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가 들려준 신부 이야기 또는 조선시대 한글 글꼴의 형성과 변천 > 병원

본문 바로가기

병원

그리스도가 들려준 신부 이야기 또는 조선시대 한글 글꼴의 형성과 변천

아리엘
2025-01-12 09:20 73 0

본문




그리스도가 들려준 신부 이야기
9791196436575.jpg


도서명 : 그리스도가 들려준 신부 이야기
저자/출판사 : 조이엘, 산지
쪽수 : 272쪽
출판일 : 2020-05-14
ISBN : 9791196436575
정가 : 15000

Chapter1. 여성은 하나님의 감탄사 ‘잇샤(와우)’다

창조된 인간이 있고 지으신 인간이 있다
아담과 하와의 창조사건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다
예수님은 하와의 범죄를 태초부터 알고 계셨다
여성은 하나님의 감탄사 ‘잇샤(와우)’다
여성은 갈비뼈로 만든 성전
씨와 자궁의 구속사
잉태와 해산에 담긴 성경적 의미
메시야의 족보에 등장하는 여인들은 정결한 여성들이 아니다
마지막 때 여성을 쓰시는 영적 원리
여자는 어떤 존재인가

Chapter2. 사래(나의 공주)에서 사라(열국의 어미)가 된 나의 인생

사래에서 사라로, 이름의 의미
나에게 사라의 이름을 주시고 펼쳐 가신 ‘사라 사역’
나도 온실 속의 공주였다
초신자가 사모가 되다
탕자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신 하나님
꿈을 통해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만나다
반대하던 결혼이 성사되기까지
아버지의 인생을 서정시로 마무리하신 하나님

Chapter3.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와 신부의 결혼 이야기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
독처에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으로
독처의 외로움 속에서 신랑을 만나라
독처는 목적지가 아니라 통과해야 할 과정
우리의 영적 자궁은 거룩한가?
우리는 예수님의 심장을 이식받은 신부
돕는 배필의 신적 권위
그리스도 안에서 나온 자가 신부(교회)가 된다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와 신부인 교회 이야기
예수님을 따르는 신부군대
마귀를 멸하는 신부
마지막 때는 지성소에 들어가는 법궤의 말씀을 소유해야 한다
거룩한 신부가 되려면
신부(교회)가 만들어 지기 위한 진주의 고통
일어나 빛을 발하라
지식의 말씀이 아닌 지혜와 계시의 영이 임하는 말씀
구원과 심판을 알아야

Chapter4. 사라의 비밀을 알면 하늘의 권세가 임한다

천국 문을 여는 다윗의 열쇠 “사라의 연고로”
하와와 사라의 공통점 어머니영성
사라의 비밀을 아는 자에게 동일한 권세를 주신다
신부의 모형 사라
약속대로 열국의 어미가 된 사라
사라의 열방사역
영적 지성소에 들어가려면
누룩처럼 퍼져가는 사역들
왜 300용사인가?
사라사역중 일어나는 기적들
하나님께 집중하라




조선시대 한글 글꼴의 형성과 변천
9791189174217.jpg


도서명 : 조선시대 한글 글꼴의 형성과 변천
저자/출판사 : 이규복, 이서원
쪽수 : 136쪽
출판일 : 2020-05-14
ISBN : 9791189174217
정가 : 15000

들어가며 ㆍ 6

1부 한글 글꼴의 탄생, 그리고 혁신적 변화 ㆍ 11
1. 용어의 정립 ㆍ 12
2. 한글 창제 초기 글꼴의 변모 양상 ㆍ 15
가. 훈민정음(訓民正音) 해례본(解例本) 글꼴 ㆍ 15
나. 글꼴의 1차 변화 ㆍ 17
다. 글꼴의 2차 변화 ㆍ 19
-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 한글 글꼴의 혁신 ㆍ 19
- 월인석보(月印釋譜) - 당대 한글 글꼴의 집대성 ㆍ 23
라.「훈민정음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한 고찰 ㆍ 30
마. 고체의 개념 ㆍ 34

2부 관료서체의 형성과 흐름 ㆍ 39
1. 관료의 글씨 - 한글 자본(字本)의 제작 ㆍ 40
2. 관료서체의 형성 - 궁중의 공식 서체 ㆍ 45
3. 관료서체의 흐름 - 필사체 ㆍ 49
가. 『천의소감언해』- 현전 최초 4인의 한글 서사자(書寫者) 등장 ㆍ 49
나. 관료서체의 흐름 - 필사체 ㆍ 56
4. 관료서체의 흐름 - 판본체 ㆍ 67

3부 궁체의 형성 ㆍ 75
1. 궁체의 형성 - 궁체 정자 ㆍ 76
2. 궁체 정자 대표 문헌의 글꼴 분석 ㆍ 83
3. 궁체의 형성 - 궁체 흘림 ㆍ 90
4. 궁체 흘림 대표 문헌의 글꼴 분석 ㆍ 97
가. 관료의 궁체 흘림과 『천의소감언해』 ㆍ 97
나. 서사상궁의 궁체 흘림과 『뎡미가례시일긔』 ㆍ 109
5. 궁체의 정의 ㆍ 114
가. 선행 연구의 검토 ㆍ 114
나. 궁체의 정의 ㆍ 119

附 記 ㆍ 123
수렴청정과 서사상궁 관련 기존 연구의 흐름과 관점에 대한 문제의식 ㆍ 124
서사 주체별 글꼴계통도 ㆍ 130
참고문헌 ㆍ 132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