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글문화 총서 세트
로즈
2023-11-24 05:31
250
0
본문
우리말글문화 총서 세트
도서명 : 우리말글문화 총서 세트
저자/출판사 : 김슬옹,배우리,이길재,이종호,이동연,유사원,저자,글,, 마리북스
쪽수 : 1812쪽
출판일 : 2023-02-28
ISBN : 9791189943943
정가 : 90000
01
ㆍ 머리말
첫째마당 한글가온길, 한글세움길을 걷다
한글의 모든 것이 담겨 있는 길 _서울시 종로구 신문로1가 한글가온길
한글의 두 거인, 주시경과 헐버트 _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주시경마당
겨레의 말과 글을 지킨 가장 오래된 학회 _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한글학회
한글글자마당, 1만 1,172자의 과학 _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세종로공원
훈민정음 28자와 12척의 뜻을 아로새기다 _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광화문광장
둘째마당 훈민정음의 발자취를 찾아서
비밀 과업이었던 한글 창제의 공간들 _서울시 종로구 경복궁과 창덕궁
훈민정음 반포의 산실, 집현전 _서울시 종로구 경복궁 수정전의 집현전
훈민정음 인재 양성소, 사가독서 전당 _서울시 은평구 진관사 한글길
훈민정음 창제 마무리와 보급을 위한 야외 연구소 _충청북도 보은군 초정행궁
훈민정음 희방사본을 찾아서 _경상북도 영주시 희방사
훈민정음을 만든 8인의 공로자들 _《훈민정음》 해례본 탄생부터 보존까지
훈민정음 정신을 드높인 《동국정운》 대표 집필자 _경기도 의정부시 신숙주 묘
훈민정음을 지킨 사람들 _해례본 발견자 이용준과 해례본 지킴이 전형필
셋째 마당 오직 하나의 글, 한글 유적지
한글의 아버지가 잠든 곳 _경기도 여주시 세종 영릉
세종대왕의 모든 것을 간직한 곳 _서울시 동대문구 세종대왕기녑사업회와 세종대왕기념관
훈민정음 보급의 일등공신 신미대사 _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 복천암, 정이품송공원
한글 탄압의 주인공 연산군과 한글 지킴이 정의공주 _서울시 도봉구 연산군과 정의공주 묘
우리말 사전 탄생의 주인공 이극로 _경상남도 의령군 두곡마을
한글이 외면받던 시기에 세워진 한글 비석 유적지 _서울시 노원구, 경기도 포천시,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새재
미완성 한글 유적지 _서울시 종로구 경복궁 영추문 근처 세종 생가, 전라남도 나주시 금안 한글마을, 세종시
넷째마당 천 년의 문자, 한글 기념관과 한글마당
훈민정음 천 년의 문자 계획 _서울시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한글이 목숨 _울산시 중구 외솔기념관
오랜 세월 한글 유물을 모으고 간직한 개인 한글박물관 _충청북도 충주시 우리한글박물관
이윤재, 허웅 두 한글 거인이 자란 곳 _경상남도 김해시 김해한글박물관
큰사전 완성의 대들보 _전라북도 무주군 정인승기념관
최초 한글 소설의 주인공 홍길동 생가 _전라남도 장성군 아치실마을, 홍길동 테마파크
한글을 나랏글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 최초의 양반 한글 문학가 _경상남도 남해읍 김만중 남해유배문학관
ㆍ 부록. 한글가온길 즈려밟기
ㆍ 참고문헌
02
ㆍ 머리말
첫째마당 가재울과 미르 사이
가재울, 벌의 가장자리
청계천의 옛 이름 ‘개천’
달안, ‘달’이 ‘들’의 뜻으로
바위섬 독섬, 독도
너의 섬, 너나 가질 섬, 너벌섬 여의도
거룩함, 높음, 어짊의 뜻인 ‘용’을 품은 용산
둘째마당 돌모루와 치악산 사이
《춘향전》과 돌모루, 물이 돌아들다
돌고 돌다, 도라산
군사요충지 둔지산, 산이나 언덕의 ‘둔’
물의 마을, 물가의 마을, 문막
‘으뜸’의 뜻인 ‘마리’로 불러 달라, 마리산
선바위, 갓바위, 애기빌이 붙임바위, 바위들
들이 길게 뻗어 ‘벋을’, ‘버들’, 버드내
‘가도 가도 끝없다’는 곧베루, 꽃벼루
가운데 들과 넓은 들, 삽다리와 판교
치악산에 수많은 지명을 남긴 태종
셋째마당 곰달내와 아우라지 사이
‘큰 들판의 내’, 검달래가 곰달내로
추풍령, ‘서늘함’과 ‘떠남’을 떠올리게 하는 ‘추풍’
한탄강, 얼마나 많은 이들이 한탄했을까?
어원상으로 통하는 하늘의 달, 지상의 달
노루목은 왜 그토록 많을까?
전국 방방곡곡 많고 많은 ‘새재’들
솔고개, ‘솔’은 소나무가 아니다
둘을 아우르다, 아우내와 아우름
ㆍ 부록 1. 서울의 토박이말 땅이름
ㆍ 부록 2. 새로 생겨난 우리말 지명 이야기
03
ㆍ 머리말
첫째마당 겨레의 작은 역사
깔끄막 | 가파르게 비탈진 곳
마우재 | 러시아 사람
툴렁이 | 감자
꾸레미 | 부리망
떡쉬움이 | 효모균
꾀복쟁이 친구 | 아랫도리를 벗고 같이 놀아도 부끄러움이 없을 정도의 나이일 때 만난 친구
섬닷허다 | 먹은 음식이 시원찮아 배가 부르지 않고 부족하다, 비나 눈이 올 것처럼 흐리고 선득하다
손잡이뜨락또르 | 경운기
꺼꿉서다 | 꼿꼿이 선 채 윗몸을 허리 아래로 굽히는 동작
탯자리 | 자기가 태어난 곳
갱갈할매숟가락 | 키조개
해개먹음이와 달개먹음이 | 일식과 월식
다신어매젖줄개 | 민들레
간풀다 | 하는 짓이 부잡하고 아주 짓궂다
와가리 | 말매미
오여손잽이 | 왼손잡이
머구리 | 개구리
장싸귀 | 뚝배기
퍼들개 | 미꾸라지
두루바리 | 호랑이
꾹돈 | 남몰래 건네는 돈
마랑 | 은근히 불어오는 5월의 남풍
톰발리 | 빨리
여들하다 | 똘똘하다
샤쓰개 | 미치광이
둘째마당 간직해야 할 소중한 유산
머사니 | 거시기
쪼로로기 | 지퍼
싸박싸박 | 눈 쌓인 길을 사박사박 천천히 걷는 모양
강낭수수 | 옥수수
마씸 | ‘-요’를 뜻하는 어미
가슬 | 가을
쇠꼽새 | 비행기
포리 | 파리
무두태 | 머리 없이 몸통만 말린 명태
조코배기 | 아무렇게나 막 신는 짚신
토끼치기 | 자치기
모드락바람 | 회오리바람
새파우 | 새우
쉐우리 | 부추
올랫길 | 거리에서 대문으로 통하는 좁은 길
고쿠락 | 아궁이
항가치 | 암컷 방아깨비
디렝이 | 지렁이
ᄏᆞᆨ박 | 바가지
마랑구 | 기름
ㆍ 방언 찾아보기
04
ㆍ 머리말
1장 세계인이 사랑하는 왕실 유적
왕실의 사랑을 받은 궁궐, 창덕궁
왕조의 상징, 종묘
과거와 현재를 이어 살아 숨 쉬고 있는 조선왕릉
2장 역사가 깃든 마을
‘비상 왕궁’ 남한산성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는 수원화성
살아 있는 유산 ‘한국의 역사마을’, 양동ㆍ하회마을
건축 기술의 발전과 불교의 확산을 보여 주는 백제역사유적지구
고인돌 중 유일한 세계유산,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3장 신라 천 년의 역사가 잠든 경주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속의 세계유산, 불국사와 석굴암
천 년 왕조를 이어 온 신라의 수도, 경주역사유적지구
4장 한국 정신문화의 산실 산사와 서원
《팔만대장경》을 품고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
천 년 이상 신앙ㆍ수도ㆍ생활 기능이 살아 있는 종합 승원 산사와 산지 승원
조선시대 정신문화의 산실, 한국의 서원
ㆍ 참고문헌
05
ㆍ 머리말
1장 유서 깊은 전통문화유산이 있는 예술마을
역사와 문화를 잇는 두레 공동체, 강릉 단오·명주예술마을
마을의 행복을 비는 ‘춤추는 상쇠’, 필봉굿 예술마을
광대들의 본향, 안성 바우덕이 남사당 예술마을
과거의 유산, 현재의 문화, 미래의 생태가 공존하는 담양 생태예술마을
2장 특화된 예술 장르를 간직한 예술마을
분단과 냉전을 넘어 예술 속으로, 통영 윤이상음악마을
땅의 평화, 아이들의 놀이마당 화성 민들레연극마을
베를린의 발트뷔네를 꿈꾸는 계촌 클래식마을
우리를 행복하게 해 주는 2개의 보석상자, 원주 춤·그림책마을
‘예술’과 ‘삶’이 하나 되는 예술인 공동체, 산청 큰들마당극마을
3장 주민들의 손길과 도시재생으로 탄생한 창의 예술마을
조선소 배후지에 꽃핀 문화재생도시, 깡깡이예술마을
공유를 위한 협치와 협력, 도심 속 예술인의 창작·삶 네트워크 성북예술마을
지식에서 예술로, 예술에서 다시 생활로 문발동 인문예술마을
위장하고 상생하는 하례리 ‘정령’의 예술마을
ㆍ 참고문헌
도서명 : 우리말글문화 총서 세트
저자/출판사 : 김슬옹,배우리,이길재,이종호,이동연,유사원,저자,글,, 마리북스
쪽수 : 1812쪽
출판일 : 2023-02-28
ISBN : 9791189943943
정가 : 90000
01
ㆍ 머리말
첫째마당 한글가온길, 한글세움길을 걷다
한글의 모든 것이 담겨 있는 길 _서울시 종로구 신문로1가 한글가온길
한글의 두 거인, 주시경과 헐버트 _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주시경마당
겨레의 말과 글을 지킨 가장 오래된 학회 _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한글학회
한글글자마당, 1만 1,172자의 과학 _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세종로공원
훈민정음 28자와 12척의 뜻을 아로새기다 _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광화문광장
둘째마당 훈민정음의 발자취를 찾아서
비밀 과업이었던 한글 창제의 공간들 _서울시 종로구 경복궁과 창덕궁
훈민정음 반포의 산실, 집현전 _서울시 종로구 경복궁 수정전의 집현전
훈민정음 인재 양성소, 사가독서 전당 _서울시 은평구 진관사 한글길
훈민정음 창제 마무리와 보급을 위한 야외 연구소 _충청북도 보은군 초정행궁
훈민정음 희방사본을 찾아서 _경상북도 영주시 희방사
훈민정음을 만든 8인의 공로자들 _《훈민정음》 해례본 탄생부터 보존까지
훈민정음 정신을 드높인 《동국정운》 대표 집필자 _경기도 의정부시 신숙주 묘
훈민정음을 지킨 사람들 _해례본 발견자 이용준과 해례본 지킴이 전형필
셋째 마당 오직 하나의 글, 한글 유적지
한글의 아버지가 잠든 곳 _경기도 여주시 세종 영릉
세종대왕의 모든 것을 간직한 곳 _서울시 동대문구 세종대왕기녑사업회와 세종대왕기념관
훈민정음 보급의 일등공신 신미대사 _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 복천암, 정이품송공원
한글 탄압의 주인공 연산군과 한글 지킴이 정의공주 _서울시 도봉구 연산군과 정의공주 묘
우리말 사전 탄생의 주인공 이극로 _경상남도 의령군 두곡마을
한글이 외면받던 시기에 세워진 한글 비석 유적지 _서울시 노원구, 경기도 포천시,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새재
미완성 한글 유적지 _서울시 종로구 경복궁 영추문 근처 세종 생가, 전라남도 나주시 금안 한글마을, 세종시
넷째마당 천 년의 문자, 한글 기념관과 한글마당
훈민정음 천 년의 문자 계획 _서울시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한글이 목숨 _울산시 중구 외솔기념관
오랜 세월 한글 유물을 모으고 간직한 개인 한글박물관 _충청북도 충주시 우리한글박물관
이윤재, 허웅 두 한글 거인이 자란 곳 _경상남도 김해시 김해한글박물관
큰사전 완성의 대들보 _전라북도 무주군 정인승기념관
최초 한글 소설의 주인공 홍길동 생가 _전라남도 장성군 아치실마을, 홍길동 테마파크
한글을 나랏글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 최초의 양반 한글 문학가 _경상남도 남해읍 김만중 남해유배문학관
ㆍ 부록. 한글가온길 즈려밟기
ㆍ 참고문헌
02
ㆍ 머리말
첫째마당 가재울과 미르 사이
가재울, 벌의 가장자리
청계천의 옛 이름 ‘개천’
달안, ‘달’이 ‘들’의 뜻으로
바위섬 독섬, 독도
너의 섬, 너나 가질 섬, 너벌섬 여의도
거룩함, 높음, 어짊의 뜻인 ‘용’을 품은 용산
둘째마당 돌모루와 치악산 사이
《춘향전》과 돌모루, 물이 돌아들다
돌고 돌다, 도라산
군사요충지 둔지산, 산이나 언덕의 ‘둔’
물의 마을, 물가의 마을, 문막
‘으뜸’의 뜻인 ‘마리’로 불러 달라, 마리산
선바위, 갓바위, 애기빌이 붙임바위, 바위들
들이 길게 뻗어 ‘벋을’, ‘버들’, 버드내
‘가도 가도 끝없다’는 곧베루, 꽃벼루
가운데 들과 넓은 들, 삽다리와 판교
치악산에 수많은 지명을 남긴 태종
셋째마당 곰달내와 아우라지 사이
‘큰 들판의 내’, 검달래가 곰달내로
추풍령, ‘서늘함’과 ‘떠남’을 떠올리게 하는 ‘추풍’
한탄강, 얼마나 많은 이들이 한탄했을까?
어원상으로 통하는 하늘의 달, 지상의 달
노루목은 왜 그토록 많을까?
전국 방방곡곡 많고 많은 ‘새재’들
솔고개, ‘솔’은 소나무가 아니다
둘을 아우르다, 아우내와 아우름
ㆍ 부록 1. 서울의 토박이말 땅이름
ㆍ 부록 2. 새로 생겨난 우리말 지명 이야기
03
ㆍ 머리말
첫째마당 겨레의 작은 역사
깔끄막 | 가파르게 비탈진 곳
마우재 | 러시아 사람
툴렁이 | 감자
꾸레미 | 부리망
떡쉬움이 | 효모균
꾀복쟁이 친구 | 아랫도리를 벗고 같이 놀아도 부끄러움이 없을 정도의 나이일 때 만난 친구
섬닷허다 | 먹은 음식이 시원찮아 배가 부르지 않고 부족하다, 비나 눈이 올 것처럼 흐리고 선득하다
손잡이뜨락또르 | 경운기
꺼꿉서다 | 꼿꼿이 선 채 윗몸을 허리 아래로 굽히는 동작
탯자리 | 자기가 태어난 곳
갱갈할매숟가락 | 키조개
해개먹음이와 달개먹음이 | 일식과 월식
다신어매젖줄개 | 민들레
간풀다 | 하는 짓이 부잡하고 아주 짓궂다
와가리 | 말매미
오여손잽이 | 왼손잡이
머구리 | 개구리
장싸귀 | 뚝배기
퍼들개 | 미꾸라지
두루바리 | 호랑이
꾹돈 | 남몰래 건네는 돈
마랑 | 은근히 불어오는 5월의 남풍
톰발리 | 빨리
여들하다 | 똘똘하다
샤쓰개 | 미치광이
둘째마당 간직해야 할 소중한 유산
머사니 | 거시기
쪼로로기 | 지퍼
싸박싸박 | 눈 쌓인 길을 사박사박 천천히 걷는 모양
강낭수수 | 옥수수
마씸 | ‘-요’를 뜻하는 어미
가슬 | 가을
쇠꼽새 | 비행기
포리 | 파리
무두태 | 머리 없이 몸통만 말린 명태
조코배기 | 아무렇게나 막 신는 짚신
토끼치기 | 자치기
모드락바람 | 회오리바람
새파우 | 새우
쉐우리 | 부추
올랫길 | 거리에서 대문으로 통하는 좁은 길
고쿠락 | 아궁이
항가치 | 암컷 방아깨비
디렝이 | 지렁이
ᄏᆞᆨ박 | 바가지
마랑구 | 기름
ㆍ 방언 찾아보기
04
ㆍ 머리말
1장 세계인이 사랑하는 왕실 유적
왕실의 사랑을 받은 궁궐, 창덕궁
왕조의 상징, 종묘
과거와 현재를 이어 살아 숨 쉬고 있는 조선왕릉
2장 역사가 깃든 마을
‘비상 왕궁’ 남한산성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는 수원화성
살아 있는 유산 ‘한국의 역사마을’, 양동ㆍ하회마을
건축 기술의 발전과 불교의 확산을 보여 주는 백제역사유적지구
고인돌 중 유일한 세계유산,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3장 신라 천 년의 역사가 잠든 경주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속의 세계유산, 불국사와 석굴암
천 년 왕조를 이어 온 신라의 수도, 경주역사유적지구
4장 한국 정신문화의 산실 산사와 서원
《팔만대장경》을 품고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
천 년 이상 신앙ㆍ수도ㆍ생활 기능이 살아 있는 종합 승원 산사와 산지 승원
조선시대 정신문화의 산실, 한국의 서원
ㆍ 참고문헌
05
ㆍ 머리말
1장 유서 깊은 전통문화유산이 있는 예술마을
역사와 문화를 잇는 두레 공동체, 강릉 단오·명주예술마을
마을의 행복을 비는 ‘춤추는 상쇠’, 필봉굿 예술마을
광대들의 본향, 안성 바우덕이 남사당 예술마을
과거의 유산, 현재의 문화, 미래의 생태가 공존하는 담양 생태예술마을
2장 특화된 예술 장르를 간직한 예술마을
분단과 냉전을 넘어 예술 속으로, 통영 윤이상음악마을
땅의 평화, 아이들의 놀이마당 화성 민들레연극마을
베를린의 발트뷔네를 꿈꾸는 계촌 클래식마을
우리를 행복하게 해 주는 2개의 보석상자, 원주 춤·그림책마을
‘예술’과 ‘삶’이 하나 되는 예술인 공동체, 산청 큰들마당극마을
3장 주민들의 손길과 도시재생으로 탄생한 창의 예술마을
조선소 배후지에 꽃핀 문화재생도시, 깡깡이예술마을
공유를 위한 협치와 협력, 도심 속 예술인의 창작·삶 네트워크 성북예술마을
지식에서 예술로, 예술에서 다시 생활로 문발동 인문예술마을
위장하고 상생하는 하례리 ‘정령’의 예술마을
ㆍ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