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연대기 또는 2026 해커스 LEET(리트) 이재빈 언어이해 기본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시간의 연대기 또는 2026 해커스 LEET(리트) 이재빈 언어이해 기본

땅끝
2025-03-03 10:33 90 0

본문




시간의 연대기
9791187789437.jpg


도서명 : 시간의 연대기
저자/출판사 : 이창익, 테오리아
쪽수 : 848쪽
출판일 : 2025-01-31
ISBN : 9791187789437
정가 : 40000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 근대적인 시간의 지도

1장. 종의 연대기
1. 시간의 중심: 종의 역사
시간 공유의 어려움: 인정과 파루
시간의 소리: 종루 종, 광화문 종, 돈화문 종
흥천사종의 행방
원각사종의 행방
물시계의 폐지
2. 식민의 종소리: 일본 불교의 범종
3. 시간 지우기: 제야의 종소리와 종의 침묵
제야의 종, 그 시작
종의 두 갈래 미래: 무기 또는 보물
4. 종각: 중지된 시간의 역사
일제강점기의 종각
자유의 종과 제야의 종

2장. 오포와 사이렌의 전성시대
1. 오포의 연대기: 무기의 시간
용산과 한양공원의 오포
효창원의 오포
오포의 폐지와 잔존
지방의 오포 설치 상황
2. 시간 기계의 등장: 남대문소방서의 모터사이렌
3. 모터사이렌 전성시대: 시보에서 경보로
시간의 그물과 시간의 암전
모던한 시간: 시보와 경보의 혼재
일본의 종, 오포, 모터사이렌
4. 철탑과 망루의 시대: 높이의 식민화
망루, 시간의 높이
경종 소리와 신체의 통일
5. 일상과 비상: 근대적인 시간의 정체
정신, 사람, 물건의 총동원
일상의 시간과 비상의 시간

3장. 시계의 연대기
1. 시계 시간의 등장: 모던 타임의 확산
회중시계, 완시계, 괘시계, 치시계
일제강점기의 시계 보급률
2. 최초의 시계탑: 거리 시계의 등장
경복궁 시계탑
한성전기회사의 시계탑: 전차, 전등, 와사등
종로경찰서 이전기: 법원, 태화여자관, 소화낙원
화신백화점과 장안빌딩: 백화점의 시간
3. 대시계: 랜드마크의 시대
대한의원 시계탑과 광고 시계탑
경성역, 부산역, 대전역의 대시계
경성우편국, 경성부민관, 경성운동장, 명동성당의 대시계
백화점과 은행의 시간
4. 전기시계: 바야흐로 전기의 시대
친시계와 자시계
조선총독부와 전기시계
전기시계의 장단점
5. 시의 기념일: 일상의 표준화
‘시의 기념일’의 유래
일본의 시보 상황
조선의 ‘시의 기념일’
시계의 정오 조사

4장. 라디오 시대
1. 표준시의 역사: 하나의 시간을 위하여
표준시 제도의 시작
표준시의 식민화와 탈식민화
하나의 시간이라는 폭력
2. 경성방송국과 라디오 학교: 하늘로부터의 문화
라디오 시보
경성방송국의 탄생
연희방송소와 이중방송의 시작
3. 라디오 청취자 통계: 근대화와 식민화의 혼효
이중방송 후 라디오 청취자 수
지방방송국의 등장
라디오 청취자의 급증
전쟁과 라디오
라디오 수신기
4. 라디오 체조회: 몸으로 스며드는 시간
라디오 체조의 기원
경성 라디오 체조회의 시작
전선 라디오 체조회
황국신민체조와 건국체조
국민체조의 타락

5장. 달력의 연대기
1. 자동 점술의 시간: 시헌력의 구조
얇은 시간과 두꺼운 시간
역주: 시간을 해석하는 달력
시헌력의 권두: 월표와 절후표
연신방위지도: 시간과 방위의 신
시헌력의 정월 역면: 시간주기와 역주
시헌력의 윤월: 길흉이 없는 달
시헌력의 권말: 불변하는 역주
시헌력의 특징
2. 사라진 43일: 태양력의 등장
시간을 파는 사람들
태양력 채택과 시간의 혼란
3. 번역되지 않는 시간: 양력 축일과 음력 제일
4. 음양력 대조 역서: 조선과 일본의 양력화 과정
한국 최초의 양력 역서
일본 양력 역서의 변화
5. 사라진 달력: 음양합병역서와 대한융희5년력
6. 파괴되지 않는 시간: 조선민력의 구조와 역사
조선민력의 권두: 일본 축제일의 추가
조선민력 각 월 역면의 변화
조선민력의 권말 부록
조선민력, 만세력, 절후표
7. 음력 폐지와 시간의 통일: 약력과 양력의 시대
8. 시간의 식민화: 약력의 구조와 역사
약력의 권두
약력 각 월 역면의 변화
약력 권말 부록의 변화
9. 식민지 조선의 마지막 시간: 약력, 본력, 약본력
일본 역서의 제작과 반포 과정
약력, 본력, 약본력
10. 관청의 집무 시간: 절기의 시간에서 전쟁의 시간으로
11. 공휴일의 탄생: 몸과 정신의 시간 통일
조선시대 관리의 집무 시간과 휴일 개념
공휴일의 등장과 확산
12. 카렌다 연대기: 절후표, 월력, 칠요표

에필로그. 파괴된 시간의 연대기






2026 해커스 LEET(리트) 이재빈 언어이해 기본
9791172444914.jpg


도서명 : 2026 해커스 LEET(리트) 이재빈 언어이해 기본
저자/출판사 : 이재빈, 해커스로스쿨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5-01-02
ISBN : 9791172444914
정가 : 28000

언어이해 고득점을 위한 이 책의 활용법
기간별 맞춤 학습 플랜
언어이해 고득점 가이드

[PART 1 패턴별 기출문제]

패턴 1 학설 비교형 지문
패턴 2 이론 제시형 지문
패턴 3 패러다임형 지문

[PART 2 제재별 기출문제]

제재 1 문학
제재 2 역사학
제재 3 철학
제재 4 정치학

[정답 및 해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