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학생 교육 또는 집중의 뇌과학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청각장애학생 교육 또는 집중의 뇌과학

땅끝
2025-03-03 10:33 95 0

본문




청각장애학생 교육
9788999732195.jpg


도서명 : 청각장애학생 교육
저자/출판사 : 최성규 , 김혜진 , 박찬희 , 이아름 , 정미라 ,, 학지사
쪽수 : 320쪽
출판일 : 2025-01-15
ISBN : 9788999732195
정가 : 22000

머리말

제1장 청각장애의 이해
1. 청각장애교육의 이분법 시각의 이해
2. 용어의 이해
1) 청각장애의 개념
2) 청각장애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 재고
3) 청각장애 용어의 정의
3. 소리의 이해
1) 주파수 2) 음압
3) 음성의 발성 및 청각적 이해

제2장 청각기관의 이해
1. 귀의 구조
2. 소리의 전달경로
1) 외이 2) 중이
3) 내이 4) 청신경 기관
3. 전음성과 감음신경성 청각장애의 이해
1) 청력손실 부위 2) 청력손실 정도
3) 보청기 착용효과 4) 어음변별력 및 명료도
5) 수술 및 약물치료 6) 임피던스 청력검사

제3장 출생과 발달
1. 청각장애의 출현율
2. 청각장애의 원인 및 시기
1) 청력손실 원인 2) 청력손실 시기
3. 정서 및 인성발달
1) 정서발달 2) 인성발달
4. 인지 및 지능발달
1) 인지발달 2) 지능발달
5. 도덕성발달
1) 기본적 개념 2) 도덕성발달 단계
6. 가족 지원

제4장 언어와 사고
1. 언어와 사고의 이해
1) 계통발생학과 개체발생학의 이해 2) 컴퓨터를 통한 언어와 사고의 이해
3) 유아와 성인의 언어와 사고
2.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와 사고의 이해
1) 가청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부모와 상호작용
2) 일대일 대응 3) 연상력
3. 정보처리 모형
1) 감각기관의 정보처리 2) 작업기억
3) 단기기억 4) 장기기억
5) 대뇌 6) 시각정보와 청각정보
4. Vygotsky의 언어와 사고

제5장 언어발달
1. 청각장애아동의 언어발달: 연령별 특성
1) 전 언어 단계(0~12개월) 2) 단 단어 단계(12~18개월)
3) 초기 단어 결합 단계(18~24개월) 4) 복합 단어 결합 단계(만 2~3세)
5) 문법적 발달 단계(만 3~4세) 6) 유사 성인 언어발달 단계(만 5세 이후)
2. 청각장애아동의 초기 언어발달의 이해
1) 초기 언어와 문해발달의 연관성 2) 초기 문자 언어발달의 유사성
3. 청각장애학생의 문자언어 발달
1) 듣고 말하기, 읽고 쓰기의 연계성
2) 국어의 문법론 발달
3) DCDP(Deaf Children of Deaf Parents)의 국어 문법론 이해
4) 수어의 언어적 자질: 한글파일과 PDF파일의 이해
5) 청각장애학생의 일기문 분석
6) 청각장애학생의 언어발달 지원 방안
언어교육방법론
1. 구어교육
1) 청능훈련 2) 독화지도
3) 말·언어지도
2. 수어교육
1) 수어의 이해 2) 문법수어와 한국수어
3. 2Bi 접근법
1) 이중문화 2) 이중언어
4. 언어교육방법론의 선택과 교육의 효율성

제7장 학교 교육
1. 한국 특수교육의 역사
2. 교육환경과 학업성취
3. 통합교육
1) 청각장애학생 변인 2) 교사 변인
3) 환경 변인
4. 청각장애학교
1) 교육과정 운영 2) 교과교육

제8장 순음청력검사
1. 청력도
2. 순음청력검사
1) 기도검사 2) 골도검사
3) 기도검사와 골도검사의 결과에 대한 설명
4) 차폐검사 5) 평균청력손실 정도
6) 청력도 표기 방법

제9장 어음청력검사 및 객관적 청력검사
1. 어음청력검사
1) 어음가청역치(어음 최소가청역치)
2) 어음변별력/명료도 검사(speech discrimination/recognition test: SDT/SRT)
3) 최대가청역치 4) 최적가청역치
2. 객관적 청력검사
1) 임피던스 청력검사 2) 이음향방사검사
3) 청성뇌간반응 검사

제10장 보청기
1. 보청기 개발의 역사
2. 보청기의 구조
3. 보청기 분류
1) 보청기의 착용 위치에 따른 분류 2) 신호처리 방식에 따른 분류
3) 집단용 보청기
4. 첨단 보청기 개발
1) 다중(다방향) 마이크로폰 2) 인공 뇌간
5. 보청기 적합검사
1) 외형 및 작동 상태 2) 전기음향적 기능 확인
6. 보청기 착용지도
1) 보청기의 음성언어 처리 2) 보청기 작동 여부 점검
3) 건전지 종류 및 교체 4) 보청기 착용과 적응
5) 하울링 관리 6) 보청기 관리
7) 집단용 보청기 사용을 위한 개인용 보청기 관리

제11장 인공와우
1. 인공와우 개발의 역사
1) 개발의 서막 2) 전기 에너지 연구
3) 인공와우 개발 4) 인공와우 개발의 과제
2. 인공와우 개발 회사
3. 인공와우 구조
4. 인공와우 시술 대상
1) 청력손실 부위 2) 보청기 착용의 한계
3) 어음변별력의 한계 4) 보건복지부의 인공와우 시술 기준
5. 인공와우 시술 및 관리
1) 시술 2) 회복
3) 활성화 4) 시술 후 관리
6. 인공와우 매핑
1) 어음처리기의 신호처리 방식 2) 프로그래밍
제12장 청각중복장애
1. 개요
2. 청각중복장애학생의 이해
1) 언어발달 2) 놀이발달
3) 대근육 발달
3. 교수학습 방법
1) 청각중복장애학생의 특성 2) 교사의 신념
3) 청각중복장애학생의 수업 지원
4. 학교 교육
1) 문해력지도 2) 수학지도
3) 과학지도 4) 일상생활 지도
5) 전환교육 6) 자기결정 기술
7) 의사소통 기술 8) 특수교육지원인력 활용
5. 청각중복장애의 장애 유형별 지원

제13장 전환교육
1. 전환교육
1) 전환교육의 이해 2) 청각장애학생의 전환계획
2. 홀랜드(Holland) 모형
1) Holland 모형의 이해
2) Holland 모형의 적용
3)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Holland 모형의 적용
3. 청각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전환 지원
1) 청각장애대학생의 학교생활 2) 대학교 전환지원계획
3) 미국 Gallaudet 대학교 유학
4. 청각장애인의 직업
1) 장애인 직업 능력 평가 2) 장애인 고용률
3) 청각장애인 직종 4) 청각장애학교 졸업생의 취업 현황
5) 청각장애학생의 직업적성검사
5. 평생교육
1) 개인차 극복을 위한 네트워크 학습
2) 개별화에서 개인화 중심
3) 제도권 지원과 비제도권 지원의 공존
4) 소비에서 프로슈머로 탄생
6. 학교 교육 지원 방안
1) 교육과정 지원 2) 인적·물적 자원 확충

참고문헌
찾아보기




집중의 뇌과학
9791139718805.jpg


도서명 : 집중의 뇌과학
저자/출판사 : 가바사와 시온, 현대지성
쪽수 : 216쪽
출판일 : 2025-02-12
ISBN : 9791139718805
정가 : 16900

추천의 글
들어가며: 집중력이 바뀌면 인생의 모든 것이 바뀐다
성공한 사람들의 유일한 공통점, 집중력 | 간단한 훈련으로 집중력을 개선할 수 있다 | 번아웃이던 내가 수입 3배 성장에, 폭발적인 성과를 거둔 비결

PART 1 당신의 뇌가 경험하는 가장 강력한 순간, 몰입의 비밀
1. 디지털 블랙홀에서 당신의 뇌를 구하라
당신의 집중력이 위험하다 | 스마트폰이 삼킨 우리의 집중력 | 인공지능이 불러온 중독의 시대
2. 집중력이 떨어지는 순간을 알려주는 경고 신호들
피로가 쌓이면 집중할 수 없다 | 번아웃 직전, 전두엽이 보내는 SOS | 뇌의 RAM이 꽉 찼다
3. 집중에서 몰입으로 도약하기
주의력과 집중력의 차이 | 최고조를 거쳐 몰입에 들어가는 기술 | 뇌과학이 밝혀낸 몰입의 메커니즘
4. 몰입형 인재의 9가지 습관
최상의 컨디션을 만드는 6가지 최적화 세팅 | 몰입의 3가지 조건: 맑은 뇌, 적정 난도, 한 우물

PART 2 중요한 것만 정확하게 기억하는 입력의 기술
1. 작업 기억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집중력을 결정하는 첫 단추, 작업 기억력 | 작업 기억의 용량은 늘릴 수 있다 | 작업 기억력을 개선하는 쉽지만 확실한 습관
2. 멀티태스킹은 집중을 방해하는 주범
멀티태스킹이라는 허상에서 벗어나라 | 두뇌와 신체를 동시에 자극하는 이중 작업 | 음악을 듣는 것도 멀티태스킹일까?
3. 기억력이 아닌 메모의 힘을 믿어라
메모는 망상 활성계를 자극한다 | 중요한 것만 종이에 손으로 쓸 것
4. 당신은 스마트폰을 스마트하게 사용하고 있는가?
스마트폰으로 읽은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이유 | 디지털 치매를 최소화하려면
5. 집중력과 작업 기억을 개선하는 뇌 훈련법
적게 담아야 깊이 남는다 | 3포인트 법칙: 뇌가 가장 잘 받아들이는 정보의 양 | 자격시험 준비로 뇌를 깨워라 | 평생 학습이 만드는 슈퍼 브레인

PART 3 실수 없이 최고의 생산성을 발휘하는 출력의 법칙
1. 당신의 업무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 집중력
2. 뇌의 리듬을 이해하면 실수가 줄어든다
고성과의 비밀, 90분 집중력 법칙 | 실수가 집중되는 시간과 요일을 피하라 | 집중의 지속 시간을 늘려라 | 일정을 너무 빠듯하게 잡지 말 것
3. 뇌의 생산성을 높이는 최고의 도구, 투두리스트
투두리스트의 숨겨진 효과 | 집중도를 반영한 가바사와 투두리스트 | 일이 안 될 땐 일단 화이트보드에 쓰자
4. 실수 없이 성과를 내는 일잘러의 기술
‘하나씩 순서대로’가 가장 효율적이다 | 미룬 일은 투두리스트에 기록하라 | 완벽한 시작보다 빠른 완성이 중요하다

PART 4 지치지 않고 꾸준히 집중하기 위한 힘, 자기통찰력
1. 나를 알아야 집중력을 개선할 수 있다
내 상태를 진단하는 3단계 질문법 | 자기통찰력을 길러야 하는 이유
2. 자기통찰력을 길러주는 쉽고 간단한 기록 습관
일기를 쓰면 마음이 보인다 | SNS는 인생의 낭비가 아니다
3. 나를 돌아볼 여유는 철저한 준비에서 나온다
종이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라 | 불안에는 대책이 특효약 | 실수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 부주의 줄이기
4. 걱정에서 벗어나 더 나은 내가 되는 루틴
잡념을 없애주는 습관과 행동, 루틴 | 점수를 매기며 나의 변화 관찰하기

PART 5 필요한 것만 남기고 모두 비우는 뇌 맞춤 정리법
1. 머릿속을 정리해야 뇌를 최적화할 수 있다
끝낸 일은 빨리 잊고 머리를 비우자 | 이동 시간을 뇌 정리 시간으로 | 멍 때리기는 뇌를 재정비하는 시간
2. 실패 경험을 정리해야 나아갈 수 있다
실패에서 배우는 방법, 피드백 | 술은 즐거운 일이 생겼을 때 마시자 | 일이 힘들었던 날일수록 운동하라
3. 감정을 잘 다스리는 사람이 집중력도 높다
하소연은 15분이면 충분하다 | 트라우마를 불러일으키는 분노와 공포 | 웃으면 부정적인 감정이 사라진다
4. 스트레스 호르몬과 뇌 건강
스트레스의 두 얼굴 | 스트레스를 받으면 기억력이 나빠진다? | 당신이 피곤할 때 몸 안에서 일어나는 일
5. 휴식의 골든타임, 잠자기 전 2시간의 비밀
뇌가 원하는 휴식의 시간 | 뇌 컨디션을 개선하는 7시간 수면의 중요성 | 수면제는 당신의 잠을 지키지 못한다

마치며: 오늘부터 시작하는 나만의 뇌 습관
참고 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