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표준 문법
로즈
2023-11-24 05:31
426
0
본문
한국어 표준 문법
도서명 : 한국어 표준 문법
저자/출판사 : 유현경,한재영,김홍범,이정택,김성규,강현화,구본관,이, 집문당
쪽수 : 730쪽
출판일 : 2023-02-20
ISBN : 9788930319430
정가 : 40000
총론
1. 한국어의 특징
1.1. 음운론적 특징
1.2. 형태론적 특징
1.3. 통사론적 특징
1.4. 담화론적 특징
2. 〈표준 문법〉의 특성과 활용
2.1. 〈표준 문법〉의 특성
2.1.1. 〈표준 문법〉의 필요성
2.1.2. 〈표준 문법〉의 개념
2.1.3. 〈표준 문법〉의 기술 방향
2.1.4. 〈표준 문법〉의 성격
2.1.5. 〈표준 문법〉의 구성 및 체계
2.2. 〈표준 문법〉의 활용
2.2.1. 어문 규범 개정에 활용
2.2.2. 국어사전의 개정에 활용
2.2.3. 국어 교육에 활용
2.2.4. 한국어 교육에 활용
3. 〈표준 문법〉의 용어와 기존 용어 비교
3.1. 문법서와 〈표준 문법〉의 용어
3.1.1. 문법서와 〈표준 문법〉의 음운론 용어
3.1.2. 문법서와 〈표준 문법〉의 형태론 용어
3.1.3. 문법서와 〈표준 문법〉의 통사론 용어
3.2. 어문 규정과 〈표준 문법〉의 용어
3.2.1. 어문 규정과 〈표준 문법〉의 음운론 용어
3.2.2. 어문 규정과 〈표준 문법〉의 형태론 용어
3.3.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 문법〉의 용어
3.3.1.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 문법〉의 음운론 용어
3.3.2.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 문법〉의 형태론 용어
3.3.3.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 문법〉의 통사론 용어
참고 문헌
음운론
1. 말소리
1.1. 말소리의 생성
1.1.1. 말소리의 산출 과정
1.1.2. 발음 기관
1.2. 음성과 음운
1.2.1. 음성
1.2.2. 음운
2. 음소
2.1. 자음
2.1.1. 자음의 개념
2.1.2. 자음 목록
2.1.3. 자음의 분류 기준
2.1.4. 자음 체계
2.2. 모음
2.2.1. 모음의 개념
2.2.2. 단모음
2.2.3. 반모음
2.2.4. 이중 모음
3. 운소
3.1. 음장
3.1.1. 음장의 변별력
3.1.2. 장음의 실현 위치
3.1.3. 음장의 변동
3.1.4. 표현적 장음
3.2. 억양
3.2.1. 억양의 정의
3.2.2. 억양의 일반적 유형
3.2.3. 문말 억양
4. 휴지
4.1. 휴지의 정의
4.2. 휴지의 생리적 기능
4.3. 휴지의 음운론적 기능
4.4. 휴지의 통사 · 의미론적 기능
5. 음절
5.1. 음절의 정의
5.2. 음절의 구조와 유형
5.3. 음절의 성립
5.4. 음절 실현에 대한 제약
6. 변별적 자질
6.1. 변별적 자질의 개념
6.2. 주요 분류 자질
6.3. 자음 분류 자질
6.4. 모음 분류 자질
7. 기저형
7.1. 기저형과 표면형
7.2. 기저형의 설정 방법
7.3. 불규칙 활용 어간의 기저형
7.3.1. 비자동적 교체 유형
7.3.2. 불규칙 활용 어간의 이형태 실현 양상
7.3.3. 추상적 기저형의 설정
7.3.4. 다중 기저형의 설정
8. 음운 현상의 유형
9. 자음의 대치
9.1. 평파열음화
9.2. 비음화
9.3. ‘ㄹ’의 비음화
9.4. 유음화
9.5. 경음화
9.6. 조음 위치 동화
9.7. 구개음화
10. 모음의 대치
10.1. 반모음화
10.2. ‘ㅣ’모음 역행 동화
10.3. 원순 모음화
10.4. 모음 조화
11. 탈락
11.1. 자음군 단순화
11.2. 후음 탈락
11.3. ‘ㅡ’ 탈락
11.4. 유음 탈락
11.5. 동일 모음 탈락
11.6. 반모음 j 탈락
11.7. 어미 초 ‘ㅓ’ 탈락
12. 첨가
12.1. ‘ㄴ’ 첨가
12.2. 반모음 첨가
13. 축약
13.1. 유기음화
13.2. 모음 축약
참고 문헌
형태론
1. 형태론의 단위
1.1. 형태소
1.1.1. 형태소의 정의
1.1.2. 이형태와 기본형
1.1.2.1. 이형태와 교체
1.1.2.2. 이형태 교체의 양상
1.1.2.2.1.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1.1.2.2.2.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
1.1.2.2.3. 음운적 조건에 의한 교체와 비음운적 조건에 의한 교체
1.1.2.3. 교체와 기본형
1.1.3. 형태소의 하위 유형
1.1.3.1.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1.1.3.2.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1.1.4. 형태소 분석
1.1.4.1. 형태소 분석의 개념
1.1.4.2. 형태소 분석의 기준
1.1.4.3. 형태소 분석의 실제
1.1.4.4. 형태소 분석의 어려움
1.2. 단어
1.2.1. 단어의 정의
1.2.1.1. 단어의 일반적 정의
1.2.1.2. 조사와 어미의 단어 인정 여부
1.2.1.3. 단어 개념의 분리
1.2.2. 단어의 구조
1.2.2.1. 단어의 구성 요소와 단어의 구조
1.2.2.2. 단어 구조의 분석
1.2.3. 단어 구성 요소의 구분
1.2.3.1. 어근과 접사, 어간과 어미
1.2.3.2. 어근의 구분
1.2.3.3. 접사의 구분
1.2.4. 단어의 유형
2. 품사 분류
2.1. 품사의 정의와 품사 분류
2.1.1. 품사의 정의와 품사 분류의 필요성
2.1.2. 품사 분류의 어려움
2.2. 품사 분류의 기준
2.2.1. 품사 분류의 기준 설정
2.2.2. 품사 분류 기준의 해석
2.3. 품사 분류의 실제
2.3.1. 품사 분류 기준의 적용 순서
2.3.2. 품사 분류의 결과
2.4. 품사 통용
2.4.1. 품사의 통용 현상
2.4.2. 품사 통용에 대한 문법적 설명
3. 체언
3.1. 체언의 특성
3.2. 체언의 유형
3.2.1. 명사
3.2.1.1. 보통 명사와 고유 명사
3.2.1.2. 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
3.2.1.3. 명사의 기타 부류
3.2.2. 대명사
3.2.2.1. 인칭 대명사
3.2.2.2. 지시 대명사
3.2.3. 수사
3.2.3.1. 양수사
3.2.3.2. 서수사
4. 용언
4.1. 용언의 특성
4.2. 용언의 활용과 어미
4.2.1. 용언의 활용
4.2.1.1. 용언의 활용과 기본형
4.2.1.2. 용언에 따른 활용의 특성
4.2.1.3. 활용의 불완전성
4.2.2. 어미
4.3. 용언의 유형
4.3.1. 동사
4.3.1.1. 동사의 정의와 특성
4.3.1.2. 동사의 하위분류
4.3.1.2.1. 자동사와 타동사
4.3.1.2.2. 규칙 동사와 불규칙 동사
4.3.2. 형용사
4.3.2.1. 형용사의 정의와 특성
4.3.2.2. 형용사의 하위분류
4.3.2.2.1. 성상 형용사와 지시 형용사
4.3.2.2.2. 규칙 형용사와 불규칙 형용사
4.3.3. 이다
4.3.3.1. ‘이다’의 범주
4.3.3.2. ‘이다’의 특성
4.4. 보조 용언
4.4.1. 보조 용언의 정의와 특성
4.4.2. 보조 동사
4.4.3. 보조 형용사
5. 수식언과 독립언
5.1. 수식언의 특성
5.2. 수식언의 유형
5.2.1. 관형사
5.2.1.1. 관형사의 정의와 특성
5.2.1.2. 관형사의 하위분류
5.2.1.2.1. 성상 관형사
5.2.1.2.2. 지시 관형사
5.2.1.2.3. 수 관형사
5.2.1.3. 관형사의 결합 순서
5.2.2. 부사
5.2.2.1. 부사의 정의와 특성
5.2.2.2. 부사의 하위분류
5.2.2.2.1. 성분 부사와 문장 부사
5.2.2.2.2. 성상 부사, 지시 부사, 부정 부사
5.3. 독립언
5.3.1. 감탄사의 특성
5.3.2. 감탄사의 하위분류
6. 관계언
6.1. 조사의 특성
6.2. 조사의 유형
6.2.1. 격 조사
6.2.1.1. 격 조사의 하위분류
6.2.1.2. 격 조사의 생략
6.2.2. 보조사
6.2.2.1. 보조사의 의미 기능
6.2.2.2. 보조사의 작용역
6.2.3. 접속 조사
6.3. 조사의 중첩
7. 단어 형성 방법과 유형
7.1. 단어 형성의 동인과 단어 형성의 원리
7.1.1. 단어 형성의 동인
7.1.2. 단어 형성의 원리
7.1.2.1. 단어 형성 원리로서의 유추와 규칙
7.1.2.2. 단어 형성에서의 형식과 의미
7.2. 단어 형성 방법의 분류
7.2.1. 단어의 분석과 단어의 형성
7.2.2. 단어 형성 방법의 유형
8. 파생
8.1. 파생어 형성과 파생 접사
8.1.1. 파생 접사의 범위
8.1.2. 파생 접사의 생산성
8.1.3. 파생어 형성과 단일어화
8.1.4. 파생어 형성 규칙과 제약
8.2. 접두 파생어 형성
8.2.1. 접두사와 접두 파생법
8.2.2. 접두 파생법의 유형
8.2.2.1. 명사 어근 접두 파생법
8.2.2.2. 동사/형용사 어근 접두 파생법
8.2.2.3. 명사와 동사/형용사 어근 접두 파생법
8.3. 접미 파생어 형성
8.3.1. 접미사와 접미 파생법
8.3.2. 접미 파생법의 유형
8.3.2.1. 명사 형성 접미 파생법
8.3.2.2. 동사 형성 접미 파생법
8.3.2.3. 형용사 형성 접미 파생법
8.3.2.4. 부사 형성 접미 파생법
9. 합성
9.1. 합성과 합성어
9.1.1. 합성의 개념
9.1.2. 합성의 유형
9.1.3. 합성과 음운 현상
9.1.4. 합성어와 구의 구별
9.2. 품사별 합성
9.2.1. 명사 합성
9.2.2. 동사 합성
9.2.3. 형용사 합성
9.2.4. 관형사 합성
9.2.5. 부사 합성
10. 한자어 단어 형성
10.1. 한자어 단어 형성의 특징
10.2. 한자어 파생
10.2.1. 접두 파생
10.2.2. 접미 파생
10.3. 한자어 합성
참고 문헌
통사론
1.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 단위
1.1. 문법 단위
1.2. 구
1.3. 단어와 어절
1.4. 절
1.5. 문장
1.5.1. 문장 성립의 필요충분조건
1.5.2. 문장의 규정
1.5.3. 문장의 범위
2. 문장 성분과 기본 문형
2.1. 문장 성분
2.1.1 문장 성분의 개념과 종류
2.1.2. 문장 성분의 분석
2.1.3. 주성분
2.1.3.1. 주어
2.1.3.1.1. 주어의 성립과 주격 조사
2.1.3.1.2. 주격 조사 및 주어의 생략
2.1.3.1.3. 주어의 통사적 특징
2.1.3.1.4. 서술절(敍述節)을 안은 겹문장
2.1.3.2. 목적어
2.1.3.2.1. 목적어의 성립과 목적격 조사
2.1.3.2.2. 목적격 조사와 목적어의 생략
2.1.3.2.3. 목적어가 중복되는 구문
2.1.3.2.4. 자동사 서술어와 목적격 조사
2.1.3.3. 서술어
2.1.3.3.1. 서술어의 성립
2.1.3.3.2. 서술어의 자릿수와 선택 제약
2.1.3.4. 보어
2.1.3.4.1. 보어의 성립과 보격 조사
2.1.3.4.2. 보격 조사와 보어의 생략
2.1.3.4.3. 보어의 범위
2.1.3.4.4. 보어의 특성
2.1.3.4.5. 보어를 요구하는 용언
2.1.4. 부속 성분
2.1.4.1. 관형어
2.1.4.1.1. 관형어의 성립
2.1.4.1.2. 관형어의 특성
2.1.4.2. 부사어
2.1.4.2.1. 부사어의 성립
2.1.4.2.2. 부사어의 종류와 특성
2.1.5. 독립 성분
2.2. 기본 문형
2.2.1. 기본 문형의 개념과 효용성
2.2.2. 기본 문형의 설정 원칙
2.2.2.1. 포괄성의 원칙
2.2.2.2. 형식 중심의 원칙
2.2.2.3. 다단계 분류 원칙
2.2.3. 기본 문형 설정의 예시
3. 홑문장과 겹문장
3.1. 문장의 짜임새
3.2. 이어진문장
3.3. 안은문장
3.3.1. 명사절을 안은 문장
3.3.1.1. 명사절의 성립
3.3.1.2. 명사절과 명사절 상당 구성
3.3.1.2.1. 명사형 어미에 의한 명사절
3.3.1.2.2. 명사절 상당 구성
3.3.1.2.2.1. 것 명사절 상당 구성
3.3.1.2.2.2. 의문 명사절 구성
3.3.2. 관형사절을 안은 문장
3.3.3. 부사절을 안은 문장
3.3.4. 인용절을 안은 문장
3.3.5. 서술절을 안은 문장
3.4. 겹문장의 통사 현상
3.4.1. 대용화 현상
3.4.2. 주제 제약
3.4.3. 이동 제약
3.4.4. 선어말 어미 결합 현상
3.4.5. 동일 주어 제약
3.4.6. 기타 현상
4. 문장 종결
4.1. 문장 종결의 실현과 체계
4.1.1. 문장 종결의 실현
4.1.2. 문장 종결법의 체계
4.2. 문장의 유형
4.2.1. 평서문
4.2.2. 감탄문
4.2.3. 의문문
4.2.3.1. 의문문의 개념과 성립
4.2.3.2. 의문문의 하위 유형
4.2.3.2.1. 판정 의문문
4.2.3.2.2. 설명 의문문
4.2.3.2.3. 선택 의문문
4.2.3.2.4. 수사 의문문
4.2.3.2.5. 메아리 의문문
4.2.4. 명령문
4.2.5. 청유문
4.3. 문장의 유형과 화행
5. 높임
5.1. 정의와 개관
5.2. 주체 높임
5.3. 상대 높임
5.4. 객체 높임
5.5. 어휘적 높임
5.6. 높임의 전략적 선택
6. 시간과 상
6.1. 정의와 개관
6.2. 절대 시제와 상대 시제
6.3. 현재
6.4. 과거
6.5. 미래
6.6. 상
7. 부정
7.1. 부정문의 개념과 범위
7.2. 부정문의 유형
7.2.1. 일반 부정문
7.2.1.1. 안 부정문
7.2.1.2 못 부정문
7.2.2. 특수 부정문
7.2.2.1. 말다 부정문
7.2.2.2. 어휘 부정문
7.3. 부정문의 통사적 특징
7.3.1. 부정의 작용역
7.3.2. 긴 부정문에서의 선어말 어미의 결합 위치
7.3.3. 부정 의문문의 대답
7.3.4. 이중 부정문
8. 사동과 피동
8.1. 사동
8.1.1. 사동과 주동
8.1.2. 사동 서술어와 사동문
8.1.2.1. 형태론적 사동문
8.1.2.2. 통사론적 사동문
8.1.2.3. 두 유형의 차이
8.2. 피동
8.2.1. 피동의 정의
8.2.2. 피동 서술어와 피동문
8.2.2.1. 형태론적 피동문
8.2.2.2. 통사론적 피동문
참고 문헌
담화론
1. 담화의 성립과 단위
1.1. 담화의 성립
1.1.1. 담화의 개념
1.1.2. 담화와 언어 단위
1.2. 담화의 단위
1.2.1. 담화와 발화
1.2.2. 담화의 단위
2. 담화의 구성 요소
2.1. 담화 구성 요소와 전달 매체
2.2. 담화 참여자
2.3. 메시지(전언)
2.4. 상황 맥락
3. 담화의 특성
3.1. 담화성
3.2. 담화성의 요소
3.2.1. 응결성
3.2.2. 응집성
3.2.3. 의도성
3.2.4. 용인성
3.2.5. 정보성
3.2.6. 상황성
3.2.7. 상호텍스트성
4. 담화 기능과 담화의 종류
4.1. 담화 기능의 유형
4.1.1. 담화 기능과 언어 사용 목적
4.1.2. 담화 기능과 세계, 화자와의 관계
4.1.3. 담화 기능과 청자
4.2. 담화 기능의 체계
4.3. 담화의 종류
5. 담화의 구조
5.1. 담화의 유형과 담화 구조
5.2. 담화의 위계적 구조
5.3. 담화의 전개 구조
5.4. 상호 교환 담화의 구조
6. 담화 표지
6.1. 정의와 개관
6.1.1. 담화 표지에 대한 정의
6.1.2. 구어와 문어에서의 담화 표지
6.2. 구어 담화 표지
6.2.1. 구어 담화 표지의 형식
6.2.2. 구어 담화 표지의 유형
6.2.3. 구어 담화 표지의 기능
6.2.4. 구어 담화 표지의 특성
6.3. 문어 담화 표지
6.3.1. 문어 담화 표지의 구조와 기능
6.3.1.1. 문어 담화의 구조
6.3.1.2. 문어 담화 표지의 기능
6.3.2. 문어 담화 구조 및 표지 유형
6.3.2.1. 설명문
6.3.2.2. 기행문
6.3.2.2.1. 여정 표지
6.3.2.2.2. 견문 표지
6.3.2.2.3. 감상 표지
참고 문헌
찾아보기
도서명 : 한국어 표준 문법
저자/출판사 : 유현경,한재영,김홍범,이정택,김성규,강현화,구본관,이, 집문당
쪽수 : 730쪽
출판일 : 2023-02-20
ISBN : 9788930319430
정가 : 40000
총론
1. 한국어의 특징
1.1. 음운론적 특징
1.2. 형태론적 특징
1.3. 통사론적 특징
1.4. 담화론적 특징
2. 〈표준 문법〉의 특성과 활용
2.1. 〈표준 문법〉의 특성
2.1.1. 〈표준 문법〉의 필요성
2.1.2. 〈표준 문법〉의 개념
2.1.3. 〈표준 문법〉의 기술 방향
2.1.4. 〈표준 문법〉의 성격
2.1.5. 〈표준 문법〉의 구성 및 체계
2.2. 〈표준 문법〉의 활용
2.2.1. 어문 규범 개정에 활용
2.2.2. 국어사전의 개정에 활용
2.2.3. 국어 교육에 활용
2.2.4. 한국어 교육에 활용
3. 〈표준 문법〉의 용어와 기존 용어 비교
3.1. 문법서와 〈표준 문법〉의 용어
3.1.1. 문법서와 〈표준 문법〉의 음운론 용어
3.1.2. 문법서와 〈표준 문법〉의 형태론 용어
3.1.3. 문법서와 〈표준 문법〉의 통사론 용어
3.2. 어문 규정과 〈표준 문법〉의 용어
3.2.1. 어문 규정과 〈표준 문법〉의 음운론 용어
3.2.2. 어문 규정과 〈표준 문법〉의 형태론 용어
3.3.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 문법〉의 용어
3.3.1.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 문법〉의 음운론 용어
3.3.2.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 문법〉의 형태론 용어
3.3.3.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 문법〉의 통사론 용어
참고 문헌
음운론
1. 말소리
1.1. 말소리의 생성
1.1.1. 말소리의 산출 과정
1.1.2. 발음 기관
1.2. 음성과 음운
1.2.1. 음성
1.2.2. 음운
2. 음소
2.1. 자음
2.1.1. 자음의 개념
2.1.2. 자음 목록
2.1.3. 자음의 분류 기준
2.1.4. 자음 체계
2.2. 모음
2.2.1. 모음의 개념
2.2.2. 단모음
2.2.3. 반모음
2.2.4. 이중 모음
3. 운소
3.1. 음장
3.1.1. 음장의 변별력
3.1.2. 장음의 실현 위치
3.1.3. 음장의 변동
3.1.4. 표현적 장음
3.2. 억양
3.2.1. 억양의 정의
3.2.2. 억양의 일반적 유형
3.2.3. 문말 억양
4. 휴지
4.1. 휴지의 정의
4.2. 휴지의 생리적 기능
4.3. 휴지의 음운론적 기능
4.4. 휴지의 통사 · 의미론적 기능
5. 음절
5.1. 음절의 정의
5.2. 음절의 구조와 유형
5.3. 음절의 성립
5.4. 음절 실현에 대한 제약
6. 변별적 자질
6.1. 변별적 자질의 개념
6.2. 주요 분류 자질
6.3. 자음 분류 자질
6.4. 모음 분류 자질
7. 기저형
7.1. 기저형과 표면형
7.2. 기저형의 설정 방법
7.3. 불규칙 활용 어간의 기저형
7.3.1. 비자동적 교체 유형
7.3.2. 불규칙 활용 어간의 이형태 실현 양상
7.3.3. 추상적 기저형의 설정
7.3.4. 다중 기저형의 설정
8. 음운 현상의 유형
9. 자음의 대치
9.1. 평파열음화
9.2. 비음화
9.3. ‘ㄹ’의 비음화
9.4. 유음화
9.5. 경음화
9.6. 조음 위치 동화
9.7. 구개음화
10. 모음의 대치
10.1. 반모음화
10.2. ‘ㅣ’모음 역행 동화
10.3. 원순 모음화
10.4. 모음 조화
11. 탈락
11.1. 자음군 단순화
11.2. 후음 탈락
11.3. ‘ㅡ’ 탈락
11.4. 유음 탈락
11.5. 동일 모음 탈락
11.6. 반모음 j 탈락
11.7. 어미 초 ‘ㅓ’ 탈락
12. 첨가
12.1. ‘ㄴ’ 첨가
12.2. 반모음 첨가
13. 축약
13.1. 유기음화
13.2. 모음 축약
참고 문헌
형태론
1. 형태론의 단위
1.1. 형태소
1.1.1. 형태소의 정의
1.1.2. 이형태와 기본형
1.1.2.1. 이형태와 교체
1.1.2.2. 이형태 교체의 양상
1.1.2.2.1.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1.1.2.2.2.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
1.1.2.2.3. 음운적 조건에 의한 교체와 비음운적 조건에 의한 교체
1.1.2.3. 교체와 기본형
1.1.3. 형태소의 하위 유형
1.1.3.1.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1.1.3.2.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1.1.4. 형태소 분석
1.1.4.1. 형태소 분석의 개념
1.1.4.2. 형태소 분석의 기준
1.1.4.3. 형태소 분석의 실제
1.1.4.4. 형태소 분석의 어려움
1.2. 단어
1.2.1. 단어의 정의
1.2.1.1. 단어의 일반적 정의
1.2.1.2. 조사와 어미의 단어 인정 여부
1.2.1.3. 단어 개념의 분리
1.2.2. 단어의 구조
1.2.2.1. 단어의 구성 요소와 단어의 구조
1.2.2.2. 단어 구조의 분석
1.2.3. 단어 구성 요소의 구분
1.2.3.1. 어근과 접사, 어간과 어미
1.2.3.2. 어근의 구분
1.2.3.3. 접사의 구분
1.2.4. 단어의 유형
2. 품사 분류
2.1. 품사의 정의와 품사 분류
2.1.1. 품사의 정의와 품사 분류의 필요성
2.1.2. 품사 분류의 어려움
2.2. 품사 분류의 기준
2.2.1. 품사 분류의 기준 설정
2.2.2. 품사 분류 기준의 해석
2.3. 품사 분류의 실제
2.3.1. 품사 분류 기준의 적용 순서
2.3.2. 품사 분류의 결과
2.4. 품사 통용
2.4.1. 품사의 통용 현상
2.4.2. 품사 통용에 대한 문법적 설명
3. 체언
3.1. 체언의 특성
3.2. 체언의 유형
3.2.1. 명사
3.2.1.1. 보통 명사와 고유 명사
3.2.1.2. 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
3.2.1.3. 명사의 기타 부류
3.2.2. 대명사
3.2.2.1. 인칭 대명사
3.2.2.2. 지시 대명사
3.2.3. 수사
3.2.3.1. 양수사
3.2.3.2. 서수사
4. 용언
4.1. 용언의 특성
4.2. 용언의 활용과 어미
4.2.1. 용언의 활용
4.2.1.1. 용언의 활용과 기본형
4.2.1.2. 용언에 따른 활용의 특성
4.2.1.3. 활용의 불완전성
4.2.2. 어미
4.3. 용언의 유형
4.3.1. 동사
4.3.1.1. 동사의 정의와 특성
4.3.1.2. 동사의 하위분류
4.3.1.2.1. 자동사와 타동사
4.3.1.2.2. 규칙 동사와 불규칙 동사
4.3.2. 형용사
4.3.2.1. 형용사의 정의와 특성
4.3.2.2. 형용사의 하위분류
4.3.2.2.1. 성상 형용사와 지시 형용사
4.3.2.2.2. 규칙 형용사와 불규칙 형용사
4.3.3. 이다
4.3.3.1. ‘이다’의 범주
4.3.3.2. ‘이다’의 특성
4.4. 보조 용언
4.4.1. 보조 용언의 정의와 특성
4.4.2. 보조 동사
4.4.3. 보조 형용사
5. 수식언과 독립언
5.1. 수식언의 특성
5.2. 수식언의 유형
5.2.1. 관형사
5.2.1.1. 관형사의 정의와 특성
5.2.1.2. 관형사의 하위분류
5.2.1.2.1. 성상 관형사
5.2.1.2.2. 지시 관형사
5.2.1.2.3. 수 관형사
5.2.1.3. 관형사의 결합 순서
5.2.2. 부사
5.2.2.1. 부사의 정의와 특성
5.2.2.2. 부사의 하위분류
5.2.2.2.1. 성분 부사와 문장 부사
5.2.2.2.2. 성상 부사, 지시 부사, 부정 부사
5.3. 독립언
5.3.1. 감탄사의 특성
5.3.2. 감탄사의 하위분류
6. 관계언
6.1. 조사의 특성
6.2. 조사의 유형
6.2.1. 격 조사
6.2.1.1. 격 조사의 하위분류
6.2.1.2. 격 조사의 생략
6.2.2. 보조사
6.2.2.1. 보조사의 의미 기능
6.2.2.2. 보조사의 작용역
6.2.3. 접속 조사
6.3. 조사의 중첩
7. 단어 형성 방법과 유형
7.1. 단어 형성의 동인과 단어 형성의 원리
7.1.1. 단어 형성의 동인
7.1.2. 단어 형성의 원리
7.1.2.1. 단어 형성 원리로서의 유추와 규칙
7.1.2.2. 단어 형성에서의 형식과 의미
7.2. 단어 형성 방법의 분류
7.2.1. 단어의 분석과 단어의 형성
7.2.2. 단어 형성 방법의 유형
8. 파생
8.1. 파생어 형성과 파생 접사
8.1.1. 파생 접사의 범위
8.1.2. 파생 접사의 생산성
8.1.3. 파생어 형성과 단일어화
8.1.4. 파생어 형성 규칙과 제약
8.2. 접두 파생어 형성
8.2.1. 접두사와 접두 파생법
8.2.2. 접두 파생법의 유형
8.2.2.1. 명사 어근 접두 파생법
8.2.2.2. 동사/형용사 어근 접두 파생법
8.2.2.3. 명사와 동사/형용사 어근 접두 파생법
8.3. 접미 파생어 형성
8.3.1. 접미사와 접미 파생법
8.3.2. 접미 파생법의 유형
8.3.2.1. 명사 형성 접미 파생법
8.3.2.2. 동사 형성 접미 파생법
8.3.2.3. 형용사 형성 접미 파생법
8.3.2.4. 부사 형성 접미 파생법
9. 합성
9.1. 합성과 합성어
9.1.1. 합성의 개념
9.1.2. 합성의 유형
9.1.3. 합성과 음운 현상
9.1.4. 합성어와 구의 구별
9.2. 품사별 합성
9.2.1. 명사 합성
9.2.2. 동사 합성
9.2.3. 형용사 합성
9.2.4. 관형사 합성
9.2.5. 부사 합성
10. 한자어 단어 형성
10.1. 한자어 단어 형성의 특징
10.2. 한자어 파생
10.2.1. 접두 파생
10.2.2. 접미 파생
10.3. 한자어 합성
참고 문헌
통사론
1.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 단위
1.1. 문법 단위
1.2. 구
1.3. 단어와 어절
1.4. 절
1.5. 문장
1.5.1. 문장 성립의 필요충분조건
1.5.2. 문장의 규정
1.5.3. 문장의 범위
2. 문장 성분과 기본 문형
2.1. 문장 성분
2.1.1 문장 성분의 개념과 종류
2.1.2. 문장 성분의 분석
2.1.3. 주성분
2.1.3.1. 주어
2.1.3.1.1. 주어의 성립과 주격 조사
2.1.3.1.2. 주격 조사 및 주어의 생략
2.1.3.1.3. 주어의 통사적 특징
2.1.3.1.4. 서술절(敍述節)을 안은 겹문장
2.1.3.2. 목적어
2.1.3.2.1. 목적어의 성립과 목적격 조사
2.1.3.2.2. 목적격 조사와 목적어의 생략
2.1.3.2.3. 목적어가 중복되는 구문
2.1.3.2.4. 자동사 서술어와 목적격 조사
2.1.3.3. 서술어
2.1.3.3.1. 서술어의 성립
2.1.3.3.2. 서술어의 자릿수와 선택 제약
2.1.3.4. 보어
2.1.3.4.1. 보어의 성립과 보격 조사
2.1.3.4.2. 보격 조사와 보어의 생략
2.1.3.4.3. 보어의 범위
2.1.3.4.4. 보어의 특성
2.1.3.4.5. 보어를 요구하는 용언
2.1.4. 부속 성분
2.1.4.1. 관형어
2.1.4.1.1. 관형어의 성립
2.1.4.1.2. 관형어의 특성
2.1.4.2. 부사어
2.1.4.2.1. 부사어의 성립
2.1.4.2.2. 부사어의 종류와 특성
2.1.5. 독립 성분
2.2. 기본 문형
2.2.1. 기본 문형의 개념과 효용성
2.2.2. 기본 문형의 설정 원칙
2.2.2.1. 포괄성의 원칙
2.2.2.2. 형식 중심의 원칙
2.2.2.3. 다단계 분류 원칙
2.2.3. 기본 문형 설정의 예시
3. 홑문장과 겹문장
3.1. 문장의 짜임새
3.2. 이어진문장
3.3. 안은문장
3.3.1. 명사절을 안은 문장
3.3.1.1. 명사절의 성립
3.3.1.2. 명사절과 명사절 상당 구성
3.3.1.2.1. 명사형 어미에 의한 명사절
3.3.1.2.2. 명사절 상당 구성
3.3.1.2.2.1. 것 명사절 상당 구성
3.3.1.2.2.2. 의문 명사절 구성
3.3.2. 관형사절을 안은 문장
3.3.3. 부사절을 안은 문장
3.3.4. 인용절을 안은 문장
3.3.5. 서술절을 안은 문장
3.4. 겹문장의 통사 현상
3.4.1. 대용화 현상
3.4.2. 주제 제약
3.4.3. 이동 제약
3.4.4. 선어말 어미 결합 현상
3.4.5. 동일 주어 제약
3.4.6. 기타 현상
4. 문장 종결
4.1. 문장 종결의 실현과 체계
4.1.1. 문장 종결의 실현
4.1.2. 문장 종결법의 체계
4.2. 문장의 유형
4.2.1. 평서문
4.2.2. 감탄문
4.2.3. 의문문
4.2.3.1. 의문문의 개념과 성립
4.2.3.2. 의문문의 하위 유형
4.2.3.2.1. 판정 의문문
4.2.3.2.2. 설명 의문문
4.2.3.2.3. 선택 의문문
4.2.3.2.4. 수사 의문문
4.2.3.2.5. 메아리 의문문
4.2.4. 명령문
4.2.5. 청유문
4.3. 문장의 유형과 화행
5. 높임
5.1. 정의와 개관
5.2. 주체 높임
5.3. 상대 높임
5.4. 객체 높임
5.5. 어휘적 높임
5.6. 높임의 전략적 선택
6. 시간과 상
6.1. 정의와 개관
6.2. 절대 시제와 상대 시제
6.3. 현재
6.4. 과거
6.5. 미래
6.6. 상
7. 부정
7.1. 부정문의 개념과 범위
7.2. 부정문의 유형
7.2.1. 일반 부정문
7.2.1.1. 안 부정문
7.2.1.2 못 부정문
7.2.2. 특수 부정문
7.2.2.1. 말다 부정문
7.2.2.2. 어휘 부정문
7.3. 부정문의 통사적 특징
7.3.1. 부정의 작용역
7.3.2. 긴 부정문에서의 선어말 어미의 결합 위치
7.3.3. 부정 의문문의 대답
7.3.4. 이중 부정문
8. 사동과 피동
8.1. 사동
8.1.1. 사동과 주동
8.1.2. 사동 서술어와 사동문
8.1.2.1. 형태론적 사동문
8.1.2.2. 통사론적 사동문
8.1.2.3. 두 유형의 차이
8.2. 피동
8.2.1. 피동의 정의
8.2.2. 피동 서술어와 피동문
8.2.2.1. 형태론적 피동문
8.2.2.2. 통사론적 피동문
참고 문헌
담화론
1. 담화의 성립과 단위
1.1. 담화의 성립
1.1.1. 담화의 개념
1.1.2. 담화와 언어 단위
1.2. 담화의 단위
1.2.1. 담화와 발화
1.2.2. 담화의 단위
2. 담화의 구성 요소
2.1. 담화 구성 요소와 전달 매체
2.2. 담화 참여자
2.3. 메시지(전언)
2.4. 상황 맥락
3. 담화의 특성
3.1. 담화성
3.2. 담화성의 요소
3.2.1. 응결성
3.2.2. 응집성
3.2.3. 의도성
3.2.4. 용인성
3.2.5. 정보성
3.2.6. 상황성
3.2.7. 상호텍스트성
4. 담화 기능과 담화의 종류
4.1. 담화 기능의 유형
4.1.1. 담화 기능과 언어 사용 목적
4.1.2. 담화 기능과 세계, 화자와의 관계
4.1.3. 담화 기능과 청자
4.2. 담화 기능의 체계
4.3. 담화의 종류
5. 담화의 구조
5.1. 담화의 유형과 담화 구조
5.2. 담화의 위계적 구조
5.3. 담화의 전개 구조
5.4. 상호 교환 담화의 구조
6. 담화 표지
6.1. 정의와 개관
6.1.1. 담화 표지에 대한 정의
6.1.2. 구어와 문어에서의 담화 표지
6.2. 구어 담화 표지
6.2.1. 구어 담화 표지의 형식
6.2.2. 구어 담화 표지의 유형
6.2.3. 구어 담화 표지의 기능
6.2.4. 구어 담화 표지의 특성
6.3. 문어 담화 표지
6.3.1. 문어 담화 표지의 구조와 기능
6.3.1.1. 문어 담화의 구조
6.3.1.2. 문어 담화 표지의 기능
6.3.2. 문어 담화 구조 및 표지 유형
6.3.2.1. 설명문
6.3.2.2. 기행문
6.3.2.2.1. 여정 표지
6.3.2.2.2. 견문 표지
6.3.2.2.3. 감상 표지
참고 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