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향약의 형성 과정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광주향약의 형성 과정

땅끝
2023-11-12 08:33 233 0

본문

광주향약의 형성 과정
9788981656461.jpg


도서명 : 광주향약의 형성 과정
저자/출판사 : 이문효,저자,글,, 국민출판
쪽수 : 384쪽
출판일 : 2022-12-28
ISBN : 9788981656461
정가 : 20000

축간사 _4
서문 _12

Ⅰ. 읍호(邑號) 강등 _15

Ⅱ. 희경루(喜慶樓) _35
1. 신숙주의 〈희경루기〉 _40
2. 광주목 복호(複號) _44
3. 안철수 목사의 요청 _46
4. 이선제 선생의 〈희경루 원운(原韻)〉 _48
5. 희경루와 그 제영(題詠) _50
6. 희경루의 위치 추정 _57

Ⅲ. 광주향약(光州鄕約) _85
1. 광주향약의 동기 _87
2. 수암서원지(秀巖書院誌, 秀巖誌) _91
3. 광주향약의 시작 _92
4. 광주향약의 내용 _98
5. 기록상 조선조 최초의 향약 _101
6. 광주향약의 향적 _110
7. 광주향좌목의 역사 _119
8. 광주향약은 향규나 향규약이 아니다 _124
9. 과실상규 조목과 광주향약의 초점 _142
10. 향약의 집회 장소 -향사당(鄕社堂)과 향사당(鄕射堂) _145
11. 유향소의 치폐(置廢) _154
12. 불혐염치(不嫌廉恥) _163
13. 동건휘 교수의 〈향약은 향규민약과 다르다〉 _164
14. 광주향약의 영향 _170

Ⅳ. 퇴계향약(退溪鄕約) _195
1. 광주향약과의 비교 _197
2. 광주향약과의 연결고리 _202
3. 퇴계향약의 실패 원인 _209
4. 퇴계향약이 향규인가? _213

Ⅴ. 부용정향약(芙容亭鄕約) _219
1. 《광주목지(光州牧志)》 _221
2. 《광주목지(光州牧志)》(규 10800) _232
3. 세종조(世宗朝)를 태종조(太宗朝)로 _244
4. 김문발 선생의 족보·읍지·지리지 _246
5. 김문발 선생의 고향 _254
6. 김문발 선생의 향약 공식 명칭 _256
7. 한종수 연구원의 「부용 김문발의 생애와 광주향약」 _259
8. 유문(遺文)과 후손들 _262
9. 후손 봉현(鳳鉉)의 〈제영(題詠)〉 _265
10. 이종일 원장의 「조선시대 광주향약의 성립과정 연구」 _270
11. 후손 김일중 교수의 「부용정이 양과동 향약에 미친 영향」 _274
12. 《광산지(光山誌)》 _280
13. 부용정 건립 연도 _288
14. 박익환 교수의 「15세기 광주향약의 향규약적 성격」 _291
Ⅵ. 양과동약(良苽洞約) _327
1. 향약이 아니라 동약(洞約)이다 _329
2. 양과동계(良苽洞契)의 규약은 입약범례(立約凡例)다 _330
3. 광주향약과의 관계 _344
4. 양과동(良苽洞) _349

참고문헌 _362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