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밖 인문학 콘서트
로즈
2025-01-24 09:28
69
0
본문
교실밖 인문학 콘서트

도서명 : 교실밖 인문학 콘서트
저자/출판사 : 백상경제연구원, 스마트북스
쪽수 : 420쪽
출판일 : 2020-11-20
ISBN : 9791190238274
정가 : 18500
프롤로그 경계를 허물고 통섭의 시대로
_10만 명이 함께한 서울시교육청 인문학 강좌
신화
1장 유럽 신화, 완전 첫걸음 | 김윤아
1 신화가 뭐길래? _기원에 관한 오랜 이야기
신화의 정의 | 세계관으로서의 신화 | 신성한 이야기 | 신화와 역사, 신화와 종교의 관계 | 신화의 지역성 | 국가 신화 | 신화와 상상력
2 지중해 날씨처럼 밝고 낙관적인 불멸의 신들 _그리스 신화
그리스·로마 신화? | 그리스 신화와 작가들 | 우주의 창조 | 올림포스의 12신
3 인간에게 자신들의 땅을 내준 아름다운 신들 _켈트 신화
해리 포터와 켈트 신화 | 켈트는 어디? 켈트인은 누구? | 켈트 『침략의 서』 | 백조는 신의 아이들 | 마법의 숫자 3 | 독특한 저승관 | 아더 왕 전설
4 얼어붙은 바다와 오로라가 만들어낸 웅장하고 비장한 세계 _북유럽 신화
세계의 시작 | 북유럽 신화의 세계관 | 북유럽 신화 속 신들 | 신들의 황혼 라그나뢰크와 〈어벤져스: 엔드게임〉
철학
2장 살면서 갖고 싶은 다섯 가지 | 윤은주
1 내 삶을 사랑하기 _플라톤의 『향연』
사랑, 그 흔한 이름 | 홀로 서는 사랑 | 사랑 이야기에 푹 빠지다 | 사랑에 이르는 길은 열공?
2 자유 찾아 떠나기 _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제발 나를 그냥 놔두시오 | 나만의 자유가 가능할까? | 캡틴 아메리카 vs. 아이언맨
3 두 번째여도 행복하기 _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 좋은 삶, 행복한 삶 | 마땅한 자리를 찾아 앉아야 행복해지는 법
4 켄타우로스의 지혜로 권력 갖기 _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대한민국 헌법 제1조 2항 | 켄타우로스의 이중성 | 좋은 권력, 나쁜 권력
5 세상의 주인공, 나를 찾기 _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정치적인 것은 자유의 실현 | 생각할 권리, 말할 권리 | 돌다리도 한 번쯤 두들겨 보자
3장 철학하는 삶이란? | 김숙
1 철학이란 무엇인가? _철학하는 삶
철학을 한다는 것 | 최초의 철학자부터 현대 철학까지 | 우리가 지금 고민해야 하는 것
2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는가? | 사람과 사람 사이 | 로봇은 인간을 대신하게 될까?
3 과학기술 만능 시대, 주객전도 현상이 만연해지다
프로그램에 빠져드는 사람들 | 사람 같아지는 로봇, 로봇 같아지는 사람 | 고민할 필요도 없던 문제들이 발생하다
4 팬데믹 시대,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
우리의 정원은 우리가 가꾸어야 한다 | 물음이 없다면 배움도 없다
5 철학의 역사성, 나의 철학하는 삶
철학함이란? | 여러분에게 X란 무엇인가?
문학과 예술
4장 자아의 발견 | 한현숙
1 넌 누구니?: ‘나’를 찾아서 _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
무슨 놈의 이름이 그러니? | 나를 지키기 위한 싸움 | 자기 존재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다
2 모자 거꾸로 쓰기: 그래도 너의 길을 찾으라 _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모자 거꾸로 쓰기 | “사실은 두렵고 혼란스러워” | 자아 성찰의 실패 | 인정하기,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기
3 내 삶의 주인 되기: 선택의 자유와 역사의 짐 감당하기 _로이스 로리의 『기억 전달자』
안정, ‘늘 같음’ 상태 | 선택의 자유 누리기 | 조너스의 용감한 선택, 기억의 짐 감당하며 미래로 나아가기
4 되고 싶은 나: 고결한 인간 _찰스 디킨스의 『위대한 유산』, 마크 트웨인의 『허클베리 핀의 모험』
핍의 진정한 신사 되기 | 허크의 문명사회 탈출기 | 내 신발은 내 발에 맞게
5장 원작과 함께 영화 읽기 | 최은
1 꿈꾸는 ‘개츠비’들을 위한 위로의 한마디 _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와 바즈 루어만 감독의 〈위대한 개츠비〉
작가 피츠제럴드와 금주법 시대의 개츠비 | 안에 있으나 밖에 있었던 인물, 닉 | 심판자의 눈: “신께서는 다 아시지” | 개츠비는 (왜) 위대한가?
2 여성이 쓰고 만든 여성들의 이야기 _루이자 메이 올컷의 『작은 아씨들』과 그레타 거윅의 〈작은 아씨들〉
작가가 된 둘째 딸, 루이자 메이 올컷 | ‘작은 아씨들’, 세 명의 작가 | 질투하고, 사랑하고, 아프면서도 꿈을 꾸는 여성들 | 베스의 꿈이 만들어 낸 유토피아 | 어떤 이야기를 쓸 것인가?
3 뒤바뀐 여성과 남성의 미덕 _제인 오스틴의 『에마』와 어텀 드 와일드의 〈엠마〉
연애담과 중매를 즐기던 비혼주의자, 제인 오스틴 | 21세기의 엠마는 무엇이 다른가? | 전복의 상상력 : 여성과 남성의 미덕 바꾸기
4 더 나은 세상을 꿈꾸다 _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과 톰 후퍼의 〈레미제라블〉
낭만주의 작가, 현실 정치인, 빅토르 위고 | 노래로 다시 쓴 레미제라블 | 장발장의 자비(사랑)와 자베르의 정의(법) | 사랑과 자비가 지닌 힘
5 혈연을 넘어서는 가족 _위화의 『허삼관 매혈기』와 하정우의 〈허삼관〉
피를 뽑아 판다고? | 중국 근현대사와 위화의 『허삼관 매혈기』 | 반전 없는 드라마, ‘매혈기’보다는 ‘허삼관’의 영화 | 혈연을 넘어서는 가족
6장 필환경 시대, 문학에서 길을 찾다 | 한현숙
1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_윌리엄 워즈워스와 메리 올리버의 시
자연으로부터 소외된 삶 | 자연은 인간 삶의 원동력이자 성장의 어머니 | 삶은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게 달렸나니
2 경제발전과 진보 신화에 경종을 울리다 _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
간소하게, 간소하게 살라! | 실은 철로가 사람 위를 달리는 것이다 | 자연처럼 진실되고 자유롭게
3 유토피아를 다시 생각하다 _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공유, 균등, 안정 | 문명과 야만 | 우리 안의 자연, 인간다움의 훼손 | 과연 자유롭고 인간답게 사는 것은 무엇일까?
4 인간 종말 리포트: 바이러스가 인간을 집어삼킨 세상 _마거릿 애트우드의 『오릭스와 크레이크』
인간이란 존재는 질병이야 | 멸망으로 향하는 사회 | 인간 종말 그 이후
7장 단박에 읽는 서양 미술사 | 백지희
1 예술이란 무엇인가? _모나리자의 변신에는 이유가 있다
기원과 삶을 기록한 고대미술 | 20세기, 예술의 종말 선언 | 모나리자의 변신 | 레디메이드 미술
2 형상에서 개념으로 _고대부터 르네상스까지
하나이자 세 개인 의자 | 모방과 재현에 치중했던 미술 | 예술이라는 본질적 원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 아름다운 비례, 이집트의 캐논 | 이성의 세계에서 감성의 세계로, 그리스와 로마 시대 | 초월적 세계에 대한 열정, 중세 미술 | 자연을 바라보는 창, 르네상스 미술 | 화가들을 재는 저울, 아카데미 미술
3 19세기 인상주의부터 현대 개념미술까지
다양한 양식의 등장과 소멸 | 보이는 대로 그리려던 사람들, 인상주의 | 색채의 해방, 야수주의 | 형태의 해체, 입체주의
4 어떠한 것도 예술이 된다 _컨템포러리 아트
순수성의 추구, 추상회화 | 예술이 된 소변기, 뒤샹 | 전위의 시대, 국제 아방가르드 | 미국의 아이콘, ‘드리퍼 잭’ | 대량생산의 미술 팝아트, 앤디 워홀 | 미술의 다원화 시대가 열리다
스토리
8장 이야기꾼 프로젝트 | 김나정
1 스토리텔링은 무엇일까? _이야기로 전달하기
호모 나랜스, 이야기하는 존재 | 스토리텔링의 시대
2 이야기 만들기의 첫발 _아이디어 채집
나는 어떤 이야기를 잘 쓸까? | 아이디어: 이야깃거리 발견!
3 이야기판을 깔자 _배경, 세계관 설정
언제, 어디서 | 세계관 설정하기
4 이야기의 핵심 _캐릭터 만들기
캐릭터 형상화
5 플롯 짜기
윤곽 그리기
역사와 미래
9장 역사 속 뉴노멀의 현장을 가다 | 김선아
1 종교의 힘으로 에스파냐를 몰아내다 _네덜란드 독립전쟁
강력한 종교탄압 | 왜 칼뱅교였을까? | 네덜란드가 독립국가가 되기까지
2 왕도 지켜야 할 것이 있다 _영국 내전
찰스 1세의 적자 재정 | 의회의 시간
3 부패한 영국과 결별하자 _미국 독립전쟁
영국과 식민지의 대립 | 누가 먼저 총을 쏠 것인가?
4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 _프랑스혁명
귀족과 제3신분의 동상이몽 | 유럽 최초의 국민총동원령
5 모두가 주인인 세상을 꿈꾸며 _러시아혁명
황제권의 약화 | 최초의 사회주의 공화국 탄생
10장 새로운 접촉문명, 온택트 시대 | 이준정
1 글로벌 접촉의 신조류 _새로운 생존전략, 온택트
예측할 수 없는 감염병 | 생존전략으로 등장한 온택트 문명 | 온라인 유료공연, BTS 〈방방콘〉 | 트롯신들의 랜선 버스킹 | 온라인 회의 및 강의 시대 | 새로운 선택이 필요한 때
2 온라인 접촉기술의 발전 _회상회의부터 모바일 라이브 판매까지
주주총회 라이브 방송 | 팬데믹 시대의 뉴노멀 | 온라인 라이브 이벤트의 확산 | 홈쇼핑 대신 모바일 라이브 판매
3 가상과 현실의 접속 시대 _일상에 스며드는 증강현실 기술
일터로 스며든 스마트 안경 | 가상 작업공간으로 출근하기 | 가상을 현실공간에 혼합하는 시대로
4 온택트 시대의 인재 _생각할 수도 없던 일을 상상하기
매뉴얼에만 의존할 수 없는 사회로 | 생각할 수도 없는 일을 상상하는 힘 | 디지털 시대의 미래 인재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