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게임 아트 디렉터를 위한 게임 배경 원화 테크니컬 북 또는 일본어의 어휘와 문법습득 연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온라인 게임 아트 디렉터를 위한 게임 배경 원화 테크니컬 북 또는 일본어의 어휘와 문법습득 연구

땅끝
2025-01-20 00:19 128 0

본문




온라인 게임 아트 디렉터를 위한 게임 배경 원화 테크니컬 북
9788931556759.jpg


도서명 : 온라인 게임 아트 디렉터를 위한 게임 배경 원화 테크니컬 북
저자/출판사 : 김수영, 성안당
쪽수 : 400쪽
출판일 : 2020-06-17
ISBN : 9788931556759
정가 : 29000

Part 00. 배경 원화 구성 알아보기
포토샵의 개발 배경
포토샵의 버전에 따른 기능의 발전
배경 콘셉트 아트의 급속한 발전
간단한 배경 작업의 흐름

Part 01. 배경 작업을 위한 포토샵의 기본 기능 알아보기
Chapter 01. 배경 작업에 필요한 포토샵의 화면 구성
Chapter 02. 배경 작업을 위한 환경 설정
Chapter 03. 배경 작업의 단축키 설정
Chapter 04. 스케치 입력을 위한 스캐너 설정
Episode 01. 밥 서버

Part 02. 배경 작업을 위한 포토샵 준비하기
Chapter 01. 게임 작업에서의 데이터 관리
Chapter 02. 배경 작업을 위한 브러시 준비
Chapter 03. 실 작업에서의 해상도 개념
Episode 02. 첫 클베하는 날

Part 03. 포토샵 툴을 이용하여 배경 작업하기
Chapter 01. 셀렉트의 기본 기능 이해
Chapter 02. 셀렉트를 이용한 원근법 표현
Chapter 03. 원근법을 이용한 표현 응용_1(튜토리얼)
# 셀렉트 옵션을 사용한 튜토리얼
Step 01. 원경의 선택 방법
Step 02. 중경의 선택 방법
Step 03. 근경의 이미지 보정
# 셀렉트의 응용을 완성된 이미지로 확인
Chapter 04. 원근법을 이용한 표현 응용_2(튜토리얼)
# 채색을 위한 셀렉트 활용 튜토리얼
Step 01. 펜 툴 활용하기
Step 02. 좀 더 복잡한 부분의 선택
# 컬러 지정 확대 작업하기
# 전체적인 작업 결과물 비교해 보기
Chapter 05. 툴 바의 이미지 보정
Chapter 06. 메뉴 바의 이미지 메뉴를 통한 이미지 수정
Chapter 07. 레이어를 통한 이미지 보정(Layer Style 알기)
Chapter 08. 필터를 활용한 이미지 보정
# 블러(Blur) 옵션을 이용한 선화의 느낌 살리기(튜토리얼)
Episode 03. 도트를 그리는 일본의 장인들

Part 04. 배경 작업을 위한 튜토리얼
Chapter 01. 단일 건물에서의 작업 과정_1
# 배경 원화 작업에서의 작업 방법 이해하기
Step 01. 무기 상점의 원화 작업 시작하기
Step 02. 채색을 위해 포토샵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들
Step 03. 채색의 시작
Step 04. 컬러 지정 및 간단한 컬러링
Step 05. 자세히 들어가기
Step 06. 완성하기
# 3D로 제작하기
# 중요 포인트 살리기와 3D 작업으로의 연결
# 최종 체크 사항들Chapter 02. 단일 건물에서의 작업 과정_2
# 백그라운드 컬러를 이용한 원화 작업
Step 01. 소모품 상점의 원화 작업 시작하기
Step 02. 채색을 위해 포토샵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들
Step 03. 백그라운드 컬러 결정하기
Step 04. 그림자 그려 넣기
Step 05. 밝은 부분 살리기
Step 06. 컬러 작업 진행하기
Step 07. 포토샵에서 이미지 정리하기
# 3D 작업으로 확인하기
Chapter 03. 복합 건물에서의 채색 과정
# 초보자 마을 콘셉트 아트 작업 과정의 검토
Step 01. 디테일한 구역 결정하기
Step 02. 배경 산의 묘사 방법
Step 03. 지면과 오브젝트의 분리
Step 04. 그림자 지정하기
Step 05. 백그라운드 컬러 지정하기
Step 06. 컬러 채색 작업
Step 07. 컬러 밸런지 잡기
Step 08. 거리감에 따른 원근법과 채색법
Step 09. 마무리 작업하기
# 초보자 마을의 이미지 정리와 결과물 확인하기
Chapter 04. 던전 콘셉트 아트 작업 과정
# 던전의 패턴 제작 들어가기
Step 01. 기획서를 통해 원화가 필요한 구간 추출하기
Step 02. 반복되는 구간의 선화 작업하기
Step 03. 분위기에 따른 채색의 시작
Step 04. 조명의 위치와 색감의 변화를 생각하면서 채색하기
Step 05. 채색 마무리하기
# 던전 패턴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소도구들 구성하기
Step 01. 필요 소도구들의 구분 및 선화 제작하기
Step 02. 패턴 배경색 찾아보기
Step 03. 오브젝트 채색하기
Step 04. 마무리 작업하기
# 던전을 마무리하면서 주의해야 할 점들
Episode 04. 일본 콘솔 프로그래머의 일상

Part 05. 배경 콘셉트 아트 작업하기
Chapter 01. 배경 그래픽을 크게 볼 수 있는 '월드 맵' 작업
# 월드 맵 기획을 통해 게임 제작 이해하기
# 국가 맵의 구성을 알고 시작하기
# 국가 맵을 활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 월드 맵(국가 맵)
# 맵 에디터는 알고 가자
# 심리스 방식과 일반 로딩 맵의 차이를 알자
# 러프 스케치를 잘하면 필드를 구성하기가 쉽다
Chapter 02. 게임 배경의 중심, 사냥터 기획
# 게임 사냥터 기획서의 이해(Game BP)
# 레벨 작업을 위한 싸움터(배틀 필드)
# 실 데이터와 최종 결과물의 비교
# 게임 클라이언트와 BCA와의 비교 검토
Chapter 03. 마을의 BCA 구성 방법
# 배틀 필드(싸움터)를 연결하는 마을을 구성하려면
# 마을의 기획서와 그에 따른 마을 제작 과정
# 시나리오적인 일반 마을 꾸미기
# 성의 역할을 하는 작은 성, 전초기지
# 필드에 있어서 마을의 의미
Chapter 04. 배경 콘셉트 아트 제작을 위한 온라인 게임의 중심 '성'
# 기획서의 이해와 성 배경 콘셉트 아트 시작하기
# 구체적 배경 콘셉트 이미지 보드 완성해보기
# 성 작업의 시작
# 좀 더 구체적인 작업으로 접근하기
# 성의 특징 살리기
# 성 작업 결과물을 게임 화면과 맵 에디터 화면을 통해 확인하기
# 각종 아이템 상점들 꾸며 넣기
# 종합적인 이미지 정리 작업
Chapter 05. 던전의 이해와 던전 제작
# 배경 기획의 꽃_던전 기획의 구성 보기
# 던전 기획서의 구체적인 고찰
# 던전 제작을 위한 콘셉트 아트 시작하기
# 던전 콘셉트 아트
# 던전 작업 결과물의 체크
Chapter 06. 흥미로운 로딩 이미지의 제작
# 스케치와 구체적인 이미지화
# 완성 및 정리
Episode 05. 필자가 추천하는 두 일본 작가

Part 06. 아트디렉터 원화 갤러리
Chapter 01. 배경 콘셉트 아트를 위한 아트 컨설팅_스케치편
Chapter 02. 배경 콘셉트 아트를 위한 아트 메이킹_컬러편




일본어의 어휘와 문법습득 연구
9788961849524.jpg


도서명 : 일본어의 어휘와 문법습득 연구
저자/출판사 : 천호재, 어문학사
쪽수 : 408쪽
출판일 : 2020-06-30
ISBN : 9788961849524
정가 : 26000

서언
서론

제1부│어휘 편
제1장 일본음식 어휘의 통사적 특징
-스시, 우동, 라멘, 소바, 모치, 와가시(和菓子)명을 중심으로-
1.1 시작하며
1.2 분석의 도구
1.3 전항명사(A)+후항명사(B)의 범위
1.4 분석에 들어가기 전에
1.5 스시명의 통사구조
1.6 우동명의 통사구조
1.7 라멘명의 통사구조
1.8 소바명의 통사구조
1.9 모치명의 통사구조
1.10 와가시명의 통사구조
1.11 음식명의 통사구조 비교
1.12 논의(discussion)
1.13 마치며 -일본과 한국음식명의 통사구조 비교
제2장 엔카(演歌) 가사에 나타난 연어(連語) 분석
2.1 시작하며
2.2 분석의 대상과 선행연구
2.3 엔카 제목의 특징
2.4 가사의 내용 분석
2.5 엔카 가사에 나타난 문화어
2.6 마치며
제3장 일본동요에 나타난 어휘 분석
3.1 시작하며
3.2 고찰의 대상
3.3 동요 제목의 특징 -대분류와 소분류를 중심으로-
3.4 각 동요 가사에 출현하는 어휘 살펴보기
3.5 오감에 관련된 가사의 분석
3.6 마치며
제4장 일본어 과학 어휘의 분석
-천문학 용어를 중심으로-
4.1 시작하며
4.2 천문학 용어의 분석 도구
4.3 선행연구의 검토 및 문제의 제기
4.4 천문학 용어의 일본어학적 분석
4.5 마치며 -학습행동의 제안
제5장 일본어의 종교 어휘 분석
-불교 용어를 중심으로-
5.1 시작하며
5.2 분석 자료 및 분석 방법
5.3 불교 용어의 일본어학적 분석
5.4 마치며
제6장 일본어의 전쟁 관련 어휘 분석
-19세기 중엽부터 1945년 종전까지의 군함명을 중심으로-
6.1 시작하며
6.2 고찰의 대상과 분석 방법
6.3 군함명의 음절수
6.4 군함명과 표기 자종
6.5 군함명과 레토릭
6.6 군함명과 환유의 레토릭
6.7 마치며
제7장 일본어 정치 관련 어휘 분석
-한국어 어휘와의 비교-
7.1 시작하며
7.2 고찰의 대상 및 방법
7.3 일본어 한어의 비교
7.4 일본어 외래어의 비교
7.5 일본어 혼종어의 비교
7.6 마치며
제1부의 결론

제2부│문법습득
제8장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수수표현 습득
-의미를 중심으로-
8.1 시작하며
8.2 일본어 수수표현의 이론적 배경
8.3 분석 자료의 개요
8.4 각 수수표현 형식의 교체 형식과 사용 빈도의 비교
8.5 본동사와 수수표현의 습득 양상 비교
8.6 수수표현의 격 의미제약(생물, 무생물)에 대한 원어민과 일본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 비교
8.7 수수표현의 격 의미제약(인칭제약)에 대한 원어민과 일본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 비교
8.8 수수표현의 구조적 유형에 대한 일본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
8.9 마치며
제9장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수동구문 습득
-형태와 의미습득을 중심으로-
9.1 시작하며
9.2 일본어 수동구문의 문법적 특징
9.3 분석 자료와 고찰
9.4 마치며
제10장 일본어 문법 영역의 학습전략 수립과 효과
-JLPT1급을 중심으로-
10.1 시작하며
10.2 JLPT와 문법항목에 주목하는 이유
10.3 제2언어습득 이론의 이론적 배경
10.4 실험을 위한 학습전략의 제안
10.5 실험의 개요 및 결과
10.6 마치며
제11장 스토리텔링을 통한 일본어교육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11.1 시작하며 -왜 스토리텔링인가?
11.2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배경
11.3 일본어 문법항목
11.4 문법항목과 순수한 이야기 재료, 플롯화, 텍스트화
11.5 문법항목과 최소스토리
11.6 스토리텔링하기(1)
11.7 스토리텔링하기(2)
11.8 마치며
제2부의 결론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