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엽을 말한다 또는 밤에만 문을 여는 마음 상담소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백선엽을 말한다 또는 밤에만 문을 여는 마음 상담소

땅끝
2025-01-20 00:19 111 0

본문




백선엽을 말한다
9791185720388.jpg


도서명 : 백선엽을 말한다
저자/출판사 : 유광종, 책밭
쪽수 : 390쪽
출판일 : 2020-06-08
ISBN : 9791185720388
정가 : 16000

백선엽 평전을 적는 이유
개정판 서문

克 나를 이기다
가난과 죽음, 그리고 시작/ 군인의 길은 숙명이었다/ 신문사설 즐겨 읽던 초등학생/ 평양사범 청년의 꿈/ 아버지, 지워지지 않는 그림자

知 알아야 이긴다
만주에서 일본의 힘을 읽다/ ‘일본인에게 지지 않기 위해서는’/ 군인의 길을 택하다/ 싸움의 기초를 배우다/ 뜨는 미국, 지는 일본

時 때를 읽다
어느 날 갑자기 다가온 해방/ 평양 귀향길에서 본 ‘미국’/ 일주일 동안의 서울 구경/ 조만식 비서실에서 본 김일성/ 김일성 vs 백선엽, 피할 수 없는 숙명/ 서울에 국방경비대에 입문하다

勢 형세를 보다
부산에서 중대장으로 출발하다/ 대대장, 그리고 연대장으로/ 미군의 전법을 연구하다/ 역사상 최초 한미 합동 군사훈련/ 미군, 백선엽을 발탁하다

習 배우고 익히다
군에 침투한 좌익들의 반란/ 여순반란사건에서 드러난 싸움꾼 기질/ 숙군의 칼자루를 쥐다/ 어느 날 찾아온 수갑 찬 박정희/ “내 이름에 착할 선(善)이 있잖아”/ ‘살릴 사람은 살리고 보자’/ 숙군의 태풍 지나가다/ 백선엽과 육사 8기생, 그리고 박정희

定 틀을 이루다
빨치산과의 인연이 시작되다/ 5사단장 백선엽의 싸움 방법-기초 쌓기/ 5사단장 백선엽의 싸움 방법-민심 얻기/ 때를 기다리며 칼을 갈다/ “백선엽은 뭐하는 지휘관이냐”/ ‘일선 지휘관 백선엽’의 첫 성공

亂 내가 싸움에 질 때
운명의 1사단, 그리고 1950년 6월 25일/ “지리산에서 만나 게릴라로 싸우자”/ 지연전, 그 지루한 서막/ 빗물과 함께 먹는 주먹밥/ 유랑의 끝

鬪 적과 격돌하다
미군이 주도하는 전쟁의 시작/ 피바다가 따로 없다/ 가뭄 속의 단비, 미 ‘증원군’이 오다/ 위기 속의 리더십/ 미군의 작전계획을 바꾸다/ 서울 넘어 평양으로

爭 적에게 내줄 수 없다
중공군이 넘어온 되너미고개/ 후퇴는 패배가 아니다, 작전이다/ “사령부를 모래사장으로 옮겨라”/ 중공군의 ‘먹잇감’은 국군/ 대관령을 막아서다/ “대륙적 기질의 백선엽 장군”/ 밴 플리트와 백선엽/ 휴전회담 대표 백선엽의 판단력/ 정치의 칼끝을 피해가기 위해서는

勝 상승의 장군, 저 멀리 내달리다
낙엽 떨어지는 지리산으로/ 지리산 자락에 세운 고아원/ 국군 전력 증강에 불을 댕기다/ 육군참모총장의 자리에 오르다/ 냉정한 ‘플레이어’ 백선엽/ 육군참모총장 백선엽의 명망/ 경무대의 초조감, 그리고 백선엽의 활약

將 어떤 이를 명장이라 부르는가
번역과 해석의 차이, ‘완벽한 군인’ 백선엽/ 한국군 최초의 별 넷 대장에 오르다/ 신임 미 8군 사령관과의 기 싸움/ 휴전을 둘러싼 한미 간 마찰/ 미국에 간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아이젠하워의 약속/ 경무대의 이상한 침묵/ 중공군과 다시 맞서다/ “당신이 전선에 나가주시오”/ 왜 그를 명장이라 부를까




밤에만 문을 여는 마음 상담소
9791190893015.jpg


도서명 : 밤에만 문을 여는 마음 상담소
저자/출판사 : 가타카미 데쓰야, 서해문집
쪽수 : 208쪽
출판일 : 2020-07-15
ISBN : 9791190893015
정가 : 13500

프롤로그

누구나 ‘마음의 감기’에 걸리는 시대
갈 곳 없는 사람들이 모여드는 공간이니까
학창 시절 동아리 같은 정신과
요일마다 다른 상담사
여기가 안 되면 다른 선택지가 있다는 마음으로
뒤엉킨 마음의 실타래를 풀듯

일하는 분들을 돕고 싶습니다
정신과에 대한 심리적 허들 낮추기
정신과란
밤의 얼굴, 낮의 얼굴
‘밤의 수호신’을 꿈꾸며

원래대로 돌아가진 못하더라도
갑작스레 찾아온 큰 병, 열 시간에 걸친 대수술
지주막하출혈에서 살아 돌아온 후
‘할 수 있는 일’에 초점 맞추기
나만이 할 수 있는 진료

어서 오세요, 아울 클리닉에
첫 번째 질문, 성장 과정과 가정환경
친구 같은 의사
지금 상태는 10점 만점에 몇 점인가요?
회복의 척도는 8점
죽지 않기로 약속하기
나무 그림으로 심리 상태 들여다보기
다양한 면에 주목하기
정신과의 약 처방은 대증치료일 뿐
상담을 통해 마음 깊숙한 곳으로
정신과 치료란
나는 물벼룩 같은 존재

짙은 어둠을 내려놓기까지
사례Ⅰ_직장 동료의 괴롭힘으로 우울증에 걸린 독신 여성, 현재 무직으로 부모님과 동거 중
사례Ⅱ_복잡한 가정환경 탓에 폭식과 자해를 반복하는 미용사 겸 출장 접대부
사례Ⅲ_발달장애로 인해 업무 중에 꾸벅꾸벅 조는 여성, 웹 관련 기업 재직 중
사례Ⅳ_괴로운 현실에서 벗어나려 자해로 도망치는 두 명의 성 산업 종사자
사례Ⅴ_상실경험에서 비롯된 병을 극복하고 여행으로 자신을 되찾은 독신의 패스트푸드점 점장
사례Ⅵ_성 산업에 종사하며 약을 끊지 못하는前 치과위생사
사례Ⅶ_핫텐바에 다니다 적응장애를 앓게 된 바이섹슈얼 기혼 남성
사례Ⅷ_불법촬영 범죄를 저지르고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前 대기업 과장
사례Ⅸ_끊임없이 성형수술을 하고 폭식과 구토를 반복하는 추형공포증 여성
사례Ⅹ_남편에 이어 아내도 우울증에 걸린 유명 기업의 엘리트 부부

마음의 병에서 나를 지키기 위한 체크리스트
짚이는 데가 있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디서부터가 우울증일까?
우울증의 진위보다 중요한 것
가장 효과적인 치료, 조기 발견
마음의 병을 앓는 사람 대부분은 성실하고 세심하다
‘고독’이 증상을 악화시킨다
생활 습관 개선이 최우선
세 개의 축, 식사ㆍ수면ㆍ운동

앞으로의 도전
고민을 언어화하기
절이냐, 교회냐, 정신과냐
재미있으면 하자!

에필로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