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백미 또는 습관을 만드는 뇌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통영백미 또는 습관을 만드는 뇌

땅끝
2025-02-25 12:30 108 0

본문




통영백미
9791185823690.jpg


도서명 : 통영백미
저자/출판사 : 이상희 글/사진, 남해의봄날
쪽수 : 184쪽
출판일 : 2020-12-30
ISBN : 9791185823690
정가 : 18000

들어가는 말_바다에서 건져 낸 풍성한 계절의 맛, 통영백미

1월 한겨울 추위 속 통영 바다는 가장 맛있어진다
백미 추위를 잊게 하는 진한 맛, 복어
조리법 최고의 해장 음식, 졸복국
기다리게 하는 음식 방풍탕평채
통영 물산 털게, 벌덕게, 방게, 꽃게

2월 남쪽 바다는 봄을 향한 마음이 급하다
백미 섬에 매화가 만발하면 바다에는 붉은 꽃이 핀다, 멍게
조리법 입안 가득 꽃피는 바다 향기, 멍게비빔밥
기다리게 하는 음식 개조개 유곽
통영 물산 통영 우럭조개, 군소

3월 바다도 사람도 쉴 틈 없이 반짝인다
백미 작지만 맛의 바탕이 되는 생선, 멸치
조리법 든든한 밥상 위 주인공, 멸치조림
기다리게 하는 음식 병아리, 병아리무침, 병아리국, 병아리전, 미역, 미역설치, 생선 미역국
통영 물산 통영 김, 미더덕

4월 모든 것이 바뀌는 경계의 시간
백미 섬 쑥이 돋아날 무렵 찾아오는, 도다리
조리법 가장 향긋한 한 그릇, 도다리쑥국
기다리게 하는 음식 숭어, 숭어국찜, 숭어회쌈, 숭어껍질, 숭어어란, 쑥버무리, 진달래꽃지짐과 쑥지짐
통영 물산 고사리와 고비, 마늘, 공멸

5월 바다는 가장 아름다운 때 휴식에 들어간다
백미 화려하고 풍성한 잔칫상의 주인공, 도미
조리법 정성을 안팎으로 가득 채운, 도미찜
기다리게 하는 음식 상사리국, 전어, 전어회무침, 전어밤젓, 미나리, 미나리나물, 미나리전, 벼락김치
통영 물산 청각, 농어

6월 여름은 통영의 시장에서 먼저 시작된다
백미 통영 여름 식탁을 책임지는 보양식, 장어
조리법 든든한 한 그릇, 장어탕과 장어국
기다리게 하는 음식 고구마줄기김치, 고구마새순나물, 쪽파멸치무침, 유월동부, 통영 매실주
통영 물산 방아, 통영 지방초

7월 세상의 색이 바뀌는 여름 한가운데
백미 밥상 위로 파도치는 은빛 물결, 갈치
조리법 달콤하고 개운한, 갈치호박국
기다리게 하는 음식 우뭇가사리, 우무콩국, 우무냉국
통영 물산 박나물, 서실

8월 맛있는 섬에 가고 싶다
백미 푸른 바다와 흰 물결을 품은 생선, 고등어
조리법 고등어와 무의 맛있는 조화, 고등어조림
기다리게 하는 음식 욕지 고구마, 빼떼기죽, 청방배추,
통영 물산 전갱이, 맵사리고둥

9월 가을빛이 내려앉은 바다와 들
백미 부드러운 바다의 향, 바다의 맛, 통영 굴
조리법 시원하고 깊은 맛, 물굴젓
기다리게 하는 음식 통영너물비빔밥, 두부탕수국, 거랭이탕, 통영 비짐떡
통영 물산 베도라치, 보리새우

10월 계절과 계절이 만나는 풍성한 한때
백미 깊은 감칠맛의 최강자, 홍합
조리법 자연산 홍합의 고급스런 맛, 홍합초
기다리게 하는 음식 건어, 톳
통영 물산 몰, 문어

11월 바다의 진미가 쏟아지는 겨울이 온다
백미 어떻게 먹어도 맛있는 생선, 볼락
조리법 밥 한 그릇 더 부르는, 볼락김치
기다리게 하는 음식 물메기, 파래, 통영 다찌
통영 물산 가리비, 유자

12월 둘러앉아 함께 음식을 즐기는 맛
백미 대가리부터 꼬리까지 버리는 게 없다, 대구
조리법 시원하고 담백한 겨울의 맛, 대구탕
기다리게 하는 음식 대방어, 해삼, 해삼통지짐
통영 물산 개불, 호래기

나가는 말_맛에는 마침표가 없다




습관을 만드는 뇌
9791190313629.jpg


도서명 : 습관을 만드는 뇌
저자/출판사 : 양은우, 웨일북.whalebooks.
쪽수 : 240쪽
출판일 : 2020-12-30
ISBN : 9791190313629
정가 : 14000

PROLOGUE
뇌과학이 내 삶을 변화시킨다

CHAPTER 1
최소한의 뇌과학으로 행동의 비밀을 풀다

◆ 상사의 뒷담화는 왜 즐거울까?
◆ 나이 든 사람일수록 말이 안 통하는 이유
◆ 남자는 왜 쇼핑을 힘들어할까?
◆ 남자가 고가의 물건을 사는 이유
◆ 어떤 사람은 왜 눈치 없이 행동할까?
◆ 번지점프대에서 뛰어내리지 못하는 이유
◆ 청소년은 왜 무모한 짓을 할까?
◆ 세 살 버릇은 정말 여든까지 갈까?
◆ 어린아이의 스마트폰 사용은 정말 괜찮을까?
◆ 왜 다리를 떠는 걸까?
◆ 공부할 때나 일할 때 음악을 듣는 게 효과적일까?
◆ 싸움과 공격은 인간의 본능일까?
◆ 가벼운 신체 접촉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

CHAPTER 2
뇌가 곧 현상의 세계다

◆ 왼팔과 오른팔 중 어느 쪽이 더 좋을까?
◆ 일을 미루거나 여유를 부리는 이유
◆ 나이 들면 시간이 빨리 가는 이유
◆ 배움은 정말로 때가 있을까?
◆ 뭐더라, 그 이름이 뭐였지?
◆ 수포자는 왜 생겨날까?
◆ 권력은 사람을 어떻게 변하게 하는가?
◆ 유난히 운이 좋은 사람들의 비밀
◆ 천재와 바보는 종이 한 장 차이?
◆ 빨간색이 강할까, 파란색이 강할까?
◆ 옆에서 숙제를 도와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 좌뇌는 논리적이고, 우뇌는 감성적일까?
◆ 사람의 마음을 읽고 말로 바꿔줄 수 있을까?
◆ 예지몽을 꾸는 게 가능할까?
◆ 생각만으로 뇌를 바꿀 수 있다?
◆ 인간이 몸에 비해 큰 뇌를 가지게 된 이유
◆ 가난한 사람은 사는 낙이 없다?
◆ 성 소수자를 바라보는 바람직한 시각

CHAPTER 3
감정도 뇌가 설계한다

◆ 걱정이 많으면 왜 잠이 안 올까?
◆ 나는 내 감정 상태를 잘 알고 있을까?
◆ 귀여운 것에 왜 유독 마음이 약해질까?
◆ 사람을 닮은 로봇을 보면 기분이 나쁜 이유
◆ 강박감과 자책감, 그리고 중독
◆ 글쎄, 그건 착각이라니까
◆ 나이 들면 왜 이타심이 적어질까?
◆ 암암리에 뇌 속에 자리 잡고 있는 편견
◆ 술 마시면 기분이 좋아지는 이유
◆ 나쁜 기억을 지울 수 있을까?
◆ 과식하면 왜 기분이 나쁠까?
◆ 직장인에게 찾아오는 369 법칙의 비밀
◆ 어떤 사람은 왜 회복탄력성이 낮을까?

CHAPTER 4
뇌는 몸을 움직이기 위해 존재할 뿐이다

◆ 점심을 먹고 나면 왜 졸릴까?
◆ 나이 든 사람이 운전을 하면 위험한 이유
◆ 나이가 들면 운동도 잘 골라서 해야 한다
◆ 왜 청소년은 늦게 자고 노인은 일찍 잘까?
◆ 글씨로 성격을 파악할 수 있을까?
◆ 눈을 감으면 왜 한쪽 다리로 서 있기 힘들까?
◆ 담배를 끊으면 왜 먹을 것이 당길까?
◆ 자신에게 간지럼을 태우면 왜 간지럽지 않을까?
◆ 멀미는 왜 나는 걸까?
◆ 출산 시기는 엄마가 정할까, 아기가 정할까?
◆ 땀 냄새에 위험 신호가 담겨 있는 걸까?
◆ 잠을 푹 못 자면 만성피로가 되는 이유
◆ 비만이 알츠하이머병을 부를 수 있다
◆ 살을 빼기 위한 두 가지 비결
◆ 인간이 뇌를 만들 수 있을까?
◆ 손을 많이 쓰면 창의적 사고가 가능하다?
◆ 뇌 안에는 ‘제니퍼 애니스턴’ 세포가 있다

참고 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