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정신분석의 임상기법
땅끝
2023-11-12 08:33
250
0
본문
현대정신분석의 임상기법
도서명 : 현대정신분석의 임상기법
저자/출판사 : 김병훈,저자,글,, 하나의학사
쪽수 : 454쪽
출판일 : 2022-12-21
ISBN : 9791191658217
정가 : 29500
감사의 글
이 책에 관하여
서론
제1부 자기-자기대상 관계에 대한 재고찰
1장 | 자기-자기대상 관계의 의미
“자기-자기대상 관계의 질의 변화”란 무엇을 말하는가?
“자기대상의 포기가 치료적 조건이 아니다”라는 코헛의 주장은 무엇인가?
“일반적 의미의 자기대상”과 “특수한 의미의 자기대상”은 어떻게 다른가?
“성숙하게 선택된 자기대상”은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가?
코헛은 “욕동”이라는 용어가 왜 유해하다고 말하는가?
“실언과 히스테리 전환증후 그리고 꿈이 전이현상”이란 무엇인가?
“자기-자기대상 관계”라는 용어를 코헛은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대체”가 아니라 “변화”라는 코헛의 이론적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가?
“너”에 대한 “나의 경험”이란 무슨 뜻인가?
2장 | 정신병리의 분석적 이해
“대상사랑은 자기를 강화시킨다”라는 이론적 근거는 무엇인가?
“강한 자기가 있을 때 사랑과 욕망을 보다 강렬하게 경험할 수 있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자기애적 격노”와 “장애물 제거를 위한 공격성”은 어떻게 다른가?
“대상사랑과 대상증오 영역에서의 병인적 갈등”이 “정신병리의 일차적 원인이 아니라 그 결과”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모든 병리의 원인이 자기구조의 결함, 자기의 왜곡, 또는 자기의 약함에 기초해 있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정서적 삶의 왜곡”은 어떤 증상들을 드러내는가?
3장 | 프로이트 기법의 핵심 요소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이 배척받은 이유에 대해 코헛은 무엇을 말하는가?
프로이트가 어떤 취약성을 가졌다고 코헛은 설명하는가?
프로이트가 말하는 “자아의 근본적인 기능”을 코헛은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프로이트의 “이분화” 이론에 대한 코헛의 분석은 무엇인가?
“말하기 치료”의 본질과 기능에 관한 코헛의 설명은 무엇인가?
“언어화할 수 있는 지식의 획득”이 왜 중요하다고 보는가?
무의식 이론에 대한 프로이트와 코헛의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인가?
“유아기 전능성의 발견으로 인한 상처”의 의미는 무엇인가?
프로이트와 코헛의 시대는 어떻게 다른가?
4장 | 하인즈 코헛의 시대적 특수성 점검
코헛이 카프카, 프루스트, 조이스와 같은 문학가를 언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프로이트 시대 중앙 유럽 중산층의 아이들이 겪은 사회 · 문화적 경험들은 어떤 것들인가?
“관찰자와 관찰 대상의 관계 속에 존재하는 시대적 특수성”이란 무슨 뜻인가?
자기심리 정신분석이 당시대에 야기하는 적개심의 원인을 하인즈 코헛은 어떻게 분석하는가?
코헛은 주변 분석가들의 그에 대한 평가 절하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프로이트 시대의 신경정신의학계와 코헛 시대의 고전정신분석학계는 서로 어떤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가?
“일차적 주제에서 벗어난 이차적 주제”란 무엇을 지칭하는가?
제2부 분석치료의 효과
: 자기심리학이 발견한 것들에 기초한 예비적 진술
5장 | 치료과정의 본질
코헛이 말하는 “치료과정의 본질”은 프로이트의 이론과 어떻게 다른가?
“자아심리 정신분석의 한계”에 대한 코헛의 지적은 무엇인가?
자기심리학은 “치료과정”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원초적인 자기-자기대상 관계 양태에 갇혀 있는 환자들”의 임상적인 예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 자기대상의 실패” 즉 “분석가의 실패”는 어떤 것들을 지칭하고 있는가?
6장 | 원초적 관계 경험의 기능
“분석의 일차적 자기대상 전이에서 이미 잠정적으로 포기했던 원초적 자기-자기대상 관계로 일시적으로 후퇴”하는 증상들은 어떤 것들인가?
“환자의 후퇴”에 대한 “분석가의 실수”의 의미와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
“환자가 가진 욕구의 본질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분석가가 명확히 해석해 주는 것이 왜 중요한가?
관찰 이론은 “주인이 아니라 조력자”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7장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극복
“전이에서 재활성화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건너뛰어 그 콤플렉스를 초래한 오이디푸스기 자기대상의 실패를 너무 성급하게 강조한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정상적인 오이디푸스기 경험”은 어떻게 다른가?
“전이의 과도기적 시기 동안에” 분석가는 오이디푸스 단계에 있는 환자에게 어떻게 반응해 주어야 하는가?
“전이의 지금 여기에 대한 역동적 해석과 어린 시절 경험에 대한 발생학적 재구성”이란 무엇인가?
“오이디푸스 신경증에서 자기대상이 갖는 병인적 역할에 대한 이해”는 분석 과정에서 왜 중요한가?
8장 | 분석가의 실수
분석가는 “실수를 피할 수 없다”라는 것은 무슨 뜻인가?
“최적의 실패가 발생할 때마다” “최적의 새로운 재구조가 획득되고 기존의 자기구조는 확고해진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코헛이 말하는 “정신병리의 본질”은 무엇인가?
코헛은 “건강한 자기”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건강한 자기를 형성케 하는 건강한 자기-자기대상 과정”은 어떤 것인가?
“변형적 내재화”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성인기 자기대상의 공감적 반응”은 어떤 것인가?
9장 | 분석 가능성의 평가
“정신분석치료가 가능하려면” 무엇이 일어나야 하는가?
“정신증 환자”의 정신분석치료는 가능한가?
“환자가 어린 시절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는 오이디푸스 자기대상의 추구를 완전히 포기한 적이 없다는 사실”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분석 중에 활성화되는 변형적 내재화 과정”과 “정상적인 환경에서 발생하는 아이의 성숙 과정”은 유사하지만 다르다는 코헛의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성공한 거짓말”을 “최적의 실패 혹은 좌절”의 사례로 설명한 이유는 무엇인가?
10장 | 직면과 해석의 기술
분석가의 “직면적 태도”는 “해석적 태도”와 어떻게 다른가?
분석가는 환자들의 자기애적 “행동화”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환자의 “거짓말”은 분석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환자가 분석가를 “범죄에 끌어들인 것”이나 “어린 시절의 특정한 욕동소망을 행동화”하는 임상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코헛은 분석 사례비 지불 연기를 요청한 환자에 대해 어떤 해석을 하였는가?
“해석”이 왜 분석가의 최상의 무기인가?
11장 | 자기애 역동의 과정
“죄책감을 유발하는 활기 없는 엄마”의 임상사례는 어떤 것이 있는가?
“자기도취에 빠져 관심의 대상이 되기만을 바랐던” 아버지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직면은 “이해와 해석에 도달하는 수단”이므로 “무력행사”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자기애적 행동장애” 환자에 대한 코헛의 직면과 해석의 예는 어떤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는가?
“자기애적 행동장애”와 “자기애적 격노”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분석가가 “직면보다 해석”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2장 | 무의식의 의식화 작업
“의식의 확장”, “자아영역의 확장”의 임상적 증거들은 무엇인가?
“이미지와 환상이 지배하는 일차과정의 상태로부터 언어적 사고와 언어화가 지배하는 이차과정 상태로” 옮겨가는 방법은 무엇인가?
자기애적 성격장애나 행동장애의 치료적 성공 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코헛이 말하는 “환각적 창조물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어떤 의미인가?
“언어표현 능력의 증대, 확장된 통찰력, 보다 자율적인 자아기능, 충동 통제 능력”이 치료의 본질이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13장 | 하인즈 코헛의 임상테크닉
자기심리학의 “정신분석치료의 본질”은 무엇인가?
“자기대상을 자기구조로 대체”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최적의 좌절”과 “공감의 메아리”라는 두 개의 수레바퀴는 각각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교정적 정서체험” 개념은 왜 정신분석학계에서 논란이 되었는가?
“교정적 정서체험” 논쟁에 대한 코헛의 입장은 무엇인가?
“적절한 이해” 또는 “최적의 제한된 오해”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도서명 : 현대정신분석의 임상기법
저자/출판사 : 김병훈,저자,글,, 하나의학사
쪽수 : 454쪽
출판일 : 2022-12-21
ISBN : 9791191658217
정가 : 29500
감사의 글
이 책에 관하여
서론
제1부 자기-자기대상 관계에 대한 재고찰
1장 | 자기-자기대상 관계의 의미
“자기-자기대상 관계의 질의 변화”란 무엇을 말하는가?
“자기대상의 포기가 치료적 조건이 아니다”라는 코헛의 주장은 무엇인가?
“일반적 의미의 자기대상”과 “특수한 의미의 자기대상”은 어떻게 다른가?
“성숙하게 선택된 자기대상”은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가?
코헛은 “욕동”이라는 용어가 왜 유해하다고 말하는가?
“실언과 히스테리 전환증후 그리고 꿈이 전이현상”이란 무엇인가?
“자기-자기대상 관계”라는 용어를 코헛은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대체”가 아니라 “변화”라는 코헛의 이론적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가?
“너”에 대한 “나의 경험”이란 무슨 뜻인가?
2장 | 정신병리의 분석적 이해
“대상사랑은 자기를 강화시킨다”라는 이론적 근거는 무엇인가?
“강한 자기가 있을 때 사랑과 욕망을 보다 강렬하게 경험할 수 있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자기애적 격노”와 “장애물 제거를 위한 공격성”은 어떻게 다른가?
“대상사랑과 대상증오 영역에서의 병인적 갈등”이 “정신병리의 일차적 원인이 아니라 그 결과”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모든 병리의 원인이 자기구조의 결함, 자기의 왜곡, 또는 자기의 약함에 기초해 있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정서적 삶의 왜곡”은 어떤 증상들을 드러내는가?
3장 | 프로이트 기법의 핵심 요소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이 배척받은 이유에 대해 코헛은 무엇을 말하는가?
프로이트가 어떤 취약성을 가졌다고 코헛은 설명하는가?
프로이트가 말하는 “자아의 근본적인 기능”을 코헛은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프로이트의 “이분화” 이론에 대한 코헛의 분석은 무엇인가?
“말하기 치료”의 본질과 기능에 관한 코헛의 설명은 무엇인가?
“언어화할 수 있는 지식의 획득”이 왜 중요하다고 보는가?
무의식 이론에 대한 프로이트와 코헛의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인가?
“유아기 전능성의 발견으로 인한 상처”의 의미는 무엇인가?
프로이트와 코헛의 시대는 어떻게 다른가?
4장 | 하인즈 코헛의 시대적 특수성 점검
코헛이 카프카, 프루스트, 조이스와 같은 문학가를 언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프로이트 시대 중앙 유럽 중산층의 아이들이 겪은 사회 · 문화적 경험들은 어떤 것들인가?
“관찰자와 관찰 대상의 관계 속에 존재하는 시대적 특수성”이란 무슨 뜻인가?
자기심리 정신분석이 당시대에 야기하는 적개심의 원인을 하인즈 코헛은 어떻게 분석하는가?
코헛은 주변 분석가들의 그에 대한 평가 절하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프로이트 시대의 신경정신의학계와 코헛 시대의 고전정신분석학계는 서로 어떤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가?
“일차적 주제에서 벗어난 이차적 주제”란 무엇을 지칭하는가?
제2부 분석치료의 효과
: 자기심리학이 발견한 것들에 기초한 예비적 진술
5장 | 치료과정의 본질
코헛이 말하는 “치료과정의 본질”은 프로이트의 이론과 어떻게 다른가?
“자아심리 정신분석의 한계”에 대한 코헛의 지적은 무엇인가?
자기심리학은 “치료과정”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원초적인 자기-자기대상 관계 양태에 갇혀 있는 환자들”의 임상적인 예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 자기대상의 실패” 즉 “분석가의 실패”는 어떤 것들을 지칭하고 있는가?
6장 | 원초적 관계 경험의 기능
“분석의 일차적 자기대상 전이에서 이미 잠정적으로 포기했던 원초적 자기-자기대상 관계로 일시적으로 후퇴”하는 증상들은 어떤 것들인가?
“환자의 후퇴”에 대한 “분석가의 실수”의 의미와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
“환자가 가진 욕구의 본질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분석가가 명확히 해석해 주는 것이 왜 중요한가?
관찰 이론은 “주인이 아니라 조력자”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7장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극복
“전이에서 재활성화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건너뛰어 그 콤플렉스를 초래한 오이디푸스기 자기대상의 실패를 너무 성급하게 강조한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정상적인 오이디푸스기 경험”은 어떻게 다른가?
“전이의 과도기적 시기 동안에” 분석가는 오이디푸스 단계에 있는 환자에게 어떻게 반응해 주어야 하는가?
“전이의 지금 여기에 대한 역동적 해석과 어린 시절 경험에 대한 발생학적 재구성”이란 무엇인가?
“오이디푸스 신경증에서 자기대상이 갖는 병인적 역할에 대한 이해”는 분석 과정에서 왜 중요한가?
8장 | 분석가의 실수
분석가는 “실수를 피할 수 없다”라는 것은 무슨 뜻인가?
“최적의 실패가 발생할 때마다” “최적의 새로운 재구조가 획득되고 기존의 자기구조는 확고해진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코헛이 말하는 “정신병리의 본질”은 무엇인가?
코헛은 “건강한 자기”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건강한 자기를 형성케 하는 건강한 자기-자기대상 과정”은 어떤 것인가?
“변형적 내재화”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성인기 자기대상의 공감적 반응”은 어떤 것인가?
9장 | 분석 가능성의 평가
“정신분석치료가 가능하려면” 무엇이 일어나야 하는가?
“정신증 환자”의 정신분석치료는 가능한가?
“환자가 어린 시절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는 오이디푸스 자기대상의 추구를 완전히 포기한 적이 없다는 사실”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분석 중에 활성화되는 변형적 내재화 과정”과 “정상적인 환경에서 발생하는 아이의 성숙 과정”은 유사하지만 다르다는 코헛의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성공한 거짓말”을 “최적의 실패 혹은 좌절”의 사례로 설명한 이유는 무엇인가?
10장 | 직면과 해석의 기술
분석가의 “직면적 태도”는 “해석적 태도”와 어떻게 다른가?
분석가는 환자들의 자기애적 “행동화”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환자의 “거짓말”은 분석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환자가 분석가를 “범죄에 끌어들인 것”이나 “어린 시절의 특정한 욕동소망을 행동화”하는 임상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코헛은 분석 사례비 지불 연기를 요청한 환자에 대해 어떤 해석을 하였는가?
“해석”이 왜 분석가의 최상의 무기인가?
11장 | 자기애 역동의 과정
“죄책감을 유발하는 활기 없는 엄마”의 임상사례는 어떤 것이 있는가?
“자기도취에 빠져 관심의 대상이 되기만을 바랐던” 아버지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직면은 “이해와 해석에 도달하는 수단”이므로 “무력행사”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자기애적 행동장애” 환자에 대한 코헛의 직면과 해석의 예는 어떤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는가?
“자기애적 행동장애”와 “자기애적 격노”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분석가가 “직면보다 해석”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2장 | 무의식의 의식화 작업
“의식의 확장”, “자아영역의 확장”의 임상적 증거들은 무엇인가?
“이미지와 환상이 지배하는 일차과정의 상태로부터 언어적 사고와 언어화가 지배하는 이차과정 상태로” 옮겨가는 방법은 무엇인가?
자기애적 성격장애나 행동장애의 치료적 성공 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코헛이 말하는 “환각적 창조물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어떤 의미인가?
“언어표현 능력의 증대, 확장된 통찰력, 보다 자율적인 자아기능, 충동 통제 능력”이 치료의 본질이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13장 | 하인즈 코헛의 임상테크닉
자기심리학의 “정신분석치료의 본질”은 무엇인가?
“자기대상을 자기구조로 대체”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최적의 좌절”과 “공감의 메아리”라는 두 개의 수레바퀴는 각각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교정적 정서체험” 개념은 왜 정신분석학계에서 논란이 되었는가?
“교정적 정서체험” 논쟁에 대한 코헛의 입장은 무엇인가?
“적절한 이해” 또는 “최적의 제한된 오해”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