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길, 왜 비핵지대인가 또는 단종의 비애 세종의 눈물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반도의 길, 왜 비핵지대인가 또는 단종의 비애 세종의 눈물

땅끝
2025-01-20 00:19 139 0

본문




한반도의 길, 왜 비핵지대인가
9788997918287.jpg


도서명 : 한반도의 길, 왜 비핵지대인가
저자/출판사 : 정욱식, 유리창
쪽수 : 368쪽
출판일 : 2020-06-05
ISBN : 9788997918287
정가 : 16000

-머리말
한반도 비핵지대를 비핵화의 정의와 목표로 삼자

제1부 아마겟돈
1. 망원경과 안대
(1) 2017년 9월의 소동이 의미하는 것
(2) ‘참수작전’과 ‘죽은 자의 손’
(3) MD의 경우
2. 눈에는 눈, 핵에는 핵?
(1) 한국은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까?
(2) ‘문 뒤의 총’이 문 앞에 오면
(3) 핵은 ‘만능의 무기’가 아니라네
3. 최악의 휘말림
(1) 미국 합참의장의 안도
(2) 연루의 위험
(3) 사드 정식 배치와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제2부 희망 고문
1. 트럼프의 ‘실패의 기술’
(1) 보이지 않는 세력의 반격
(2) 데이트 폭력
(3) 돈벌이가 먼저
2. 문재인의 허망한 ‘운전자론’
(1) 운칠기삼
(2) 미국의 범위에 갇히다
(3) ‘내로남불’과 근친 증오
3. 김정은의 변증법적 비핵화의 좌절
(1) 김정은의 꿈
(2) 단계적 해법의 함정
(3) ‘정면돌파전’
4. 왜냐면

제3부 한반도 비핵지대
1. 비핵화와 비핵지대
(1) 미국은 왜 비핵지대를 거부했을까?
(2) “FFVD”와 “조선반도 비핵화”
(3) 비핵지대란 무엇인가?
2. 한반도 비핵지대를 제안하는 이유
(1) 정의와 목표가 이미 존재한다
(2) 제재를 비롯한 다른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3) 상호 만족할 수 있는 해법이다
(4) 지속가능한 해법이다
(5) 최악의 시나리오를 막을 수 있다
(6) 가장 주체적인 해법이다
3. 한반도 비핵지대 추진 시 예상되는 쟁점과 해결책
(1)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 문제
(2) 소극적 안전보장
(3) 핵우산 문제
(4) 핵무기 및 운반수단의 배치·통과·경유 문제
(5) 한반도 비핵지대 실현을 위하여

제4부 종합예술
1. 억제-위기관리-관계-협상의 하모니
2. 협상의 조건: 미국 이익의 재구성
3. 협상이 재개되면
(1) 새로운 북핵 폐기 프로세스
(2) ‘데이트 폭력’을 ‘명예로운 선택’으로
(3) 평화협정은 언제?
(4) 북미협상에만 맡겨두지 말자
(5) 세계 6위 군사 강국의 선택

부록
1. 3차 북미정상회담 합의문 시안
2. 한반도 평화협정 시안
3-1. 한반도 비핵무기지대 조약 시안
3-2. 한반도 비핵무기지대 조약 의정서 시안




단종의 비애 세종의 눈물
9788959595273.jpg


도서명 : 단종의 비애 세종의 눈물
저자/출판사 : 유동완, 한솜미디어
쪽수 : 376쪽
출판일 : 2020-06-20
ISBN : 9788959595273
정가 : 18000

머리말 _ 4

1. 원손에서 세자가 되기까지 이홍위의 삶 _ 12
1) 이홍위 탄생과 세종의 기대 _ 12
2) 세종의 즉위 과정과 왕위 정통성에 대한 콤플렉스 _ 16
3) 인턴 왕이 된 세종 _ 22
4) 세종의 치세에 도움을 준 태종의 인척 및 사돈 제거책 _ 27
5) 경연을 활성화한 세종 _ 29
6) 집현전을 활성화하고 의정부서사제를 실시한 세종 _ 31
7) 세종의 애민정신을 형상화한 공법 제정 _ 33
8) 이홍위를 불행에 빠뜨리게 한 세종의 국정운영방식 _ 42
9) 세종이 중국어 발음기호로 만들었던 한글 _ 48
10) 세자의 결혼 생활을 파탄 낸 세종 _ 53
11) 풍수지리 사상에 지배당한 세종 _ 61
12) 세자가 된 이홍위와 아버지 문종의 삶 _ 67

2. 조선 제6대 왕과 상왕으로서 이홍위의 삶 _ 72
1) 조선 제6대 왕으로 즉위한 이홍위 _ 72
2) 정순왕후 송씨를 아내로 맞이한 이홍위 _ 77
3) 이홍위 즉위 초부터 야심을 드러낸 수양대군 _ 80
4) 야심을 이루기 위한 초석이 된 수양대군의 북경행 _ 83
5) 야심가들의 구심체가 된 수양대군 _ 87
6) 수양대군 야심의 중간단계 실현인 계유정난(계유사화) _ 91
7) 고급 한량 안평대군을 역모자로 몰아 죽인 수양대군 _ 98
8) 공신들 위에 조선을 입헌군주국화한 수양대군 _ 108
9) 공신 엄자치를 토사구팽한 수양대군의 의도 _ 115
10) 계유정난(계유사화) 이후 분열된 왕실 종친 _ 117
11)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 _ 120
12) 세조의 술판정치 _ 123
13) 의심 많은 세조 _ 131
14) 세조 제거와 이홍위 복위를 위한 거사 실패(병자사화) _ 134
15) 사육신의 탄생 _ 163
16) 금성대군을 역모자로 만든 신하들 _ 166
17) 이홍위 제거를 위해 송현수를 역모자로 만든 세조 _ 169
18) 의경세자를 위해 이홍위를 제거하려던 세조 _ 171
3. 노산군으로 강봉된 이홍위의 유배 생활 _ 174
1) 유배 여정 1일째(6월 22일, 화양정에서의 송별연) _ 179
2) 유배 여정 2일째(6월 23일, 광나루 → 도미나루) _ 186
3) 유배 여정 3일째(6월 24일, 도미나루 → 양근나루) _ 191
4) 유배 여정 4일째(6월 25일, 양근나루 → 이포나루) _ 193
5) 유배 여정 5일째(6월 26일, 이포나루 → 서원리 원골) _ 195
6) 유배 여정 6일째(6월 27일, 서원리 원골 → 흥원창) _ 204
7) 유배 여정 7일째(6월 28일, 흥원창에서 대기) _ 216
8) 유배 여정 8일째(6월 29일, 흥원창 → 뱃재) _ 219
9) 유배 여정 9일째(7월 1일, 뱃재 → 공순원) _ 225
10) 유배 여정 10일째(7월 2일, 공순원 → 청령포) _ 234
11) 청령포에서의 유배 생활 _ 245
12) 관풍헌에서의 유배 생활 _ 247
13) 노산군을 죽이도록 명분을 제공한 금성대군 역모설 _ 252
14) 노산군의 죽음 _ 258
15) 노산군의 주검을 지킨 엄흥도 _ 264
16) 영월 낙화암에 새겨진 충절 _ 268
17) 노산군을 불행으로 몰고 간 세종의 처첩 및 적서 차별 태도 _ 269

4. 단종이 된 이홍위 _ 276
1) 사육신과 이홍위를 철저히 거부한 예종 대 _ 277
2) 정치적 홀로서기를 통해 송현수의 역모죄 굴레를 벗겨준 성종 _ 278
3) 사육신의 절의를 인정하고 최초로 이홍위 묘에 제사를 지낸 중종 _ 281
4) 사육신을 부정했지만 이홍위 묘에 제사를 지낸 선조 _ 284
5) 사육신 배향이 건의된 효종 대 _ 291
6) 이홍위 무덤을 왕실 종친 무덤 수준으로 대우한 현종 _ 293
7) 왕권 강화를 위해 사육신과 이홍위를 이용한 숙종 _ 294
8) 영월 장릉을 조성한 숙종 _ 305
9) 영월 장릉의 특징 _ 310
10) 이홍위를 영월로 떠나보낸 뒤 정순왕후의 삶 _ 317
11) 죽은 뒤 더 고달팠던 현덕왕후 _ 326

5. 신(神)이 된 이홍위 _ 333

각주 해설 _ 339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