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분류기사(식물) 실기 또는 잘 봐 놓고 딴소리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생물분류기사(식물) 실기 또는 잘 봐 놓고 딴소리

땅끝
2025-01-04 07:51 80 0

본문




생물분류기사(식물) 실기
9788962451917.jpg


도서명 : 생물분류기사(식물) 실기
저자/출판사 : 이용순, 이비락
쪽수 : 528쪽
출판일 : 2021-07-26
ISBN : 9788962451917
정가 : 35000

일러두기

1장 생물분류기사(식물)에 대하여

1. 개요
2. 변천 과정
3. 수행 직무
4. 진로 및 전망
5. 검정 현황
6. 취득 방법
- 출제기준(필기) / - 출제기준(실기)

2장 식물의 동정

1. 식물의 동정 방법
1-1 분류접근법
1) 전체론적 접근법 2) 분석적 접근법
1-2 검색표를 이용한 방법
1) 차상형 검색표 2) 다지형 검색표
1-3 기재문을 이용한 방법
- 기재문 작성 원칙
1-4 표본을 이용한 방법
1) 표본의 종류 2) 표본을 이용한 식물의 동정
1-5 화상자료를 이용한 방법
1-6 전문가 동정
2. 식물의 명명과 학명
2-1 식물의 명명
1) 명명의 정의 2) 명명의 원칙 3) 기준표본
2-2 학명
1) 학명의 정의 2) 정당공표의 기준 3) 학명 표기의 원칙
2-3 분류 계급
2-4 석엽 표본 제작
1) 식물의 채집 2) 압착 3) 건조 4) 표본 및 라벨 붙이기 5) 표본의 취급

3장 식물의 외부 형태와 기재 용어

1. 일반 구조
1-1 재질
1-2 수
1-3 유합
1-4 입체 구조
1-5 평면 형태
1-6 표면 특징
1-7 털/융모
- 단모, 복모
1-8 자세
- 횡자세, 종자세, 비틀림
2. 영양기관
2-1 뿌리
2-2 줄기
- 줄기의 습성, 줄기의 유형, 소지. 소지의 구성
2-3 잎
- 잎맥, 잎의 배열, 잎의 분할, 정단부, 가장자리, 기부, 잎의 유형, 잎의 변형
3. 생식기관
3-1 꽃
- 꽃의 구성, 식물(꽃)의 성, 씨방의 위치, 꽃받침의 유합
- 화피의 유형: 이판화관(갈래꽃부리), 합판화관(통꽃부리)
- 화서의 유형: 무한화서, 유한화서, 이차화서, 특수화서
- 수술, 약, 수술의 유합, 심피/자방의 부착형
3-2 열매
- 진과, 가과
3-3 종자
- 씨/종자

4장 출제 예상 300종 식물

양치식물
나자식물
피자식물

부록1
1.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2. 특산식물 목록
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4. 국가 적색목록종 목록
5.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목록
6. 귀화식물 목록
7. 생태계교란 생물 목록

부록2
- 2018년도 생물분류기사(식물) A형 기출문제
- 2019년도 생물분류기사(식물) A형 기출문제
- 2020년도 생물분류기사(식물) A형 기출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용어/식물명)




잘 봐 놓고 딴소리
9791189799595.jpg


도서명 : 잘 봐 놓고 딴소리
저자/출판사 : 이승한, 북트리거
쪽수 : 212쪽
출판일 : 2021-10-25
ISBN : 9791189799595
정가 : 13800

1. 재현 : ‘리얼’을 다시 쓰는 미디어 생활
드라마를 정말 드라마로만 봐도 될까? ● 현실과 가상 사이의 줄다리기
끝없이 ‘진짜’를 원할 때 벌어지는 일 ● 관찰 예능 전성시대
온 천지가 마스크다, TV만 빼고 ● TV가 현실의 재난과 연대하는 법
일진을 때려눕히면 학교 폭력이 사라질까? ● 대리만족과 실제 대안 사이
평범하고 구체적인 나의 자리에서, 다시 만난 세계 ● 일대일 시사 교양물의 탄생

2. 캐릭터 : 화면 속 사람이 말을 걸어올 때
철이 없었죠, 아는 맛에 빠져들었다는 자체가… ● 극사실주의 ‘아는 맛’ 캐릭터의 시대
범인이 모범생이었단 게 중요해? ● 범죄자를 묘사하는 대중매체의 태도
‘보편성’과 ‘특수성’을 다 잡을 수는 없을까? ● 비주류가 주인공이 될 때의 딜레마
공포 속에서 자라나는 사람들 ● 호러 장르의 성장 서사
캐릭터가 자기 운명을 바꾼다고? ● 작가와 등장인물의 밀고 당기기

3. 다양성 :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위해
농인만 재난 소식을 알 수 없다면 ● 평등한 정보접근권을 위하여
삼국지의 중요 인물이 여자면 안 돼? ● 캐릭터 성별 재해석의 의미
방송 제작 가이드라인만으로 충분할까? ● 차별 없는 콘텐츠 만들기의 어려움
어디로 가든 서울만 나오는 이상한 TV ● 미디어의 수도권 중심주의
완다를, 로키를, 축구하는 여자들을 더 잘 이해하는 방법 ● 사회적 소수자 캐릭터의 다양화

4. 참여 : 더 이상 ‘두고 보기’만 할 수 없다면
케이팝과 인종차별이 무슨 상관인데? ● 연예인과 팬덤의 정치적 행동
정당한 ‘시민운동’일까, ‘마녀사냥’일까? ● 대중문화계 ‘캔슬 컬처’ 논란
떨어져 있어도 같은 걸 보고 즐기는 우리 ● 비대면 시대, 리액션 유튜버의 급성장
각자의 화면에 갇히지 않으려면 ● 무제한 스트리밍 시대의 확증편향
누구나 타인의 목소리를 훔칠 수 있는 시대 ● 음성합성 AI와 대중문화 윤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