의 163
4.4.3. 의문사 구문의 의미 합성 165
4.4.4. 의문 관형사 ‘어떤/어느/무슨’을 포함하는 의문 구문 170
4.4.5. 의문사를 포함하는 절이 관계절인 경우 173
4.4.6. 의문형어미와 간접인용절 176
4.4.7. 의문형어미와 보문 명사절 178
4.4.8. 의문형어미와 접속문 181
4.4.9. 다중 의문사 문장의 해석 183
4.5. 마무리 184
제5장 의문 구문 부연 및 보완, 다른 접근 방안들과의 비교 185
5.1. 들어가기 185
5.2. 통사구조에서 의미 형식으로, 담화 의미 표상까지 187
5.2.1. 의문사의문문의 통사구조의 특징, 그리고 변이문의 개념 187
5.2.2. 의미 형식에서 담화 의미 표상으로 191
5.2.3. 보문 구조와 접속 구조에서의 의문문 200
5.2.4. ‘웬’과 ‘몇’ 219
5.2.5. ‘누구의 책’, ‘무엇의 냄새’의 문제 222
5.2.6. 의문사와 의문 관형사의 의미 전이 규칙: 가변 타입 접근 방안 226
5.2.7. 의문사와 보조사 ‘-이나, -이라도, -도’의 상호작용 232
5.2.8. 반어의문문 242
5.2.9. 겹쳐진 양상 구조: ‘-더냐’와 ‘-을래’, ‘-을까’, ‘-지’ 245
5.2.10. 의문형어미의 재정리 252
5.3. 의문문에 대한 다른 해석 방안들 258
5.3.1. 의문문을 명제들의 집합으로 보는 형식의미론의 접근들 258
5.3.1.1. Karttunen(1977)의 의문문 해석 259
5.3.1.2. 이익환(1979): 한국어에 적용된 카투넨의 의문문 이론 263
5.3.1.3. Groenendijk & Stokhof(1984)의 의문문 해석 269
5.3.2. 통사적 논리형태 이동을 가정하지 않는 의문사의문문 해석 279
5.3.2.1. Shimoyama(2001) 279
5.3.2.2. Kratzer(2006):‘햄블린 함수적용’을 통한 대안형들의 산출 284
5.4. 마무리 289
제6장 결론 291
참고문헌__299
색인__316
도서명 : 한국어 의문 구문과 의도 구문의 형식문법
저자/출판사 : 양정석, 한국문화사
쪽수 : 320쪽
출판일 : 2022-08-25
ISBN : 9791169190381
정가 : 27000
머리말__5
제1장 서론 11
1.1. 의문 구문 연구의 목적과 범위 12
1.2. 의도 구문 연구의 목적과 범위 17
1.3. 국내외 연구 현황 19
1.3.1. 의문 구문에 대한 연구 현황 19
1.3.2. 의도 구문에 대한 연구 현황 23
1.4. 논의의 순서 25
제2장 합성성 원리의 구현과 양상 이론 27
2.1. 들어가기 27
2.2. 표준적 형식의미론에서의 합성성 원리 구현 방법 27
2.3. 양화사의 의미 해석 32
2.3.1. LF-이동 접근 방안에 따른 양화사 의미 해석의 문제 32
2.3.2. 가변 타입 접근 방안에 따른 한국어 양화사의 의미 해석 35
2.4. 표준적 양상 이론과 맥락, 판단자 개념의 필요성 49
2.4.1. Kratzer(1981,1991)의 양상 이론 49
2.4.2. 기준 맥락의 필요성 55
2.4.3. 기준 판단자의 필요성 58
2.5. 마무리 61
제3장 한국어 의도 구문의 형식문법 63
3.1. 들어가기 63
3.2. 의도 구문의 통사구조의 특징 64
3.3. 명령형/청유형/약속형 어미의 의미 정의와 문장 의미 합성 74
3.4. 간접인용절의 명령형/청유형/약속형 어미의 의미 정의와 간접인용문의 의미 합성 77
3.5. 추론규칙과 담화 의미 표상 84
3.6. ‘-겠-’, ‘-을것이-’, ‘-으려고하-’, ‘-을래’, ‘-으려무나’ 89
3.6.1. ‘-겠-’과 ‘-을것이-’ 90
3.6.2. ‘-겠다고’의 문제와 간접인용절 복합 어미들의 재정의 93
3.6.3. ‘-으려고 하-’와 ‘-을래’; 재구조화 원리와의 관련 102
3.6.4. 존재 양화의 의도 양상 ‘-으려무나’ 109
3.6.5. 한국어 의도 양상 요소 재정리 112
3.7. 의도 구문과 연접, 이접, 조건의 표현 118
3.8. 의도 구문의 담화화용론 123
3.8.1. 공유배경, 행동목록, 대화배경, 책임성 123
3.8.2. 명령문의 화용적 해석: 의도 양상이 다른 전이 의미들의 기본 의미다 126
3.8.3. 명령문과 양상 표현의 관계 128
3.8.3.1. 의도 양상과 의무 양상의 관계 128
3.8.3.2. 필요조건 조건문과 명령문의 상충 130
3.8.3.3. 명령에서 허락으로 132
3.9. 마무리 133
제4장 한국어 의문 구문의 형식문법 135
4.1. 들어가기 135
4.2. 의문 구문의 유형화 138
4.2.1. 의문형어미를 기준으로 한 유형화 138
4.2.2. 다중 의문사구, 의문사구와 의문형어미의 호응 141
4.3. 의문사의 양화사 해석 142
4.3.1. 양화사의 합성적 기술 143
4.3.2. 양화 관형사의 합성적 기술 149
4.3.3. 논리형태 이동 접근에 따른 의문사 의미 합성의 문제 151
4.4. 의문 구문의 통사의미적 합성: 양상 이론적 접근 158
4.4.1. 양상 요소로서의 의문형어미 158
4.4.2. 의문형어미의 의미 정의 163
4.4.3. 의문사 구문의 의미 합성 165
4.4.4. 의문 관형사 ‘어떤/어느/무슨’을 포함하는 의문 구문 170
4.4.5. 의문사를 포함하는 절이 관계절인 경우 173
4.4.6. 의문형어미와 간접인용절 176
4.4.7. 의문형어미와 보문 명사절 178
4.4.8. 의문형어미와 접속문 181
4.4.9. 다중 의문사 문장의 해석 183
4.5. 마무리 184
제5장 의문 구문 부연 및 보완, 다른 접근 방안들과의 비교 185
5.1. 들어가기 185
5.2. 통사구조에서 의미 형식으로, 담화 의미 표상까지 187
5.2.1. 의문사의문문의 통사구조의 특징, 그리고 변이문의 개념 187
5.2.2. 의미 형식에서 담화 의미 표상으로 191
5.2.3. 보문 구조와 접속 구조에서의 의문문 200
5.2.4. ‘웬’과 ‘몇’ 219
5.2.5. ‘누구의 책’, ‘무엇의 냄새’의 문제 222
5.2.6. 의문사와 의문 관형사의 의미 전이 규칙: 가변 타입 접근 방안 226
5.2.7. 의문사와 보조사 ‘-이나, -이라도, -도’의 상호작용 232
5.2.8. 반어의문문 242
5.2.9. 겹쳐진 양상 구조: ‘-더냐’와 ‘-을래’, ‘-을까’, ‘-지’ 245
5.2.10. 의문형어미의 재정리 252
5.3. 의문문에 대한 다른 해석 방안들 258
5.3.1. 의문문을 명제들의 집합으로 보는 형식의미론의 접근들 258
5.3.1.1. Karttunen(1977)의 의문문 해석 259
5.3.1.2. 이익환(1979): 한국어에 적용된 카투넨의 의문문 이론 263
5.3.1.3. Groenendijk & Stokhof(1984)의 의문문 해석 269
5.3.2. 통사적 논리형태 이동을 가정하지 않는 의문사의문문 해석 279
5.3.2.1. Shimoyama(2001) 279
5.3.2.2. Kratzer(2006):‘햄블린 함수적용’을 통한 대안형들의 산출 284
5.4. 마무리 289
제6장 결론 291
참고문헌__299
색인__316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