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젠더학의 가능성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포스트젠더학의 가능성

땅끝
2023-11-12 08:33 206 0

본문

포스트젠더학의 가능성
9791159057410.jpg


도서명 : 포스트젠더학의 가능성
저자/출판사 : 모토하시,리에,저자,글,이은주,번역, 소명출판
쪽수 : 268쪽
출판일 : 2022-12-20
ISBN : 9791159057410
정가 : 22000

서장 왜 지금, 모성연구인가? 9
1. 문제의식-아이를 낳고 기르는 일에 대한 자기책임화 9
2. 모성연구의 과제 14
3. 왜 어머니의 일은 가치가 낮은가? 16
4. 이 책의 목적과 방법 및 구성 20


제1부 케어 윤리와 모성연구의 접속을 위해

제1장 모성연구의 전략과 ‘케어 페미니즘’ 27
1. 모성 신화의 해체 28
2. 모성의 극복 30
3. 케어-여성의 경험과 사유의 가시화 35
4. 케어는 자기희생이 아니다 40
5. 공사이원론의 뿌리 깊은 남성 중심주의 42
6. 가족으로부터 소외되는 여성 47

제2장 전략으로서 모성주의 51
1. 어머니 경험에 주목하는 이유와 의미 53
탈젠더화 정치에 대한 대항 | 중성화된 어머니
2. 『모성적 사유母的思考』의 공헌과 그 비판 59
모친업은 사유방식의 일종이다 | ‘어머니’와 ‘여성’의 분단 |
모성적 사유의 잠재적인 힘
3. 어머니의 정치적 임파워먼트의 중요성 72
무력한 책임 | 정치적 투쟁으로부터의 배제

제2부 자기책임화된 모성의 억압과 그 정당화

제3장 어머니 규범의 탈젠더화와 자기 매니지먼트의 요구 85
1. 근대적 어머니 규범의 동요 85
2. 육아 관련 미디어 연구에서 보는 현대의 육아 규범 88
육아 지원정책에서 어머니상像의 변화 |
육아 잡지에서 아버지에 대한 기대와 한계 |
부독본에서 육아법의 어린이 중심화
3. 모자건강수첩의 개요와 데이터 설명 92
모자건강수첩의 개요 | 데이터 설명
4. 모자건강수첩의 내용 변화 96
부독본으로 보는 육아자 호칭의 중성화 | 육아 수준의 기대치 상승 |
전달 방법의 변화-‘읽게 하다’에서 ‘기입하게 하다’로
5. 현대의 어머니 규범 106
탈젠더화 | 테크놀로지로서의 모자건강수첩 |
육아자에게 요구된 자기 매니지먼트관리의 요구

제4장 모성 억압의 정당화-신자유주의적 섹슈얼리티 113
1. 섹슈얼리티와 모성 113
2. 터부시된 여성의 성과 여성해방운동에 의한 성의 정치화 116
3. 성 해방에서 성 관리로의 변화-신자유주의적 섹슈얼리티 123
『안안an·an』에서 보이는 ‘사랑モテ’ 기반의 성 추구 | 관리되는 성 |
사회구조의 후경화와 불평등한 자기책임화
4. 성의 실질적인 자유와 평등을 위해 133

제3부 어머니들의 저항-‘어머니 운동’에 착목하여

제5장 일본의 어머니 운동에 대한 시선 139
1. 어머니 사회운동의 포괄적 정리의 부족 139
2. 어머니 운동의 역사와 그 평가 143
1930년대~: 패전까지의 전시기 여성운동 |
1950년대~: ‘어머니 대회’로 상징되는 평화운동 |
1980년대~: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후 반원전운동 |
2011년 이후의 반원전·반전운동
3. 전략적 모성주의 시각에서 보는 어머니 운동 160

제6장 어머니의 사회운동에서 모성 전략의 변화
‘어머니 대회’와 마마회의 비교 165
1. ‘어머니 대회’와 마마회를 다루는 이유 165
2. ‘어머니 대회’의 모성 166
‘어머니 대회’의 고조 | ‘어머니 대회’에서 ‘어머니’의 역할 |
신문 보도로 보는 ‘어머니 대회’
3. ‘마마회’의 모성 175
‘마마회’의 네트워크 확대 | ‘마마회’에서 ‘마마’의 역할 |
신문보도로 보는 ‘마마회’
4. 모성에 담긴 전략 181

제7장 ‘어머니인 나’로 정치에 참여한다는 것
‘마마회’ 참석자의 인터뷰 185
1. 여성의 정치 참여의 곤란함 185
1990년대 여성의원의 붐과 주부의 딜레마 | 정치 당사자라는 것의 어려움
2. 인터뷰 조사의 개요 192
3. 왜 ‘마마회’에 참가하게 되었는가 194
새로운 운동으로서 ‘마마회’ | 다양한 계기
4. 모친업의 정치적 가치에 대한 확신 202
‘보통’을 둘러싼 투쟁 | 어머니야말로 정치적인 존재이다
5. 활동의 리스크와 곤란함 207
6. 어머니의 정치 참여를 위해 211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응답받는 것 | 어머니의 정치적 아이덴티티의 가능성 | 정치적 공간 형성의 어려움

종장 케어하는 자의 임파워먼트를 위해 219
1. 포스트페미니즘 속에서 219
2. 어머니들의 정치적 실천 가능성 224
3. 본서의 한계점과 금후의 과제 228

저자 후기 233
역자 후기 238
참고문헌 251
초출일람 263
찾아보기 264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