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 그 이후 또는 신묘
시니
2025-02-25 12:31
61
0
본문
구원 그 이후

도서명 : 구원 그 이후
저자/출판사 : 박영선, 무근검.남포교회출판부.
쪽수 : 246쪽
출판일 : 2020-12-30
ISBN : 9791187506591
정가 : 13000
01_ 수준 확인 … 009
02_ 자의식 … 025
03_ 첫 할 일 … 039
04_ 신자의 질그릇 … 053
05_ 남겨 둔 죄 … 069
06_ 영적 싸움 … 079
07_ 과거의 싸움과 현재의 싸움 … 095
08_ 신자와 상급 … 109
09_ 신자의 승리 … 123
10_ 신자의 적극성 … 135
11_ 신자의 감사 … 147
12_ 신자의 능력 … 161
13_ 신자의 자비 … 177
14_ 신자의 훈련 … 191
15_ 새 생명 … 201
16_ 신자의 삶 … 209
17_ 신자의 길 … 221
18_ 신자의 성숙 … 235
신묘

도서명 : 신묘
저자/출판사 : 최성민, 책과나무
쪽수 : 332쪽
출판일 : 2020-12-30
ISBN : 9791157769858
정가 : 22000
|서문| 선현들이 제다와 다도를 ‘신묘(神妙)’로써 연결해 놓은 까닭은
Ⅰ 한국 차 제다론
1. 한국 차 제다의 문제 진단과 제언
1) 제다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과 한국 차의 위기 상황
2) ‘초의차’ 환타지(fantasy)와 한국 전통 제다의 혼란
3) 옛 차 복원? “코끼리 만지기”라는 무지 또는 현혹
4) ‘구증구포’의 망상·‘차 명인’ 제도의 오지랖
2. 한국 차 제다의 철학·과학적 맥락
1) 차의 3대 요소·3대 성분, 한국 차 제다의 방향
2)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각별한 관계
3. 한국 차 제다의 자취와 선현의 가르침
1) 제다의 원리와 한국 제다사
2) 한국 차 제다의 첫걸음 생배법(生焙法), 「부풍향차보」의 사료적 가치
3) 이덕리의 한국 차에 대한 긍지와 『동다기』의 증배법(蒸焙法)
4) 다산의 차론(茶論)과 ‘다산차병(茶山茶餠)’ 제다의 한국 차문화사적 의의
5) 『동다송』의 ‘다도(茶道)’ 규정과 ‘초의 제다’의 철학적 의미
6) 산절로야생다원 전통 제다·다도 복원 운동
Ⅱ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관계
1. 신묘(神妙),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핵심 원리
2. 한국 차 제다에 담아야 할 다신(茶神)의 수양원리
1) 향기(香氣), 차향의 수양론적 이해
2) 기색(氣色), 차색의 수양론적 이해
3) 기미(氣味), 차맛의 수양론적 이해
Ⅲ 한국 다도 수양론
1. 한국 차계의 다도(茶道) 이해 혼란과 다도의 수양론적 의미
2. 동양사상(道·儒·佛)의 도(道)와 다도(茶道)
3. 기론(氣論), 동양 사상 수양론의 현철(賢哲)한 기반
4. 명상(冥想)과 다도, 다도 명상(茶道 冥想)
5. 한국 다도 수양론 탐구
1) 한국 다도의 수양론적 연원과 전개
2) 『다부(茶賦)』의 ‘경지의 다도’
3) 『동다송(東茶頌)』의 ‘과정(행위)의 다도’
4) 한국 ‘수양다도’의 완성과 생활화
5) 한국 수양다도와 일본 다도의 수양론
|참고 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