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력충전 스타트 중학 수학 중1(상)(2020) 또는 이규보의 화원을 거닐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수력충전 스타트 중학 수학 중1(상)(2020) 또는 이규보의 화원을 거닐다

땅끝
2025-01-20 00:19 157 0

본문




수력충전 스타트 중학 수학 중1(상)(2020)
9791162402559.jpg


도서명 : 수력충전 스타트 중학 수학 중1(상)(2020)
저자/출판사 : 수경 수학 콘텐츠 연구소, 수경출판사
쪽수 : 264쪽
출판일 : 2020-07-15
ISBN : 9791162402559
정가 : 12500

Ⅰ-1 소인수분해
01 소수와 합성수
02 거듭제곱
03 소인수분해
04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약수 구하기
Ⅰ-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05 공약수와 최대공약수
06 최대공약수 구하는 방법
07 최대공약수의 활용
08 공배수와 최소공배수
09 최소공배수 구하는 방법
10 최소공배수의 활용
Ⅱ-1 정수와 유리수
11 양수와 음수
12 정수와 유리수
13 수직선
14 절댓값
15 수의 대소 관계와 부등호의 사용
Ⅱ-2 정수와 유리수의 계산
16 유리수의 덧셈
17 덧셈의 계산 법칙
18 유리수의 뺄셈
19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의 혼합 계산
20 유리수의 곱셈
21 곱셈의 계산 법칙
22 세 개 이상의 수의 곱셈
23 분배법칙
24 유리수의 나눗셈
25 역수를 이용한 나눗셈
26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혼합 계산
Ⅲ-1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
27 곱셈 기호의 생략
28 나눗셈 기호의 생략
29 문자를 사용한 식
30 식의 값
31 다항식
32 차수와 일차식
33 단항식과 수의 곱셈, 나눗셈
34 일차식과 수의 곱셈, 나눗셈
35 동류항
36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
37 복잡한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
Ⅲ-2 일차방정식
38 등식
39 방정식과 항등식
40 등식의 성질
41 이항과 일차방정식
42 일차방정식의 풀이
43 복잡한 일차방정식의 풀이
44 일차방정식의 활용
Ⅳ-1 좌표평면과 그래프
45 순서쌍과 좌표
46 사분면
47 그래프와 그 해석
Ⅳ-2 정비례와 반비례
48 정비례 관계
49 정비례 관계 의 그래프의 성질
50 정비례 관계 의 그래프 위의 점
51 반비례 관계
52 반비례 관계 의 그래프의 성질
53 반비례 관계 의 그래프 위의 점




이규보의 화원을 거닐다
9791157769117.jpg


도서명 : 이규보의 화원을 거닐다
저자/출판사 : 홍희창, 책과나무
쪽수 : 324쪽
출판일 : 2020-07-02
ISBN : 9791157769117
정가 : 16000

들어가는 글

1_ 꽃, 오늘 밤은 꽃을 안고 주무세요
당나라 시대에 모란꽃 백 송이 가격이 비단 25필 값
향기롭고 고우며 추위를 견뎌 더욱 사랑스러운 국화
동전을 닮은 꽃, 금불초
눈 속에 피는 꽃 동백
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는 매화
학문과 벼슬에 뜻을 둔 선비들의 그림, 맨드라미
우리나라에서만 부르는 이름, 무궁화
박꽃은 노인
배꽃은 흰 눈처럼 향기로워라
배를 타고 복사꽃 피는 마을을 찾아서
봉황이 나는 듯한 모습의 봉선화
살구꽃, 이 봄에 구경하지 못하면 영원히 한이 되리라
연꽃은 진흙에서 났으나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누가 그대를 불러 옥매화라 전하던고
나에게 작약은 없어서는 안 되는 꽃이지요
가시가 돋았다 해서 흠이 아닌 장미
그 마음이 아주 몹시 간절하여, 접시꽃
굶주린 아이에게 조팝꽃을 알리지 마라
패랭이꽃은 소년
황매화는 황금을 오린 듯

2_ 나무, 나부끼는 잎새는 구슬처럼 흩어졌어라
술 취한 양귀비 같은 해당
식물학상 풀에 가까운 대나무
꽃봉오리가 북쪽을 향하는 목련
한시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버드나무
봉황이 머문다는 벽오동
더디게 자라지만 이점이 많은 밤나무
정조 임금이 유일하게 사랑했던 석류
뽕나무를 심으면 쓰이기 쉬우나
대감 벼슬을 받은 소나무
탱자, 속에는 하얀 살도 있지만

3_ 과일과 채소, 한바탕 잘 먹은 그 은혜를
겉과 속이 똑같이 붉은 과일인 감
임금님의 하사품이었던 귀한 귤
기원전 4천 년 전부터 재배한 능금
백 가지 과일 중 앵두가 먼저 익어
자두가 번창하니 즐거움이 끝이 없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과일인 포도
고운 꽃 보고 열매도 먹는 가지
삼국 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무
임금께도 바친 봄 미나리
문 닫아걸고 먹는 가을 아욱
물 안 줘도 오이 넝쿨 잘도 뻗어나네
밭에서 나는 달걀, 토란
잎을 따서 피리처럼 불었던 파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