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서다 그리고 걷다 또는 똥에도 도가 있다고
땅끝
2025-01-20 00:19
128
0
본문
돌아서다 그리고 걷다

도서명 : 돌아서다 그리고 걷다
저자/출판사 : 조순애, 나침반
쪽수 : 448쪽
출판일 : 2020-07-01
ISBN : 9788931815962
정가 : 23000
머리말
출간을 기뻐하며
들어가는 글
핵심 용어 및 개념 정리
제1부 돌아서다, 그리고 걷다
제01장 양심의 호소
제02장 선생질
제03장 거짓 믿음
제04장 갈등
제05장 죄의 인정
제06장 회개
제07장 교회
제2부 「기독교 인성교육」의 본질
제01장 죄의 인정과 참된 회개가 핵심이다
1. 나는 누구인가?
2. 무엇이 ‘죄’인가?
3. 왜 ‘죄인’의 자리에 머물러야 하는가?
4. 물과 성령으로 거듭나는 ‘참된 회개’가 왜 중요한가?
제02장 하나님의 형상 회복이 최종 목표이다
1. 완전히 상실되지 않은 ‘하나님의 형상’의 흔적
2.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방법
제03장 교회가 이 교육의 주체이자 장이다
1. 교육의 주체 : 예수 그리스도가 머리 되신 ‘교회’
2. 교육의 장 : 예수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
3. 교회의 회복 : 세상의 빛과 소금 ‘그리스도인의 삶’
제3부 「기독교 인성교육」의 실제
제01장 「기독교 인성교육」을 추구하는 목회
1. 하나님은 목회자에게 교회의 심각성을 보게 하신다
2. 하나님은 말씀으로 교회를 인도하신다
3. 하나님은 교회 믿음의 실체를 드러내신다
제02장「죄와 참된 회개」 : 피조성이 인격성에 우선하는 교육
1. ‘죄’를 정확히 알고 보도록 하라
2. ‘죄인의 자리’를 떠나지 않도록 하라
3. ‘참된 회개’에 이르도록 하라
제 03 장 「하나님의 형상 회복」 : 전인격적 변화를 동반하는 교육 … 회심, 중생, 성화
1. 남아 있는 ‘하나님의 형상’을 알게 하라.
2. 회복된 인격성을 통해 나를 알게 하라
3. ‘일상생활’에서 피조물로 살도록 하라
4. ‘내 안의 죄‘와 피 흘리기까지 싸우도록 하라.
5. ‘그리스도의 십자가’ 앞에 살도록 하라
6. ‘마음’으로 믿고 ‘성령님’을 따라 살도록 하라
제04장 「교회의 본질」 : 가르쳐 지키게 하는 교육
1. ‘교회’로만 가능한 주님의 지상명령… “가르쳐 지키게하라”
2. ‘교회’와 ‘몸’으로 살 때만 가능하다.
3. ‘성령님’을 ‘온전히’ 따라 살 때만 가능하다.
제4부 「기독교 인성교육」의 근거
제01장 Ⅱ. 문헌연구
1. 단행본 : 기독교 인성교육
2. 단행본 : 기독교 인성교육에 대한 목회적 접근
3. 국내 학술지 논문
제02장 Ⅲ. 성경적 신학적 토대
1. 성경적 ‘인성’
(1) 본래적 인성 : 하나님의 형상을 부여받은 인간
(2) 왜곡된 인성 : 파괴된 하나님의 형상
(3) 회복된 인성 :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회복된 하나님의 형상
2. 성경적 인성교육
(1) 피조성이 인격성에 우선하는 교육
(2) 전인격적 변화를 동반하는 교육: 회심, 중생, 성화
(3) 가르쳐 지키게 하는 교육
3. 참된 회개를 통한 하나님의 형상 회복을 추구하는 기독교 인성교육
4. 기독교 인성교육의 주체이자 장(場)으로서의 교회 : 교회의 본질
참고도서 목록
똥에도 도가 있다고

도서명 : 똥에도 도가 있다고
저자/출판사 : 김시천, 나무를심는사람들
쪽수 : 216쪽
출판일 : 2020-06-30
ISBN : 9791190275194
정가 : 13000
프롤로그
잃어버린 길을 찾을 수 있을까?
1장 싸우지 않고 살 수는 없을까?
유가
1 배우지 않고도 살 수 있을까?
2 생긴 것만 사람이라고 다 사람일까?
3 내 자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4 정원사가 조각가와 다른 까닭은?
5 즐거움은 함께하면 커진다고?
6 천사는 악마를 이길 수 있을까?
7 사랑은 마음이 움직이는 거라고?
2장 자연으로 돌아가라고?
도가
8 하늘에도 길이 있다고?
9 물처럼 살 수는 없을까?
10 하지 않고도 이루는 방법이 있다고?
11 똥에도 도가 있다고?
12 그냥 내버려 둘 수 없어?
13 모두가 친구가 되면 안 돼?
14 스트레스 없이 살 수 없나?
3장 함께 사는 사회를 만들려면?
묵가와 법가
15 차별 없는 사랑이 가능할까?
16 서로 기준이 다를 때 해결하는 방법은?
17 세계 최초의 평화주의 단체는?
18 당근과 채찍이 통하는 까닭은?
19 병이 나기도 전에 치료를 한다고?
20 사랑보다 권세가 중요하다고?
21 정치와 의학이 원리가 같다고?
4장 철학에도 기원이 있다고?
동양 철학
22 소크라테스는 공자와 토론할 수 있을까?
23 ‘필로소피아’와 ‘철학’은 같은 걸까?
24 ‘한국 철학’이 따로 있나?
25 유교는 종교일까, 철학일까?
5장 문화가 다르면 생각도 다를까?
동서 철학의 차이
26 어릴 때의 나와 지금의 나는 같은 사람일까?
27 눈빛만으로 사람을 움직인다고?
28 동양은 지혜를, 서양은 지식을 추구했다고?
29 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는 걸까?
30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고?
31 원수는 무엇으로 갚아야 할까?
32 영원히 사는 방법이 있다고?
33 세상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34 왕이 기우제를 지낸 까닭은?
6장 옛날의 지혜가 오늘에도 통할까?
쟁점들
35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고?
36 현대 사회에서 효는 가능할까?
37 충은 사회 정의와 함께할 수 있을까?
38 인격도 성형할 수 있을까?
39 약속만 잘 지키면 되는 걸까?
40 유교와 민주주의는 만날 수 있을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