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폴라 일지 또는 동학과 서학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나의 폴라 일지 또는 동학과 서학

땅끝
2025-03-03 10:33 103 0

본문




나의 폴라 일지
9791172132057.jpg


도서명 : 나의 폴라 일지
저자/출판사 : 김금희, 한겨레출판사
쪽수 : 320쪽
출판일 : 2025-01-30
ISBN : 9791172132057
정가 : 18500

1 책, 캐리어 그리고 천사들
‘없는’ 행성으로 / 그 여름, 버디 라인 / 아 유 오케이? / 나는 비펭귄 인간

2 작은 눈사람들의 세상
여름 언덕의 펭귄들 / 이상한 관찰자 / 그 카펫은 밟지 마 / 식물 수업

3 대기의 강
남극의 독학자 / 언니네 ‘공기밭’/ 비닐 금지 / 황금빛 이끼 숲 / 해피 뉴 이어

4 명명의 세계
먼저 떠나는 사람들 / 남극해를 걷다 / 유령들 / 따뜻하게, 더 따뜻하게

5 나의 폴라 속으로
천사도 가끔 거짓말을 한다 / 고래의 첫 숨 / 거꾸로 된 달의 얼굴 / 안녕, 펭귄

에필로그 태어나서 내가 가장 잘한 일
부록 나의 남극 사진 일지




동학과 서학
9791166292187.jpg


도서명 : 동학과 서학
저자/출판사 : 이은선 , 최대광 , 김정숙 , 정경일 , 김응교 ,, 모시는사람들
쪽수 : 416쪽
출판일 : 2025-01-20
ISBN : 9791166292187
정가 : 33000

서문

제1부
참 인류세를 위한 동학(東學)과 서학(西學), 그리고 신학(信學) / 이은선
1. 시작하는 말-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과 더불어 살펴본 한국 사회와 인류 문명의 위기
2. 서구 ‘근대성(modernity)’ 논의와 유학(儒學) 그리고 동학(東學)
3. 근대 서학(西學)의 힘과 그 사각지대는 무엇이었는가?
4. ‘다시 개벽’의 동학(東學), 그 혁명적 힘과 새로움에 대하여
5. 서학의 ‘신학’(神學)과 동학의 ‘천학’(天學)에서 지구 ‘신학(信學)’으로
6. 짧은 마무리-한국 여성영학(靈學)으로서의 한국 신학(信學)

제2부
동학의 수행과 기독교 영성의 전위적 만남 / 최대광
1. 들어가는 말
2. 수운의 다시 개벽(開闢)-개벽의 영성적 현재화
3.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다바르의 전위적 해석과 영혼 속 그리스도의 탄생
4. 다시 개벽, 시천주를 일상으로-마이스터 에크하르트를 통한 양천주의 전위적 해석
5. 나오는 말-기독교적 만트라와 일상의 수행을 향하여

구원 신학으로서의 초월적 휴머니즘 / 김정숙
1. 여는 말
2. 동학과 하시디즘, 그 태동의 자리-19세기 수운 최제우와 18세기 바알 셈 토브
3. 수운 최제우의 구원 신학과 바알 셈 토브의 구원 신학
4. 초월적 휴머니즘-현세적·내재적 메시아들의 계속되는 개벽의 역사
5. 닫는 말

‘내면의 빛’과 ‘시천주’ / 정경일
1. 여는 말-인간의 위기와 종교의 위기
2. 왜 퀘이커와 동학인가?
3. 조지 폭스와 수운 최제우의 삶과 종교체험
4. 종교체험의 사회화
5. 제도 종교를 넘어-일상의 성화
6. 맺는말-모두를 위한 퀘이커와 동학

제3부
동아시아 문학이 보는 ‘가족’, 그리고 동학과 기독교 / 김응교
1. 가족에 대한 인식
2. 나쓰메 소세키가 본 천황 중심 가족국가
3. 식인사회와 루쉰
4. 동학의 시천주, 사인여천, 한울님 가족
5. 예수의 하나님 가족, 오이케이오스
6. 전근대를 극복하는 영적 가족관

명멸하는 개벽과 신국 / 이찬수
1. 들어가는 말
2. 개벽 개념의 역사와 신국
3. 두 용어의 관계, ‘다시 개벽 ≤ 후천개벽’
4. 개벽과 신국을 경험하는 방식
5. 일본적 개벽의 흔적, 다나카 쇼조의 경우
6. 개벽과 신국의 양면성, 디지털 세계의 경우
7. 물질개벽에 종속된 정신개벽
8. 인류세 시대, 개벽을 개벽하기
9. 비인간 존재들의 신국론, 지구 중심적 개벽론
10. 명멸하는 개벽

오심과 모심 / 이찬석
1. 시작하는 말
2. 오심-몰트만의 오심의 종말론
3. 모심-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의 모심의 종말론
4. ‘오심의 종말론’과 ‘모심의 종말론’의 상호적 대화
5. 나오는 말-‘오심-모심’의 종말론을 꿈꾸며

제4부
동학과 개벽 신학 / 이정배
1. 들어가는 글
2. 동학 개벽사상의 연구 추세와 상호 논쟁점
3. ‘다시 개벽’의 오리지널리티-선진 유학을 넘어 ‘단군신화’에로
4. 『천부경』의 삼재론과 역사 유비를 통한 ‘개벽 신학’의 틀 짜기
5. 기독교의 동학적 재구성과 개벽 신학의 세 토대-공(空)·공(公)·공(共)
6. 짧은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