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
시니
2023-11-02 05:37
337
0
본문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
도서명 :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
저자/출판사 : 김민규,저자,글,, 신구문화사
쪽수 : 360쪽
출판일 : 2023-03-30
ISBN : 9788976682734
정가 : 30000
머리말 5
서 론
1.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의 목적 27
2.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연구사 검토 29
3.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의 범위와 방법 32
제1장 능묘 비석의 분류와 명칭 37
1. 능묘 비석의 분류 39
2. 능묘 비석의 세부 명칭 41
제2장 중국과 한국의 능묘 비석 69
1. 중국 능묘 비석의 출현 71
2. 수(隋)·당(唐)·송(宋)의 능묘 비석 77
3. 명(明)·청(淸)의 능묘 비석 82
4. 삼국과 통일신라의 능묘 비석 92
5. 고려의 불교 비석과 능묘 비석 99
제3장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건립 배경 107
1. 15세기 왕릉 신도비 건립과 추이 109
2. 16세기 사대부 묘비와 『주자가례』 113
3. 신도비를 건립하지 말라는 유언-‘물용비석(勿用碑石)’ 117
4. 대명의리론과 사대부 묘비의 숭정연호(崇禎年號) 사용 120
5. 효종대 이후 왕릉 표석의 건립 124
제4장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제작 과정 129
1. 비석용 석재의 산지(産地) 131
2. 비석용 석재의 구득(求得) 148
3. 비문의 찬술(撰述)과 서사(書寫) 153
4. 비문의 각자(刻字)와 각수(刻手) 175
5. 비석의 석장(石匠) 187
제5장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시기별 특징 195
1. 15세기-능묘 비석의 건립 보편화 199
2. 16세기-능묘 비석의 확산과 다양화 209
3. 17세기-능묘 비석의 지역 특성 발현 217
4. 18세기-이수귀부의 제작 감소와 개석방부의 제작 증가 226
5. 19세기-능묘 비석의 형식화 244
결 론 동아시아 비석 문화 속 조선 능묘 비석의 가치 247
1. 석장 집단과 석재상(石材商)의 등장 249
2. 18·19세기 집자비 제작의 증가 252
3. 조선시대 고유의 능묘 비석 양식 창안 256
4.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문화사적 의의 261
부 록 조선시대 능묘 비석 일람 267
1. 이수(螭首) 269
2. 운수(雲首) 281
3. 하엽수(荷葉首) 286
4. 개석(蓋石) 288
5. 용뉴형개석(龍鈕形蓋石)과 반룡형개석(盤龍形蓋石) 297
6. 방부(方趺) 299
7. 귀부(龜趺) 306
주 313
참고문헌 343
찾아보기 355
도서명 :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
저자/출판사 : 김민규,저자,글,, 신구문화사
쪽수 : 360쪽
출판일 : 2023-03-30
ISBN : 9788976682734
정가 : 30000
머리말 5
서 론
1.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의 목적 27
2.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연구사 검토 29
3.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의 범위와 방법 32
제1장 능묘 비석의 분류와 명칭 37
1. 능묘 비석의 분류 39
2. 능묘 비석의 세부 명칭 41
제2장 중국과 한국의 능묘 비석 69
1. 중국 능묘 비석의 출현 71
2. 수(隋)·당(唐)·송(宋)의 능묘 비석 77
3. 명(明)·청(淸)의 능묘 비석 82
4. 삼국과 통일신라의 능묘 비석 92
5. 고려의 불교 비석과 능묘 비석 99
제3장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건립 배경 107
1. 15세기 왕릉 신도비 건립과 추이 109
2. 16세기 사대부 묘비와 『주자가례』 113
3. 신도비를 건립하지 말라는 유언-‘물용비석(勿用碑石)’ 117
4. 대명의리론과 사대부 묘비의 숭정연호(崇禎年號) 사용 120
5. 효종대 이후 왕릉 표석의 건립 124
제4장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제작 과정 129
1. 비석용 석재의 산지(産地) 131
2. 비석용 석재의 구득(求得) 148
3. 비문의 찬술(撰述)과 서사(書寫) 153
4. 비문의 각자(刻字)와 각수(刻手) 175
5. 비석의 석장(石匠) 187
제5장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시기별 특징 195
1. 15세기-능묘 비석의 건립 보편화 199
2. 16세기-능묘 비석의 확산과 다양화 209
3. 17세기-능묘 비석의 지역 특성 발현 217
4. 18세기-이수귀부의 제작 감소와 개석방부의 제작 증가 226
5. 19세기-능묘 비석의 형식화 244
결 론 동아시아 비석 문화 속 조선 능묘 비석의 가치 247
1. 석장 집단과 석재상(石材商)의 등장 249
2. 18·19세기 집자비 제작의 증가 252
3. 조선시대 고유의 능묘 비석 양식 창안 256
4.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문화사적 의의 261
부 록 조선시대 능묘 비석 일람 267
1. 이수(螭首) 269
2. 운수(雲首) 281
3. 하엽수(荷葉首) 286
4. 개석(蓋石) 288
5. 용뉴형개석(龍鈕形蓋石)과 반룡형개석(盤龍形蓋石) 297
6. 방부(方趺) 299
7. 귀부(龜趺) 306
주 313
참고문헌 343
찾아보기 35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