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요정집 1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이요정집 1

땅끝
2023-11-12 08:33 121 0

본문

이요정집 1
9788928409648.jpg


도서명 : 이요정집 1
저자/출판사 : 신용개,저자,글,이정원,번역, 한국고전번역원
쪽수 : 408쪽
출판일 : 2022-12-31
ISBN : 9788928409648
정가 : 20000

일러두기ㆍ4
해제 조선 전기 훈구파ㆍ사림파의 이분법적 인식 극복을 위한 시금석|김영봉ㆍ17

《이요정집》 서 二樂亭集序|김안국金安國ㆍ52
《이요정집》 서 二樂亭集序|심언광沈彦光ㆍ56

이요정집 제1권
시詩
여강의 배 위에서 취중에 짓다 驪江船上醉作ㆍ63
금강 누선의 시에 차운하다 次錦江樓船韻ㆍ64
차운하다 次韻ㆍ65
〈요하 가는 길에〉 절구 네 수에 차운하다 次遼河道中四絶ㆍ66
평성 박원종 의 그림 병풍에 제하다 절구 8수 題平城 朴元宗 畫屛 八絶ㆍ68
시냇가에서 溪邊ㆍ71
산의 정자에서 우연히 써서 치규에게 보이다 山亭偶書示稚圭ㆍ72
앞의 시에 차운하다 次前韻ㆍ73
취중에 희순에게 부치고서 화운을 요구하다 2수 醉寄希醇索和 二首ㆍ75
단지 볼 뿐 只見ㆍ76
누런 대 竹黃ㆍ77
눈 그림에 제하다 題雪圖ㆍ78
그림 병풍에 제하다 절구 8수 題畫屛 八絶ㆍ80
때늦은 붉은 도화 절구 2수 晩紅桃 二絶ㆍ82
갈대, 기러기, 대나무, 살구나무를 그린 벽화에 제하다 題壁畫蘆雁竹杏ㆍ83
청심루 시에 차운하다 次淸心樓韻ㆍ84
덕산의 벽 위에 걸린 시에 차운하다 次德山壁上韻ㆍ85
서산 누대의 제영시에 차운하다 次瑞山樓題韻ㆍ86
시든 국화 殘菊ㆍ87
가는 대 細竹ㆍ88
길에서 천마산과 성거산을 바라보니 빗기운에 어두웠는데, 이로 인하여 옛 유람이 떠오르다 路上望天磨聖居兩山雨氣冥濛因憶舊遊ㆍ89
〈우장역으로 가며〉에 차운하다 次赴牛莊驛ㆍ90
〈해주위에 이르러〉에 차운하다 次至海州衛ㆍ91
봄 길을 걸으며 春日路中ㆍ92
이희순에게 부치다 寄李希醇ㆍ94
또 又ㆍ95
또 又ㆍ96
절구 2수 絶句 二首ㆍ98
옛 여인을 생각하는 황해도 관찰사 남사화를 희롱하며 지은 최자진의 시에 화운하다 和崔子眞戲南士華關西憶舊香奩之作ㆍ99
계유년 초여름에 안산의 객관에서 쓰다 癸酉初夏安山客館書ㆍ101
밤에 앉아 장난삼아 써서 희순에게 드리다 夜坐戲書呈奉希醇ㆍ102
희순의 시에 차운하다 次希醇韻ㆍ104
희순이 종이로 만든 삼색 복숭아꽃 화분 하나를 보내고 아울러 절구 한 수를 보내왔기에, 화운하여 올리다 希醇以紙造三色桃花一盆送寄兼有詩一絶遂和奉ㆍ106
희순의 시에 화운하다 和希醇韻ㆍ107
수나라 양제 隋煬帝ㆍ108
〈사령을 지나며〉에 차운하다 次過沙嶺ㆍ109
〈평양교를 지나며〉에 차운하다 次過平洋橋ㆍ110
〈소릉하에서 장 조사를 만나다〉에 차운하다 次小凌河逢張詔使韻ㆍ111
〈조장역으로 가며〉에 차운하다 次赴曹莊驛ㆍ112
한밤 夜分ㆍ113
함양으로 부임하는 조호연을 전송하며 送曺浩然赴咸陽ㆍ114
대자사에서 우연히 읊다 大慈寺偶吟ㆍ116
독자계축에 제하다 題獨子契軸ㆍ117
양주 덕해원의 벽 위에 제하다 題楊州德海院壁上ㆍ118
이소가 퇴직하고서 잔치를 베푼 그림에 쓰다 書二疏退休設筵圖ㆍ119

이요정집 제2권
시詩
〈능하역으로 가며〉 12운에 차운하다 次赴凌河驛十二韻ㆍ123
잡시 3수 雜詩 三首ㆍ125
평안 절도사 이희강에게 부치다 5수 寄平安李節度使希剛 五首ㆍ127
진사 홍등의 집에 있는 그림 병풍 여덟 폭에 제하다 題洪進士縢家畫屛八幅ㆍ131
역산에서 밭을 갈다 耕歷山ㆍ131
뒤 수레에 싣다 後車載ㆍ132
말고삐를 붙잡고 간언하다 扣馬諫ㆍ133
거문고를 연주하다 彈琴ㆍ133
양을 기르다 牧羊ㆍ135
칠현의 모임 七賢會ㆍ135
거위를 완상하다 賞鵝ㆍ136
서호에 노닐다 遊西湖ㆍ137
경사에 가는 김계운을 전송하다 2수 送金季雲赴京 二首ㆍ138
호남 관찰사로 부임하는 김국경을 전송하다 送金國卿觀察湖南ㆍ140
총마계축에 쓰다 書驄馬契軸ㆍ146
당제인 해주 목사 신영홍에게 부치다 寄堂弟海州申牧使永洪ㆍ148
장주가 나비가 된 꿈을 꾸는 그림 莊周夢蝶圖ㆍ150
기대어 졸고 있는 그림 倚睡圖ㆍ151
여원 송질 의 그림 병풍 시에 차운하다 절구 4수 次礪原 宋軼 畫屛韻 四絶ㆍ153
소요당에 제하다 題逍遙堂ㆍ156
취중에 객에게 주다 醉中贈客ㆍ157
강진원 귀손 의 부인에 대한 만사 姜晉原 龜孫 夫人挽詞ㆍ158
참의 이원지에 대한 만사 李參議元之挽詞ㆍ159
박 이상 열 에 대한 만사 朴二相 說 挽詞ㆍ162
박 정 담손 에 대한 만사 朴正 聃孫 挽詞ㆍ164
벽한서 辟寒犀ㆍ166
착빙행 鑿氷行ㆍ168
희강을 전송하며 送希剛ㆍ170
영남으로 귀성하러 가는 이 참판 우 을 전별하며 취중에 쓰다 別李參判 堣 歸覲嶺南醉書ㆍ172
희순의 집에서 취한 다음 날 파초 잎을 받고서 작별의 소회를 아울러 써서 올리다 希醇第醉後翌日得蕉葉之惠兼敍別懷以奉ㆍ174

이요정집 제3권
시詩
요춘루 40운 繞春樓 四十韻ㆍ177
관홍루 40운 貫虹樓 四十韻ㆍ183
장경왕후에 대한 만사 章敬王后挽詞ㆍ190
향산구로도 香山九老圖ㆍ194
낙양기영회도 洛陽耆英會圖ㆍ196
창산부원군 성희안 에 대한 만사 昌山府院君 成希顏 挽詞ㆍ198
질정관으로 떠나는 안 정자 처선 를 전송하며 送安正字 處善 質正官ㆍ200
청심루 시에 차운하다 次淸心樓韻ㆍ201
총마계축에 제하다 題驄馬契軸ㆍ202
〈요양으로 가며〉에 차운하다 次赴遼陽ㆍ204
연창부원군 김감 에 대한 만사 2수 延昌府院君 金勘 挽詞 二首ㆍ206
성 정승 준 에 대한 만사 2수 成政丞 俊 挽詞 二首ㆍ208
고원위 신항 에 대한 만사 2수 高原尉 申沆 挽詞 二首ㆍ210
영춘군에 대한 만사 永春君挽詞ㆍ212
영돈녕부사 윤여필 의 어머니에 대한 만사 領敦寧 尹汝弼 母氏挽詞ㆍ213
영가부원군 김수동 에 대한 만사 2수 永嘉府院君 金壽童 挽詞 二首ㆍ214
유 감역 공좌 에 대한 만사 柳監役 公佐 挽詞ㆍ216
구 경력 장손 의 처에 대한 만사 具經歷 長孫 妻氏挽詞ㆍ217
유 정승 순정 에 대한 만사 3수 柳政丞 順汀 挽詞 三首ㆍ218
교성군 노공필 의 부인에 대한 만사 交城君 盧公弼 夫人挽詞ㆍ220
최 주부 인수 의 어머니에 대한 만사 崔主簿 仁壽 母氏挽詞ㆍ221
김 정 관 에 대한 만사 金正 寬 挽詞ㆍ222

이요정집 제4권
시詩
관압사 안가진 침 을 전송하며 送管押使安可珍 琛ㆍ225
소해조가 사 좨주에게 화운한 시에 차운하다 율시 4수 次蕭海釣和謝祭酒韻 四律ㆍ226
소해조가 증 직방에게 화운한 시에 차운하다 次蕭海釣和曾職方韻ㆍ229
소해조의 〈의무려산〉에 화운하다 율시 4수 和蕭海釣醫巫閭山 四律ㆍ231
예 시강의 〈의무려산을 바라보며〉에 차운하다 次倪侍講望醫巫閭山韻ㆍ234
〈십삼산을 바라보며〉에 차운하다 次望十三山韻ㆍ235
〈능하에서 묵다〉에 차운하다 次寓凌河韻ㆍ236
〈영원의 온천에서 목욕하며〉에 차운하다 次浴寧遠湯泉韻ㆍ237
〈새벽에 요동을 출발하며〉 연구에 차운하다 次曉發遼陽聯句ㆍ238
효사정 4수 孝思亭 四首ㆍ240
제주목으로 부임하는 이자후를 전송하며 送李子厚赴任濟州牧ㆍ244
서천 동헌에 걸린 시에 차운하다 次舒川東軒韻ㆍ247
태안 동헌에 걸린 시에 차운하다 次泰安東軒韻ㆍ249
서산 누대의 제영시에 차운하다 次瑞山樓題韻ㆍ250
홍주 누대의 제영시에 차운하다 次洪州樓題韻ㆍ252
공주 누대의 제영시에 차운하다 次公州樓題韻ㆍ255
연경에 가는 좌상을 전송하며 지은 영상의 시에 차운하여 부사 이 우윤의 행차에 써서 올리다 次領相送左相赴京韻書奉副使李右尹行軒ㆍ256
수양오로도 睢陽五老圖ㆍ257
연경에 가는 부제학 조이지를 전별하며 別副提學趙理之赴燕京ㆍ258
여희 驪姬ㆍ260
경가구의 호호정 慶可久浩浩亭ㆍ262
정조사 이군 장곤을 전송하며 送正朝使李君長坤ㆍ263
청심루 시에 차운하다 次淸心樓韻ㆍ265
삼귀정 三龜亭ㆍ266
황해 감사 경군 세창을 전송하며 送黃海監司慶君世昌ㆍ267
경승의 시에 차운하다 次景升韻ㆍ268
매월정 시에 차운하다 次梅月亭韻ㆍ269
쾌심정 시에 차운하다 次快心亭韻ㆍ270

이요정집 제5권
시詩
〈저물녘 금강에서 배를 띄우며〉에 차운하다 次錦江暮泛韻ㆍ273
금강 누선의 시에 차운하다 次錦江樓船韻ㆍ274
연경에 조회 가는 민국서 상안 를 전송하며 送閔國瑞 祥安 朝燕京ㆍ275
추쇄도감계축에 제하다 題推刷都監契軸ㆍ277
총마계축에 제하다 題驄馬契軸ㆍ278
형조랑계축에 제하다 題刑曹郞契軸ㆍ280
총마계축에 제하다 題驄馬契軸ㆍ281
정조사 김군 당을 전송하며 送正朝使金君璫ㆍ282
추부랑계축에 제하다 題秋部郞契軸ㆍ283
예부랑계축에 제하다 題禮部郞契軸ㆍ284
추부랑계음도에 제하다 題秋部郞契飮圖ㆍ285
장 수재를 전송하며 送張秀才ㆍ286
조 수재에게 주다 贈趙秀才ㆍ287
이 대간 예견 에 대한 만사 李大諫 禮堅 挽詞ㆍ288
이 참의 전 에 대한 만사 李參議 㙉 挽詞ㆍ289
통천 군수 장중지 에 대한 만사 通川郡守 張重智 挽詞ㆍ290
윤 목사 희인 의 어머니에 대한 만사 尹牧使 希仁 母氏挽詞ㆍ291
이 판서 계남 에 대한 만사 李判書 季男 挽詞ㆍ292
이 부사 우 에 대한 만사 李府使 堣 挽詞ㆍ293
허 정승 침 의 부인에 대한 만사 許政丞 琛 夫人挽詞ㆍ294
이 동지 창신 에 대한 만사 李同知 昌臣 挽詞ㆍ295
평성부원군 박원종 에 대한 만사 平城府院君 朴元宗 挽詞ㆍ297
영덕 현령 조동호 에 대한 만사 盈德縣令 趙銅虎 挽詞ㆍ299
성 지사 세명 에 대한 만사 成知事 世明 挽詞ㆍ300
김 지사 우신 에 대한 만사 金知事 友臣 挽詞ㆍ301
신 응교 상 의 부모에 대한 만사 申應敎 鏛 父母挽詞ㆍ302
노 동지 공유 에 대한 만사 盧同知 公裕 挽詞ㆍ303
김 목사 세필 의 어머니에 대한 만사 金牧使 世弼 母氏挽詞ㆍ304
홍 이상 경주 의 어머니에 대한 만사 洪二相 景舟 母氏挽詞ㆍ305
인천군 채수 에 대한 만사 仁川君 蔡壽 挽詞ㆍ306
문성부원군 유순 에 대한 만사 文城府院君 柳洵 挽詞ㆍ307
이 판부사 손 의 부인에 대한 만사 李判府事 蓀 夫人挽詞ㆍ308
안 부사 팽수 의 어머니에 대한 만사 安府使 彭壽 母氏挽詞ㆍ309
평성부원군 박원종 의 부인에 대한 만사 平城府院君 朴元宗 夫人挽詞ㆍ310
안 판서 침 에 대한 만사 安判書 琛 挽詞ㆍ311
하산군 성몽정 에 대한 만사 夏山君 成夢井 挽詞ㆍ312
홍직경에 대한 만사 洪直卿挽詞ㆍ314
김계운의 유골을 이장할 때의 만사 移葬金季雲遺骨挽詞ㆍ315

이요정집 제6권
독서당록讀書堂錄
비바람을 만나 읊다. 사호의 시에 차운하다 風雨吟次士浩韻ㆍ319
오석강에서 저물녘에 바라보다 烏石岡晩眺ㆍ321
계운의 시에 차운하다 次季雲韻ㆍ322
사성의 시에 차운하다 次師聖韻ㆍ322
용산강에서의 여러 흥취 龍江雜興ㆍ323
사호의 시에 차운하다 次士浩韻ㆍ323
사성의 시에 차운하다 次師聖韻ㆍ324
비 雨ㆍ325
7월 15일 밤에 배를 타고 성조암에서 노닐며. 절구 4수 계운의 시에 차운하다 七月十五夜舟遊聖祖巖 四絶 次季雲韻ㆍ326
오석강에 올라 登烏石岡ㆍ327
즉사 卽事ㆍ328
노두의 시에 차운하다 次老杜韻ㆍ329
두보의 시에 화운한 사호의 시에 차운하다 次士浩和杜工部韻ㆍ330
감흥을 풀다. 계운의 시에 차운하다 遣興次季雲韻ㆍ331
충청 도사로 떠나는 양길원을 전송하며 送忠淸梁吉元都事ㆍ333
배를 타고 양화나루로 내려갔다가 저녁에 돌아오며. 계운의 시에 차운하다 舟下楊花渡夕歸次季雲韻ㆍ335
용산강에 배를 띄우고서 여러 흥이 일어 龍江泛舟雜興ㆍ336
배를 타고 잠령 아래를 지나가다 깎아지른 절벽에 깃든 새를 올려다보며 舟過蠶嶺下仰看峭壁棲鳥ㆍ339
사호의 시에 차운하다 次士浩韻ㆍ340
물새 水鳥ㆍ342
백조를 읊다. 계운의 시에 차운하다 詠白鳥次季雲韻ㆍ343
중양절에 重陽ㆍ344
사호의 시에 차운하다 次士浩韻ㆍ345
회포를 담아 김공과 강공에게 올리다 2수 示懷奉金姜二案下 二首ㆍ346

이요정집 제7권
부賦
분서갱유부 焚書坑儒賦ㆍ349
아사대성부 餓死臺城賦ㆍ361

잠箴
과욕잠 寡慾箴ㆍ370

찬贊
태감 이진 아버지의 진영에 부치는 찬 병서 太監李珍父眞贊 幷敍ㆍ373
나의 진영에 부치는 찬 自眞贊ㆍ375

기記
사간원제명기 司諫院題名記ㆍ376
빈전도감제명기 殯殿都監題名記ㆍ379

서序
연경에 가는 영돈녕부사 노공필을 전송하는 서 送領敦寧盧 公弼 赴京序ㆍ381
연경에 가는 좌의정 박원종을 전송하는 서 送左議政朴 元宗 赴京序ㆍ386
임지로 가는 경원 부사 조원기를 전송하는 시의 서 送慶源府使趙 元紀 之任詩序ㆍ390
장수를 축하하는 시첩의 서 慶壽詩序ㆍ395
《후속록》 서 後續錄序ㆍ400

《소재선생문집》 뒤에 쓰다 穌齋先生集後敍|조경(趙絅)ㆍ513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