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의 일상 또는 현장 체험과 사례로 본 건설현장의 안전을 말하다 > 병원

본문 바로가기

병원

춘천의 일상 또는 현장 체험과 사례로 본 건설현장의 안전을 말하다

아리엘
2025-01-12 09:20 64 0

본문




춘천의 일상
9791188710645.jpg


도서명 : 춘천의 일상
저자/출판사 : 이수환, 달아실
쪽수 : 132쪽
출판일 : 2020-05-14
ISBN : 9791188710645
정가 : 20000

null




현장 체험과 사례로 본 건설현장의 안전을 말하다
9791189796570.jpg


도서명 : 현장 체험과 사례로 본 건설현장의 안전을 말하다
저자/출판사 : 고성옥, 보민출판사
쪽수 : 372쪽
출판일 : 2020-05-14
ISBN : 9791189796570
정가 : 16000

PROLOGUE

제1부. 안전은 심리에 달려있다

1. 반항심리는 행동으로 말한다
2. 갈등과 다툼의 원인인 정서주기법칙이 있다
3. 색깔과 소리는 뇌를 자극시킨다
4. 안전모가 자존심을 세워주지는 않는다
5. 큰 공종이 현장 분위기를 이끈다
6. 경쟁보다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7. 안전욕구는 건설근로자가 더 절실하다
8. 습관이 고정관념으로 변한다
9. 고소공포증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10. 스마트폰이 사고의 주범이다

제2부. 안전은 교육에서 시작된다

1. 아침조회는 상쾌한 기분으로 하자
2. 채용시 교육이 안전의식을 확고히 한다
3. 혈압이 작업자의 채용을 좌우한다
4. 현장 경비원은 그 현장의 안전모델이다
5. 실명제는 존재성과 책임성을 부여한다
6. 하인리히 법칙을 바로 알자
7. 안전교육의 효율성을 높이자
8. 안전대는 고소작업에서만 착용하는 것이 아니다
9. 호흡보호구의 기능을 알고 착용하자

제3부. 안전은 실천에서 이룩된다

1. 안전업무에 모두 동참해야 한다
2. 위험성평가는 작업자들과 함께 해야 한다
3. 작업은 2인 1조가 원칙이다
4. 기계 · 기구에 대한 믿음이 사고로 이어진다
5. 이동식 사다리는 사고의 주범이다
6. 배관절단 폭발사고는 무지에서 비롯되었다
7. 시멘트 분진의 유해성을 알아보자
8. 보안경 미착용이 실명(失明)으로 이어졌다
9. 작업의 능률성과 안전성과의 불편한 관계
10. 정리정돈이 안전을 확보하는 길이다

제4부. 안전은 지하, 지상을 지켜보고 있다

1. 관로공사에서 토사 및 케이블관이 덮친 사고
2. 장마철 절토사면의 사고예방 대책
3. 압입공사(강관추진공법)의 안전한 작업방법
4. 흙막이공사(엄지말뚝공법)의 버팀보식 개착공법
5. 지하저수조의 무모한 밀폐공간작업
6. 갱폼작업시 안전한 작업방법
7. 공사현장의 낙하물 방지망 설치와 사고사례
8. 누전차단기의 기능과 감전사고 예방
9.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화재사고 예방대책
10. 추락재해 발생원인과 예방대책

제5부. 안전은 해상에서도 통한다

1. 본체 케이슨(caisson) 제작과 안전대책
2. 케이슨(caisson) 예인작업과 안전대책
3. 잠수부 작업 및 잠수병 예방
4. 노후화된 선박과 고령화된 선원들
5. 바지선 밀폐공단(부력탱크)에서의 용단 · 용접작업
6. 야간작업에서의 해상관제센타 울타리 충돌사고
7. 잠수작업은 외국인 잠수부가 안전모델
8. 내외국인 잠수부의 노동 인식과 휴식권 보장
9. 해상 선박에서의 가스통(LPG) 관리 문제

제6부. 안전은 법과 제도를 좋아한다

1. 안전은 안전관리자만의 업무가 아니다
2. 서명날인을 철저히 하지 못한 사문서 위조
3. 안전관리자의 안전사고 법적 책임범위
4. 도급인의 작업 책임범위 확대 및 형사처벌 강화
5.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시 과태료 부과절차
6. 산업재해 은폐산업장의 형사처벌 시행
7. 중대재해인 사망사고시 법적 절차와 대응방안
8. 산업안전보건위원회와 노사협의체와의 관계

EPILOGUE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