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근대와 현실
로즈
2023-11-24 05:31
256
0
본문
자연과 근대와 현실
도서명 : 자연과 근대와 현실
저자/출판사 : 김옥성,김희원,유상희,저자,글,, 지식과교양
쪽수 : 280쪽
출판일 : 2023-02-15
ISBN : 9788967641931
정가 : 20000
제1장 김기림시의 보편주의와 초월적 시선 연구-초기시를 중심으로 11
1. 서론ㆍ11
2. 세계 시민의 시선과 종말론적 상상력ㆍ17
- ‘지구-공동체’의 발견과 종말에 대한 경고
3. 사회부 기자의 시선과 민족의식ㆍ24
- 코스모폴리타니즘과 민족주의
4. 시인의 시선과 반감상주의ㆍ33
- 감상적 자아와 이성적 자아의 투쟁
5. 결론ㆍ41
제2장 유치환 초기시의 노마디즘 45
1. 서론ㆍ45
2. ‘다른 곳’에 대한 동경과 방랑자의 공동체ㆍ50
3. “원수”에 대한 “증오”와 ‘다른 자아’의 모색ㆍ60
4. “피의 법도”와 “정한한 피”의 인간 - 의의와 한계ㆍ68
제3장김달진 시의 현실 인식-근대성 비판을 중심으로 77
1. 서론ㆍ77
2. 박제된 자연과 수인 의식ㆍ80
3. 근대의 환영(幻影)과 물신주의 비판ㆍ89
4. 고향 상실과 표박 의식ㆍ98
5. 결론ㆍ108
제4장 윤곤강시의식민지근대성비판과자연지향성 111
1. 서론ㆍ111
2. 소비문화와 퇴폐풍조, 그리고 근대 도시 경성의 모순ㆍ113
3. 열악한 노동 환경 비판과 노동자에 대한 공감ㆍ118
4. 근대 사회의 일상성과 소시민 의식 비판ㆍ123
5. 자연 지향성 -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농촌 공동체ㆍ126
6. 결론ㆍ132
제5장 오장환 시의 근대와 자연-1930년대 시를 중심으로 135
1. 서론ㆍ135
2. 근대의 왜곡된 이미지 - “바다”ㆍ140
3. 존재의 구체적 표상 - 동물과 식물ㆍ148
4. 결론ㆍ160
제6장 이용악 시에서 자연의 의미-『분수령』, 『낡은집』을 중심으로 163
1. 서론ㆍ163
2. 현실의 참상 고발과 비극적 정서를 함축하는 자연물ㆍ168
3. 강ㆍ바다 이미지와 이중적 정서의 형상화ㆍ175
4. 극복 의지의 발현과 자연의 섭리ㆍ182
5. 결론ㆍ188
제7장 박세영 시의 자연과 현실 191
1. 서론ㆍ191
2. 애상적 자연과 피상적 현실 인식ㆍ195
3. 농촌 착취의 비판과 봄의 역동성ㆍ200
4. 그리움의 자연과 투쟁의 내면화ㆍ209
5. 결론ㆍ220
제8장 이찬 시에서 자연의 의미-『待望』, 『焚香』을 중심으로 223
1. 서론ㆍ223
2. 봄과 ‘화원’ : 이상 세계에 대한 갈망과 상실ㆍ227
3. ‘바다’와 어촌 : 아름다운 자연과 어촌의 피폐함ㆍ232
4. ‘북방’과 산촌 : 척박한 자연 묘사와 현실 비판ㆍ238
5. 1930년대 리얼리즘 계열 시에 나타난 자연의 다층적 의미ㆍ244
참고문헌ㆍ255
찾아보기ㆍ271
도서명 : 자연과 근대와 현실
저자/출판사 : 김옥성,김희원,유상희,저자,글,, 지식과교양
쪽수 : 280쪽
출판일 : 2023-02-15
ISBN : 9788967641931
정가 : 20000
제1장 김기림시의 보편주의와 초월적 시선 연구-초기시를 중심으로 11
1. 서론ㆍ11
2. 세계 시민의 시선과 종말론적 상상력ㆍ17
- ‘지구-공동체’의 발견과 종말에 대한 경고
3. 사회부 기자의 시선과 민족의식ㆍ24
- 코스모폴리타니즘과 민족주의
4. 시인의 시선과 반감상주의ㆍ33
- 감상적 자아와 이성적 자아의 투쟁
5. 결론ㆍ41
제2장 유치환 초기시의 노마디즘 45
1. 서론ㆍ45
2. ‘다른 곳’에 대한 동경과 방랑자의 공동체ㆍ50
3. “원수”에 대한 “증오”와 ‘다른 자아’의 모색ㆍ60
4. “피의 법도”와 “정한한 피”의 인간 - 의의와 한계ㆍ68
제3장김달진 시의 현실 인식-근대성 비판을 중심으로 77
1. 서론ㆍ77
2. 박제된 자연과 수인 의식ㆍ80
3. 근대의 환영(幻影)과 물신주의 비판ㆍ89
4. 고향 상실과 표박 의식ㆍ98
5. 결론ㆍ108
제4장 윤곤강시의식민지근대성비판과자연지향성 111
1. 서론ㆍ111
2. 소비문화와 퇴폐풍조, 그리고 근대 도시 경성의 모순ㆍ113
3. 열악한 노동 환경 비판과 노동자에 대한 공감ㆍ118
4. 근대 사회의 일상성과 소시민 의식 비판ㆍ123
5. 자연 지향성 -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농촌 공동체ㆍ126
6. 결론ㆍ132
제5장 오장환 시의 근대와 자연-1930년대 시를 중심으로 135
1. 서론ㆍ135
2. 근대의 왜곡된 이미지 - “바다”ㆍ140
3. 존재의 구체적 표상 - 동물과 식물ㆍ148
4. 결론ㆍ160
제6장 이용악 시에서 자연의 의미-『분수령』, 『낡은집』을 중심으로 163
1. 서론ㆍ163
2. 현실의 참상 고발과 비극적 정서를 함축하는 자연물ㆍ168
3. 강ㆍ바다 이미지와 이중적 정서의 형상화ㆍ175
4. 극복 의지의 발현과 자연의 섭리ㆍ182
5. 결론ㆍ188
제7장 박세영 시의 자연과 현실 191
1. 서론ㆍ191
2. 애상적 자연과 피상적 현실 인식ㆍ195
3. 농촌 착취의 비판과 봄의 역동성ㆍ200
4. 그리움의 자연과 투쟁의 내면화ㆍ209
5. 결론ㆍ220
제8장 이찬 시에서 자연의 의미-『待望』, 『焚香』을 중심으로 223
1. 서론ㆍ223
2. 봄과 ‘화원’ : 이상 세계에 대한 갈망과 상실ㆍ227
3. ‘바다’와 어촌 : 아름다운 자연과 어촌의 피폐함ㆍ232
4. ‘북방’과 산촌 : 척박한 자연 묘사와 현실 비판ㆍ238
5. 1930년대 리얼리즘 계열 시에 나타난 자연의 다층적 의미ㆍ244
참고문헌ㆍ255
찾아보기ㆍ271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