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대표님이 우리도 브랜딩 좀 해보자고 말했다 또는 포스트 코로나 한국교회의 미래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어느 날 대표님이 우리도 브랜딩 좀 해보자고 말했다 또는 포스트 코로나 한국교회의 미래

땅끝
2025-01-20 00:19 145 0

본문




어느 날 대표님이 우리도 브랜딩 좀 해보자고 말했다
9788959896622.jpg


도서명 : 어느 날 대표님이 우리도 브랜딩 좀 해보자고 말했다
저자/출판사 : 박창선, 미래의창
쪽수 : 320쪽
출판일 : 2020-06-30
ISBN : 9788959896622
정가 : 15000

프롤로그: 어느 날 대표님이 우리도 브랜딩 좀 해보자고 말했다 4

CHAPTER 1 마음을 보다
사전 속 브랜딩: 브랜딩이란 무엇일까? 14
브랜딩 프로젝트, 꼭 필요할까?: 브랜딩은 만능열쇠가 아니다 23
회의실의 브랜딩: 브랜딩 회의만 7시간째 32
외부 인력과 브랜딩: 제3의 눈은 항상 정답일까? 43
브랜딩 독학하기: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좋을까? 53
기대 속의 브랜딩: 리브랜딩에 대하여 64

CHAPTER 2 전체를 보다
현관의 브랜딩: 우리 팀의 분위기는? 76
덕력 속 브랜딩: 브랜드에 빠져들어야 브랜드를 만든다 88
화장실의 브랜딩: 업무 분장의 함정 99
탕비실의 브랜딩: 엇나가는 사람은 반드시 있다 111
거절 속의 브랜딩: 브랜드를 지켜낸다는 것 122
위기와 함께 오는 브랜딩: 어느 날, 대박 사건이 터졌다 132
사내 문화 속 브랜딩: 우리의 모습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142
창고의 브랜딩: 효율적인 업무에 대하여 151
실무 속의 브랜딩: 무엇부터 해야 할지 막막하다면 164

CHAPTER 3 업무를 보다
PPT 속 브랜딩: 브랜딩 기획안을 깔끔하게 작성하는 법 176
캐릭터 속 브랜딩: 펭수가 만든다고 만들어지나 188
포토샵 속 브랜딩: 브랜딩과 디자인은 절친 사이 198
데이터의 브랜딩: 브랜딩은 매출과 상관이 없다? 208
CS 속의 브랜딩: 고객이 떠나는 이유와 돌아오는 이유 218
언어 속의 브랜딩: 언어는 어떻게 당신을 드러내는가? 229
이미지 속 브랜딩: 사진은 어떻게 브랜드를 보여줄까? 239
루프 속 브랜딩: 벌여놓은 일과 마무리되는 일 248
온라인의 브랜딩: 커버 이미지 통일이 능사가 아니니까 259

CHAPTER 4 바깥을 보다
행사자의 브랜딩: 사람들은 우리를 어떻게 바라볼까? 270
스토어의 브랜딩: 문제는 항상 인사에 시작된다 283
면접실의 브랜딩: 신입 사원들을 매료시키는 브랜딩 295
영업 현장의 브랜딩: 영업은 브랜딩의 적이다? 305
굿즈 속 브랜딩: 이것은 사은품이 아닙니다 316
환상 속의 브랜딩: 우리 마음속에서 꿈틀대는 거짓말들 326




포스트 코로나 한국교회의 미래
9791161433752.jpg


도서명 : 포스트 코로나 한국교회의 미래
저자/출판사 : 소강석, 쿰란출판사
쪽수 : 264쪽
출판일 : 2020-05-25
ISBN : 9791161433752
정가 : 12000

서문

1장_ 코로나로 인한 사회 변화
1. 대면적 관계 단절, 개인주의와 자기중심성 문화
2. 가족 중심의 새로운 일상(뉴 노멀)의 변화
3. 집단성, 공동체성이 해체되고 온라인, 가상공간의 문화
4. 다운사이징(축소화) 사회로 소상공인들의 서바이벌한 삶
5. 문화 예술적, 종교적인 활동보다는 육체적, 건강 우선순위의 삶
6. 글로벌한 사회보다는 국가 이기주의 사회로의 변화

2장_ 코로나로 인한 교회 환경 변화
1. 교회를 세울 수 있는 환경에서 교회를 파괴하는 환경으로의 변화
2. 영적인 태만과 냉담, 방치 습관의 체질화
3. 성도들 신앙의 육체적 세속화
4. 4·15 총선의 결과가 보여준 진보사회로의 변화

3장_ 코로나 이후의 교회 세움
1. 성경적 신앙, 초대교회 신앙으로 리셋(reset)하기
1) 첫사랑 회복시키기
2) 영적인 목마름 회복시키기
3) 공동체 신앙 훈련시키기
4) 신앙의 열정 회복시키기
5) 헌신훈련 반복하기
6) 뉴 ACTS29 운동
2. 성경적 신앙을 시대 트렌드에 맞게 리포맷(reformat)하기
1) 양극단의 이념에 편승하지 않고 하나님 중심의 신앙 갖게 하기
2) 정치적 부족주의를 벗어나 신앙적 화합주의로 변화시키기
3) 분노사회를 신앙의 방식을 통해 화해사회로 전환시키기
4) 과거적 신앙보다 미래적 신앙으로 바꾸기

4장_ 다시 교회세움운동(처치 플랜팅; Church Planting)의 방향
1. 집회 회복 차원에서의 교회 세움
1) 예배의 포맷을 새롭게 하기
2) 감동적인 설교 준비하기
3) 현장예배에 대한 기대감 갖게 하기
4) 성도와 성도끼리 연결 맺기
5) 성도와 교회 연결 맺기
6) 특별기도회 참여시키기
7) 보랏빛 엽서 보내기
8) 오는 교인들을 왕처럼 모시기
2. 순환계적 차원에서의 교회 세움
1) 교회 본질 이해하기(교회론 교육)
2) 교회를 다시 경험하게 하기
-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소명 새롭게 경험하기
- 현장예배의 중요성 경험하기
- 몸 된 교회의 지체로 존재하기
- 다시 기도의 불 붙이기
- 몸으로서의 교회를 배우고 체험하기
- 공동체 교회와 조직교회 참여, 헌신
3) 예배를 새롭게 경험하기
- 예배의 신성함 교육하기
- 예배의 공동체성 회복하기
- 예배를 통한 하나님의 임재와 영광 체험하기
- 설교에 생명력 더하기
4) 가정교회 세우기
5) 이단 침투 방어와 이단 탈퇴자 교화하기
3. 포지션 영역에서의 교회 세움
1) 교회의 이미지 메이킹 새롭게 하기
- 올드 처치에서 뉴 처치의 이미지로 바꾸기
- 제도적 교회에서 창조적 교회로 나아가기
- 오프라인 교회와 온라인 예배가 쌍두마차로 가기
- 대면 전도와 온라인 전도 융합하기
- 정치적, 사회적 교회에서 복음적, 목회적 교회로 전환하기
2) 교회 브랜드 업(up)하기
- 예배와 설교의 새로운 포맷하기
- 메디컬 처치(medical Church)
- 근시적 마을교회에서 글로벌, 킹덤 처치로 확장하기
- 일반 주변 교회에서 핵심적 중심교회로 진입하기
4. 생태계적 차원에서의 교회 세움
1) 교회 생태계 이해하기
2) 공교회 이해하기
3) 공적 사역의 마인드 갖기
- 하나님의 시야와 마음을 가진 사람 - 공교회 의식
- 네트워크와 연합된 마음을 가진 사람(네트워크 교회를 이룸)
- 반기독교적 흐름을 막고 교회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사람
- 미디어 선교, 문화선교의 의식이 있는 사람
4) 교회와 국가의 관계
5. 다음 세대 차원에서의 교회 세움
1) 신앙의 유산으로서의 다음 세대
2) 교회 유산으로서의 교회 세대
3) 유튜브를 통한 Z세대 전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