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땅 다른 나라: 고려와 조선 또는 2025 세무회계연습 1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같은 땅 다른 나라: 고려와 조선 또는 2025 세무회계연습 1

땅끝
2025-03-03 10:33 151 0

본문




같은 땅 다른 나라: 고려와 조선
9788910980421.jpg


도서명 : 같은 땅 다른 나라: 고려와 조선
저자/출판사 : 공창석, 박영사
쪽수 : 504쪽
출판일 : 2025-01-20
ISBN : 9788910980421
정가 : 23000

제 1 장 고려 황제 왕건, 조선 왕 이성계 2
왕건과 이성계의 어진 5
왕건은 건국의 기획자, 이성계는 건국의 얼굴마담 8
황제 왕건과 제후 이성계는 품격이 달랐다 15
왕건의 행복한 죽음, 이성계의 고독한 죽음 19
제 2 장 고려의 개경 나성(羅城), 조선의 한성 도성(都城) 24
한국과 중국의 성(城), 무엇이 다를까? 27
황제의 나성, 제후의 도성 29
개경 나성, 중국 사신 서긍(徐兢)이 찬탄하다 31
개경 나성은 한성 도성보다 얼마나 클까? 35
제 3 장 고려의 광화문, 조선의 광화문 42
조선은 왜 광화문으로 이름 지었을까? 46
세종로 폭 100m의 비밀과 격구 53
제 4 장 고려 개경의 중앙시장, 조선 한성의 중앙시장 64
중앙시장 건립, 고려가 조선보다 20년 빠르다 68
중앙시장의 위치, 고려가 조선보다 훨씬 요지다 71
고려와 조선의 중앙시장, 누가 더 크나? 76
화려한 십자거리시전, 밋밋한 종로시전 79
제 5 장 축제하는 고려 시장, 제사 지내는 조선 시장 86
십자거리시전의 축제, 격구와 공연을 즐기다 90
종로시전의 제사, 지신밟기와 복가지 타기 98
제 6 장 대접받는 고려 상인, 천대받는 조선 상인 108
상인의 위상, 고려는 높고 조선은 낮다 112
상인의 관직 진출, 고려는 열렸고 조선은 막혔다 115
상인의 행정관리, 고려가 조선보다 나았다 123
상인의 역량, 고려가 조선보다 우월하다 130
상인의 생활문화, 고려가 조선보다 풍요롭다 135
제 7 장 고려는 국제 항구, 조선은 국내 항구 142
국제 항구, 고려는 있고 조선은 없다 146
예성항의 시와 노래 그리고 벽란정 151
조선의 대표 항구 마포와 ‘마포나루 굿’ 160
제 8 장 무역하는 고려 왕, 농사짓는 조선 왕 164
고려 왕은 무역으로 비자금을 벌었다 168
조선 왕은 땅에서 비자금을 벌었다 182
제 9 장 화폐 선진국 고려, 화폐 후진국 조선 198
고려는 화폐 선진국이었다 204
성종, ‘화폐 있는 세상’을 만들다 204
숙종, ‘화폐의 왕’으로 불려도 좋다 215
조선은 화폐 후진국이었다 220
태종과 세종, 화폐 발행에 실패하다 221
숙종의 상평통보, 조선의 대표 화폐가 되다 228
고종의 당백전과 당오전, 망국을 초래하다 231
고려와 조선의 화폐 종합 비교 234
제 10 장 인권 있는 고려 노비, 인권 없는 조선 노비 238
황제 광종, 노비를 해방하다 241
왕(제후) 세종, 노비에게 멍에를 씌우다 246
세종은 조선 노비제도의 근간이다 246
세종, 노비의 인권을 박탈하다 253
고려 노비와 조선 노비의 종합 비교 260
제 11 장 혁명을 꿈꾼 고려 노비, 주인을 암살한 조선 노비 266
노비 만적, 노비해방을 위해 봉기하다 270
조선의 노비, 주인을 살해하다 275
제 12 장 고려의 반역, 조선의 반정 286
고려 무신정변과 조선 인조반정의 비교 290
최충헌은 반역자인가? 혁명가인가? 295
이성계의 반정, 승자의 기록이다 300
제 13 장 상비군의 나라 고려, 예비군의 나라 조선 306
고려와 조선의 개국과 상무정신 310
고려는 상비군 체제, 조선은 예비군 체제 314
고려와 조선의 정예군, 누가 더 셀까? 321
제후국 조선, 상비군은 없다 328
제 14 장 고려의 최충헌 정권, 조선의 세도 정권 334
혁명으로 탄생한 최충헌 정권 338
최충헌, 특별한 정치형태를 창출하다 338
최우, 최충헌 정권을 완성하다 342
수렴청정으로 탄생한 세도 정권 345
정치보복으로 점철된 수렴청정 345
순원왕후 1차 섭정, 안동김씨의 철옹성을 쌓다 350
순원왕후 2차 섭정, 안동김씨 정권을 완성하다 353
최충헌 정권과 세도 정권의 인재 양성 358
인재 양성에 성공한 최충헌 정권 359
인재 양성에 실패한 세도 정권 363
최충헌 정권과 세도 정권의 상업정책 365
최충헌, 시전을 재건하고 대저택을 짓다 365
세도 정권, 상업과 무역을 억압하다 372
제 15 장 고려의 요동정벌, 조선의 요동정벌 380
고려의 요동정벌, 천재일우의 기회를 놓치다 384
공민왕이 시작한 요동정벌 384
공민왕의 1차 요동 공략, 인당(印璫)의 값진 희생 387
공민왕의 2-3차 요동 공략, 요동성을 함락하다 391
우왕의 요동정벌, 이성계의 쿠데타로 실패했다 393
조선의 요동정벌, 우물 안 소용돌이로 끝났다 404
고려 말 조선 초, 명나라의 무지막지한 횡포 405
정도전의 요동정벌, 물거품의 단막극이다 408
제 16 장 고려의 열린 종교 사상, 조선의 닫힌 종교 사상 414
최충헌 정권, 불교 유교의 공존 시대를 열다 419
최충헌 정권, 불교를 쇄신하고 부흥하다 420
혜심의 유불일치설, 유학 진흥의 디딤돌이 되다 427
조선의 성리학, 근본주의 종교가 되다 434
불교 탄압과 이성계의 단식 투쟁 434
불교는 얼마만큼 탄압받았나? 437
도교와 무교도 가혹하게 탄압받았다 440
성리학은 어떻게 종교가 되었는가? 445
신주(神主) 신앙의 두 가지 사례 452
성리학의 조선, 무고한 사람을 많이 죽이다 455
제 17 장 고려의 소중화, 조선의 소중화 460
친중과 반중, 두 가지 소중화 462
고려의 소중화, 중국의 외교 수사(修辭)였다 464
조선의 소중화, 자주성의 상실이다 468
참고문헌 476




2025 세무회계연습 1
9791199114333.jpg


도서명 : 2025 세무회계연습 1
저자/출판사 : 이철재 , 정우승, 212 DESIGN STUDIO
쪽수 : 820쪽
출판일 : 2025-02-12
ISBN : 9791199114333
정가 : 35000

제1부 법인세

제1장 세무조정과 소득처분
제2장 익금⑴:주요 익금
제3장 익금⑵:의제배당과 배당소득에 대한 이중과세조정
제4장 손금⑴:주요 손금
제5장 손금⑵:기업업무추진비와 기부금
제6장 손금⑶:감가상각비
제7장 손금⑷:지급이자
제8장 손익의 귀속시기
제9장 자산의 취득과 평가
제10장 충당금과 준비금⑴:퇴직급여충당금과 퇴직연금충당금
제11장 충당금과 준비금⑵:대손충당금
제12장 충당금과 준비금⑶:일시상각충당금과 준비금
제13장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제14장 법인세 과세표준과 세액
제15장 기업구조개편거래
제16장 연결납세제도
제17장 그 밖의 법인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