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경에서 한양까지. 1: 권력투쟁으로 본 조선 탄생기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개경에서 한양까지. 1: 권력투쟁으로 본 조선 탄생기

로즈
2025-01-24 09:28 83 0

본문




개경에서 한양까지. 1: 권력투쟁으로 본 조선 탄생기
9791156121787.jpg


도서명 : 개경에서 한양까지. 1: 권력투쟁으로 본 조선 탄생기
저자/출판사 : 이승한, 푸른역사
쪽수 : 340쪽
출판일 : 2020-11-30
ISBN : 9791156121787
정가 : 16500

고려 왕실 세계
시작하며

제1장 우왕의 즉위와 명사 살해 사건
1. 공민왕 시대 개관
격동의 공민왕 시대|공민왕의 친명반원 외교|공민왕 시대의 역사적 의미와 평가
2. 명사 살해 사건
우왕의 즉위와 이인임|우왕 즉위 전후 일련의 사건들|명사 살해, 그 배후는?|북원의 개입과 심왕|신진사대부의 저항, 정도전의 유배|이인임의 반격|이인임은 누구인가|민감한 심왕 문제|신진사대부는 왜 친명사대를 주장했을까?

제2장 이인임 정권, 명과 북원 사이에서
1. 이인임 정권
도당, 집단지도체제|저항하는 대간|골칫거리, 우왕 생모 반야|유배당한 김속명|무장의 성장을 견제하다|일본 통신사 나흥유|명의 정료위와 북원의 나가추|북원과의 교섭|왜구 방어를 둘러싼 갈등|2인자 지윤|도당의 확대|북원의 연호를 채택하다|지윤, 제거당하다|3인체제|해도원수 정지 장군
2. 명과 북원 사이에서
성과 없는 일본행 사신|북원의 군사 요청|명의 홍무 연호를 다시 채용하다|강경해진 명의 태도|태후까지 나선 대명외교|고려 사신을 거부한 명|사신단 구성의 문제|주원장의 고려 길들이기|이성계의 ‘안변책’|이성계와 정도전, 정몽주|이인임을 폭로한 사신 김유|행례사 김구용|조공 문제, 타결을 보다|주원장이 반긴 사신 정몽주
3. 이인임 정권과 최영
천도를 반대한 최영|끈질긴 천도론, 왕조의 위기|정권의 친위대, 임견미ㆍ염흥방ㆍ도길부|성년에 들어선 우왕|우왕의 저항, 주변의 문신|이인임과 최영 그리고 경복흥|이성계의 등장, 운봉전투|반발하는 우왕, 측근의 환관|이인임과 최영, 일선 후퇴|우왕의 한양 파천|우왕을 탓하는 간관, 우왕을 위하는 환관|우왕의 인사권 찾기, 수상 최영|수상 임견미, 밀려난 최영

제3장 요동정벌과 위화도 회군
1. 명과의 관계 회복과 권력 변화
임견미 정권과 북원|우왕의 여성 편력|우왕과 최영|주원장의 승인이 떨어지다|순조로운 대명관계|우왕의 반격|말 교역 문제|주원장의 경고|이이임의 은퇴, 우왕의 인사권
2. 철령위 문제와 최영의 요동정벌
주원장의 불신|정권 붕괴의 발단, 조반 사건|이성계, 사건에 뛰어들다|일망타진, 정권의 몰락|최영의 독주와 이성계|철령 이북의 땅, 유민 문제|최영은 왜 요동정벌에 나섰을까?|이성계의 4불가론|요동정벌은 친명사대를 부정하기 위해서
3.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우왕 폐위
회군 전야|회군은 사전에 계획된 군사정변|회군의 성공, 최영 유배|이성계의 사람들, 그리고 조준|우왕 폐위, 창왕 옹립|주원장은 회군을 어떻게 판단했을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