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고 시선집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최종고 시선집

로즈
2025-01-24 09:28 64 0

본문




최종고 시선집
9788994140407.jpg


도서명 : 최종고 시선집
저자/출판사 : 최종고, 와이겔리
쪽수 : 335쪽
출판일 : 2020-11-10
ISBN : 9788994140407
정가 : 15000

머리말

Ⅰ. 법 속에서 시 속에서(1991)
해암(海巖) | 혜화동 로터리 분수 | 피는 꽃에서 잎이 이울 때까지 | 정의의 여신상 | 악법도 법인가? | 법외법(法外法) | 시작법(詩作法) | 신륵사행(行) | 어중간(於中間)

Ⅱ. 플루메리아 바람개비(1999)
하와이 풍경 | 대금 소리 | 후무후무 누쿠누쿠 아푸아아 | 초롱꽃 | 산이 날 에워싸고 | 하와이 향기 | 훌라춤 | 하와이 비(雨) | 어떤 때는 | 하나우마(Hanauma) 해변에서 | 파고다 콜로퀴엄(Pagoda Colloquium) | 플루메리아 바람개비 | “아 좋다” | 블루메리아 아줌씨: 미당 회상 | 하와이의 괴테 | 하와이 한인문학 | 100년의 와이파후(Waipahu)

Ⅲ. 동서의 길목에서(2004)
기차 타고 라인강 | 런던탑에서 | 까마귀 | 슈프레(Spree) 강변에서 | 벙커 힐(Bunker Hill)에서 | 워싱턴 정경(情景) | 구키 슈조(九鬼周造) 묘비 | 가쓰라가와(桂川)에서 | 라쿠시샤(落?舍)에서 | 화가산하(和歌山河) | 원추리꽃 | 예루살렘 통곡의 벽에서 | 인도 야생화

Ⅳ. 우면산(2005)
소망탑의 소망 | 마라난타여 | 우리 길(Our Way) | 유점사(楡岾寺) 약수터 | 늦가을 진달래 | 우면산 특별재난 | 명인뜨락의 처용랑 | 자는 소 등을 타다 | 우면산 바람 | 판사도 버리고

Ⅴ. 중국 여행(2005)
장강일회(長江一懷) | 만리장성의 눈 | 연경(燕京) 거리 | 홍콩 반월(半月) | 마카오 거리는 | 남경 가는 길 | 북경조조(北京早朝) | 천단(天壇)에서 | 호주야경(湖州夜景) | 봉래각(蓬萊閣)에서 | 용산사(龍山寺)에서 | 싸이전주(賽珍珠) 문화공원 | 임시정부 사료 진열관에서 | 진강별곡(鎭江別曲)

Ⅵ. 시 쓰는 법학자(2007)
청리(靑里) | 존재의 나무 | 한강에서 | 히나노 니나노 | 마우루루 | 부갱빌(Bougainville)공원에서 | 몽골 평원에 서면 | 솔롱고스 | 몽골 야생화 | 도산서원-다산초당 | 촉석루(矗石樓)에서 | 조선시를 쓴다 | 노래정(老來亭)에서 | 추사고택에서 | 흑산도 풀벌레 | 다산화사(茶山花史)

Ⅶ. 아름다워라 프라이부르크(2009)
하이데거의 들길 | 엘자흐 마을에 오면 | 드라이잠(Dreisam) 따라 | 은자로(隱者路) | 티티제(Titisee)에서 | 한 독일 여성 시인 | 프라이부르크대학 550주년에 | 프라이부르크 꾀꼬리 | 라인강 까마귀 | 토마 같은 그림을 | 탈, 탈, 탈 | 슈바르츠발트 속에서 | 호르벤(Horben) 산동네

Ⅷ. 춘원 따라 러시아 기행(2014)
오물(Omul)탕 | 반필로프 기념비 앞에서 | 비 내리는 바이칼 | 알혼섬 불한바위 | “더부러웃더라” | 춘원을 울린 편지 | 유대인 처녀 나탈리아 | 아스트라한스카야를 찾아 | 춘원우(春園憂) 청리수(靑里愁) | 치타(Chita)역에서 | 어디로 갈까?

Ⅸ. 괴테의 이름으로(2017)
괴테의 목소리 | 괴테의 그림 | 욥과 파우스트 | 풍류 도사 괴테(歌德) | 마인강 늴리리야 | 에커만 무덤 앞에서 | 달빛 속의 브로켄 | 모든 산정에는 | 달의 괴테 | 젊은 베르터의 Leiden | 키켈한(Kickelhahn) 산정에서 | 로마의 괴테 | 아르노강 변에서 | 마리엔바드에서 | 쿠어(Chur) 축제 | 빈(Wien) 시립공원에서 | 우면산 괴테 | 두 시인: 괴테와 다산 | 괴테형(型)-다산형(茶山型) | 괴테와 다산의 천상 대화 | 나의 메피스토

Ⅹ. 캠퍼스를 그리다(2016)
자하연에서 | 낙엽을 밟으며 | 추억의 솔밭식당 | 물망초 시절 | 관악 전설 | 대학나무 | 출근길에 | 관악사계(冠岳四季) | 등 넝쿨 아래서 | 캠퍼스를 그리다 | ‘라 세느’의 추억 | 마로니에여, 이젠 말하라 | 학림 추억 | 석양의 아크로에서 | 물소리를 그리다 | 내 연구실 | 파우스트가 서울대 오시면 | 수성묵화전(水聲墨畵展)에 | 유붕자원방래도(有朋自遠方來圖) | 관악산 자추지교(紫秋之交)

XI. 펄 벅 사랑하기(2018)
부천 펄벅기념관에서 | 사향비(思鄕碑) | 회상의 펄 벅 | 박화성 문학관에서 | 대지의 갈대 | 하우고개에서 | 명인뜨락에 온 최진주 | 펄 벅 사랑하기 | 벅과 박: 『대지』와 『토지』 | 펄 벅의 세종대왕 | 어느 신명여고생 | 촛불 하나 켜는 것이 | 향정헌의 최진주 | 모란꽃과 찔레꽃 | 펄 벅을 아시나요? | 청산(Green Hills) 가자 | 금아(琴兒)의 진주(珍珠)

XII. 공간시낭독회
평화시장에서 | 법 동네 시 동네 | 수연송별기(水然送別記) | 꽃병 하나 | 양수리(兩水里)에서 | 실크로드 경주(慶州) | 자서시(自敍詩) | 초당동 소나무처럼 | 국악박물관에서 | 보리밭 | 연꽃 만나러 가는 길 | 서울 만남 | 순수감정어 | 존재(存在) | 물새 발자욱 | 밤의 명인뜨락 | 음용 부적합 | 유명한 무명 시인 | 시경루(詩境樓) | 과지초당(瓜地草堂)에서 | 사이를 흐르는 강 | 판전(板殿)에서 | 칸트 씨 목도리 | 길 | 대지월(大地月) | 딜쿠샤 1923 | 기억의 바다 | 풍류인 | 고운(孤雲) 쌍녀분(雙女墳) | 덕수궁 정관헌(靜觀軒)에서 | 대한문(大漢門)에서 | 감아, 감아 | 서울 살기 | 2020년 부활절 | 나의 아카시아 | 만파식적(萬波息笛)이여

XIII. 최종고 동시선
소꿉장난 | 개미 장날 | 공 받기 | 울타리 구멍 | 아기 밥 | 가을밤 | 까치밥 | 접시꽃 | 우리 집 골목길 | 풍금 소리 | 소쩍새 | 기차역 | 신작로 | 고무신 배 | 아리랑 합창단 | 쌀밥 보리밥 | 낡은 내 책상 | 남북통일만 되면 | 시계 밥 주기 | 외나무다리 | 산길 | 은하수 | 책 읽는 동네 | 동시 꽃피는 마을 | 펄 벅 할머니 | 명인뜨락 춤 할아버지

해설
이렇게 생각한다 - 최종고 교수와 시문학 / 김용직(서울대 명예교수, 학술원 회원)
시와 같이 세계를 여행하면서 역사와 인물과 자연을 만나는 시집 / 신현득(아동문학가·시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