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자 발전의 역사 또는 민속학자 송석하의 부와 학문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4
0
본문
중국문자 발전의 역사
도서명 : 중국문자 발전의 역사
저자/출판사 : 오제중, 한국문화사
쪽수 : 240쪽
출판일 : 2023-10-20
ISBN : 9791169191562
정가 : 20000
머리말
1장 중국문자 인식의 역사1. 중국문자의 개념1.1 문자와 문자학(文字學)의 관계
1.2 문자와 부호(符號)의 관계
1.3 문자와 언어(言語)의 관계
1.4 언어문자와 문학(文學)의 관계
2. 중국문자의 기원3. 중국문자의 구성 요소3.1 형음의(形音義) 상호 관계
3.2 형음의(形音義) 구성 내용
3.2.1 자형(字形)
3.2.2 자음(字音)
3.2.3 자의(字義)
4. 중국문자의 파생 과정4.1 고금자(古今字)
4.2 통가자(通假字)
4.3 이체자(異體字)
2장 중국문자 연구의 역사1. 중국문자의 조자(造字) 원리1.1 문(文)과 자(字)의 개념
1.2 약정속성(約定俗成)과 음근의통(音近義通)
1.2.1 성훈(聲訓)
1.2.2 우문설(右文說)
2. 육서론(六書論)2.1 육서(六書)의 명칭과 차례
2.2 육서(六書) 조자설(造字說)과 체용설(體用說)
2.3 육서(六書)의 내용
2.3.1 상형(象形)
2.3.2 지사(指事)
2.3.3 회의(會意)
2.3.4 형성(形聲)
2.3.5 전주(轉注)
2.3.6 가차(假借)
3. 『설문해자』(說文解字)와 중국문자 연구3.1 중국의 전통 자서(字書)
3.1.1 자서(字書)의 기원과 『사주편』(史籒篇)
3.1.2 소학류(小學類) 자서(字書)의 분류
3.2 『설문해자』(說文解字)의 탄생 배경과 표제자(標題字)
3.3 『설문해자』(說文解字) 부수(部首)
3.4 『설문해자』(說文解字) 자의(字義) 해석
3.5 『설문해자』(說文解字) 수록 자형
3.5.1 혹체(或體)
3.5.2 속체(俗體)
3.6 『설문해자』(說文解字) 주음(注音) 방법
3장 중국문자 변화의 역사1. 고문자(古文字) 단계 자형 변화1.1 갑골문(甲骨文)
1.2 금문(金文)
1.2.1 한대(漢代) 금문학(金文學)
1.2.2 송대(宋代) 금문학(金文學)
1.2.3 청대(淸代) 금문학(金文學)
1.3 주문(籒文)과 고문(古文)
1.3.1 주문(籒文)
1.3.2 고문(古文)
1.3.3 전초고문(傳抄古文)
1.4 소전(小篆)
2. 근대문자(近代文字) 이후 자형 변화2.1 예서(隸書)
2.2 해서(楷書)
2.3 초서(草書)
2.4 행서(行書)
2.5 간화자(簡化字)
중국 역사연대표참고문헌찾아보기
민속학자 송석하의 부와 학문
도서명 : 민속학자 송석하의 부와 학문
저자/출판사 : 오석민 , 박중훈 , 이용찬, 민속원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3-06-24
ISBN : 9788928518579
정가 : 28000
들어가면서
제1부 아버지 송태관의 권력과 부
1장 가계가 불명확한 집안에서 태어나다
2장 하위관료가 2년 만에 황제 측근이 되다
1. 송태관의 출생과 일본 유학과정
2. 송태관의 관료생활
3장 고종황제가 퇴위당하고 송태관은 유배를 가다
4장 고향으로 돌아가서 사업가로 변신하다
1. 서울에서의 기업 참여 경험
2. 진도 유배 후 고향에서의 경제활동
5장 조선 총독과 만나면서 간척사업을 시작하다
1. 지금은 서산공군비행장으로 편입된 첫 간척지
2. 태안 고성이씨 집안의 자염전을 간척한 사업
6장 만리포를 불하받아 해수욕장으로 지정받다
7장 일본풍 재실을 짓고 선대묘역을 단장하다
제2부 아들 송석하의 학문
1장 일본 유학을 포기하고 귀국 후 방황하다
2장 민속논문 발표 후 민속학회를 창립하다
3장 총독부에 호응하여 민속 부흥에 앞장서다
1. 송석하와 민속학 그리고 조선민속학회
2. 식민지 정책에 호응한 민속예술 부흥 주도
4장 봉산탈춤을 총독부의 건전오락으로 지정받다
5장 백두산 천지의 승전 기원행사에 참여하다
6장 임시정부를 비판하면서 정치단체에 참여하다
1. 해방 후 송석하의 첫 정치적 행보:조소문화협회와 조선연극인대회
2. 한국민주당과 조선민족청년단, 그리고 송석하
7장 미군정이 제안한 좌우합작에 동조하다
1. 한미문화협회와 송석하
2. 좌우합작운동과 송석하
8장 미군정 하에서 인류학자로 변신하다
1. 국립민족박물관과 송석하
2. 조선인류학회와 송석하
3. 1946년 ‘국립대학교(안)’과 인류학과, 그리고 인류학연구실
9장 1990년대 송석하를 ‘민족주의자’로 조명하다
나가면서
1. 송태관-송석하 가계의 계급적 성격은?
2. 송태관-송석하에 대한 기존의 연구방법은 적절했을까?
부록 줄풍류를 후원했던 향리 집안과 통혼하다
1. 송석하의 처가 정읍 광산김씨 가계
2. 송석하의 처조부 김상태의 정치적 행보
3. 정읍의 광산김씨와 풍류방의 전통
저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