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리학자와 함께 답사하는 한국의 땅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관광지리학자와 함께 답사하는 한국의 땅

로즈
2025-01-20 00:21 73 0

본문




관광지리학자와 함께 답사하는 한국의 땅
9791166030765.jpg


도서명 : 관광지리학자와 함께 답사하는 한국의 땅
저자/출판사 : 윤병국, 한국학술정보
쪽수 : 305쪽
출판일 : 2020-08-31
ISBN : 9791166030765
정가 : 24000

머리말

한 걸음. 우리 땅의 연구와 방법론
01 지리학의 개념과 연구방법
지리학의 역할과 개념 | 지리학의 연구방법
02 관광지리학의 개념과 연구방법
관광의 개념 | 관광지리학의 개념과 역할 | 관광지리학의 발전 과정 | 관광의 구조 속에서 관광지리학의 역할 | 관광발전에 있어서 관광지리학의 역할

두 걸음. 우리 땅의 재해석
01 서구의 지리학과 한국의 전통지리
서구의 지리학연구 패러다임 변화 | 한국의 전통지리 | 풍수지리의 목적과 논리체계
02 풍수지리의 재해석
풍수지리의 현대적 평가와 적용 | 풍수지리의 폐해와 풍수지리학의 부활 | 최고의 명당은 어디인가?

세 걸음. 우리 땅의 자연지리적 관광 환경
01 우리나라의 위치와 영역
한국의 위치 | 한국의 영역 | 잃어버린 영토
02 기후와 관광
기후의 개관과 기후요소, 기후인자 | 한국의 기후적 특색 | 한국의 기후 현상 | 한국의 기후지역 구분 | 기후에 적응한 전통문화
03 식생과 관광
식생의 개념과 한국 식생의 특징 | 식생과 관광활동 | 식생의 관광자원화 사례지역 | 식생과 치유기능 | 식생과 식문화: 제철음식
04 토양과 관광
토양의 개념과 분류 | 한국의 토양 특색 | 토양문제와 대책 | 토양과 우리의 삶 | 토양과 식문화
05 지형과 관광
한국의 지형적 특색 | 산맥과 백두대간 | 지형과 관광활동

네 걸음. 우리 땅의 인문지리적 관광 환경
01 농촌관광
한국 농촌의 현황과 정체성 | 국내 농업의 S.W.O.T 분석 | 한국 농업의 발전 방안 | 농촌관광의 등장과 발전
02 산촌관광
산촌의 개념 | 한국 산촌지역 개발의 경과 | 산지이용의 변화와 원인 | 산촌의 관광지역 개발의 의의와 영향 | 산촌지역의 관광지 개발에 따른 갈등
03 어촌관광
어촌의 지리적 의미 | 한국 수산업의 현황 | 어촌의 경제ㆍ사회적 위상 | 어촌 활성화의 저해요인 | 관광활동공간으로서 어촌
04 도시관광
도시의 변화와 도시관광의 등장 | 관광활동공간으로서 도시 | 도시관광의 활성화 방안 |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도시관광 성공 사례
05 관광과 산업관광
산업관광의 정의와 범주 | 관광과 광업 | 관광과 공업 | 관광과 교통 | 관광과 전통시장

다섯 걸음. 관광지와 관광 개발
01 한국의 관광지 현황
관광지의 개념과 역할 | 한국의 법률적 관광지 현황 | 관광코스와 관광루트 | 한국의 관광권 설정
02 관광지 조사의 기본과 발전
관광지역 답사 방법 | 관광에서 지도의 활용 | GIS에서 스마트 관광으로 | 스마트 관광에서 관광지리학의 역할
03 관광 개발과 지속가능성
전통적인 관광 개발 방법 | 기존 관광 개발의 문제점과 대안 | 관광 개발의 수행과정 | 지속가능한 개발의 등장 배경과 개념 | 지속가능한 개발의 추진 방향과 이용수단

여섯 걸음. 미래 관광 공간 창조
01 전통적 공간에서 관광지리의 역할
풍류와 전통정원문화의 재고찰 | 지명과 장소의 관광자원화
02 새롭게 인식하는 관광 공간에서 관광지리의 역할
웰니스 관광 공간과 관광지리 | 한국의 문화관광 | 우리 땅에 내재한 문화관광 콘텐츠 발굴 | 문화관광의 개발 | 문화관광을 통한 지역 활성화

에필로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