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
로즈
2023-11-24 05:31
201
0
본문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
도서명 :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
저자/출판사 : 강희숙,김상봉,박진영,윤희철,선봉규,하종강,김경인,김, 역락
쪽수 : 368쪽
출판일 : 2023-02-24
ISBN : 9791167425195
정가 : 26000
서문 ‘재난인문학 연구총서’ 8권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 간행에 부쳐 4
동일자의 연대와 타자의 응답 사이에서
1. 재난공동체와 사회적 연대의 실천
2. 인륜적 공동체의 형성원리에 대한 물음
3. 국가의 역설
4. 동일자의 연대와 타자의 응답 사이에서
오월과 사월의 연대와 실천
1. 재난 유토피아로서 오월 광주와 4ㆍ16의 연대
2. ‘오월어머니집’의 기도와 눈물
3. 애도의 실천, ‘마을 촛불’의 피케팅
4. ‘세월호광주시민상주모임’의 연대와 실천
5. 오월과 사월의 연대로 그리는 미래
가습기살균제 피해와 시민사회의 연대와 실천
1.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가습기살균제 참사
2. ‘드물게 성공한’ 2016 옥시 불매운동
3. 결코 쉽지 않은 재난 해결
4. 다시 선포된 2022 옥시ㆍ애경 전국불매운동
5. 계속해서 이야기해야 할 가습기살균제 피해
6. 재난공동체 연대로서의 불매운동
기후위기 대응과 새로운 시민운동
1. 기후위기와 우리의 변화
2. 기후변화와 우리가 직면한 위기
3. 시민 주도의 기후운동
4. 시민이 주도하는 기후위기 대응의 새로운 방향
한국사회와 난민
- 지역공동체의 연대 활동
1. 문제제기
2. 한국의 난민 정책과 실태
3. ‘특별한 난민’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의 국내 정착과 지원
4. 우크라이나전쟁 피란민 고려인과 지역공동체의 연대
5. 포용과 공존의 공동체를 위한 제언
재난과 사회적 연대의 측면에서 바라본 김용균법과 중대재해처벌법
1. 김용균법ㆍ중대재해법 제정의 배경
2. 김용균법(개정 산업안전보건법) 개요
3. 김용균법의 쟁점
4. 중대재해처벌법 개요
5. 중대재해처벌법의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
6. 사회적 재난 사건과 작업중지권
7. 중대재해처벌법의 쟁점
8. 윤석열 정부와 중대재해처벌법의 전망
9. 소결: 한국 사회의 산업재해를 보는 시각
히로시마와 합천, 그리고 후쿠시마
- 풀뿌리 연대, 가해자와 피해자의 경계를 허물다
1. 왜 지금 히로시마와 합천인가?
2. ‘히로시마’를 가지고 돌아온 사람들
3. 진정한 속죄와 화해ㆍ평화를 위한 연대
4. 1945년 8월의 ‘원폭’이 2011년 후쿠시마 ‘원전’에게
5. 아름다운 동행
재난위기극복을 위한 시민연대로서의 자원봉사
1. 재난의 최일선에 항상 함께해 온 시민들
2. 시민이 가진 재난자원봉사의 역량
3. 재난자원봉사 발전의 새로운 양상
4. 이웃이 이웃을 돕는 세심한 사회안전망
5. 시민은 재난 대응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도서명 :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
저자/출판사 : 강희숙,김상봉,박진영,윤희철,선봉규,하종강,김경인,김, 역락
쪽수 : 368쪽
출판일 : 2023-02-24
ISBN : 9791167425195
정가 : 26000
서문 ‘재난인문학 연구총서’ 8권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 간행에 부쳐 4
동일자의 연대와 타자의 응답 사이에서
1. 재난공동체와 사회적 연대의 실천
2. 인륜적 공동체의 형성원리에 대한 물음
3. 국가의 역설
4. 동일자의 연대와 타자의 응답 사이에서
오월과 사월의 연대와 실천
1. 재난 유토피아로서 오월 광주와 4ㆍ16의 연대
2. ‘오월어머니집’의 기도와 눈물
3. 애도의 실천, ‘마을 촛불’의 피케팅
4. ‘세월호광주시민상주모임’의 연대와 실천
5. 오월과 사월의 연대로 그리는 미래
가습기살균제 피해와 시민사회의 연대와 실천
1.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가습기살균제 참사
2. ‘드물게 성공한’ 2016 옥시 불매운동
3. 결코 쉽지 않은 재난 해결
4. 다시 선포된 2022 옥시ㆍ애경 전국불매운동
5. 계속해서 이야기해야 할 가습기살균제 피해
6. 재난공동체 연대로서의 불매운동
기후위기 대응과 새로운 시민운동
1. 기후위기와 우리의 변화
2. 기후변화와 우리가 직면한 위기
3. 시민 주도의 기후운동
4. 시민이 주도하는 기후위기 대응의 새로운 방향
한국사회와 난민
- 지역공동체의 연대 활동
1. 문제제기
2. 한국의 난민 정책과 실태
3. ‘특별한 난민’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의 국내 정착과 지원
4. 우크라이나전쟁 피란민 고려인과 지역공동체의 연대
5. 포용과 공존의 공동체를 위한 제언
재난과 사회적 연대의 측면에서 바라본 김용균법과 중대재해처벌법
1. 김용균법ㆍ중대재해법 제정의 배경
2. 김용균법(개정 산업안전보건법) 개요
3. 김용균법의 쟁점
4. 중대재해처벌법 개요
5. 중대재해처벌법의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
6. 사회적 재난 사건과 작업중지권
7. 중대재해처벌법의 쟁점
8. 윤석열 정부와 중대재해처벌법의 전망
9. 소결: 한국 사회의 산업재해를 보는 시각
히로시마와 합천, 그리고 후쿠시마
- 풀뿌리 연대, 가해자와 피해자의 경계를 허물다
1. 왜 지금 히로시마와 합천인가?
2. ‘히로시마’를 가지고 돌아온 사람들
3. 진정한 속죄와 화해ㆍ평화를 위한 연대
4. 1945년 8월의 ‘원폭’이 2011년 후쿠시마 ‘원전’에게
5. 아름다운 동행
재난위기극복을 위한 시민연대로서의 자원봉사
1. 재난의 최일선에 항상 함께해 온 시민들
2. 시민이 가진 재난자원봉사의 역량
3. 재난자원봉사 발전의 새로운 양상
4. 이웃이 이웃을 돕는 세심한 사회안전망
5. 시민은 재난 대응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